[[분류:한자성어]] [include(틀:토막글)] ||<-4> '''[[고사성어|{{{#white 고사성어}}}]]''' || || {{{+5 '''[[麻]]'''}}} || {{{+5 '''[[中]]'''}}} || {{{+5 '''[[之]]'''}}} || {{{+5 '''[[蓬]]'''}}} || || 삼 마 || 가운데 중 || 어조사 지[* 여기선 ~의란 어조사로 쓰였다.] || 쑥 봉 || == 개요 == 삼 밭에서 나는 쑥. 구부러진 쑥도 삼밭에선 곧게 자라듯이 선한 사람과 사귀면 자연히 자기도 선해진다는 뜻이다. [[근묵자흑]]과 정반대의 내용이다. == 유래 == 《[[순자]]》《권학(勸學)》편에 나온다 >...[생략] 쑥이 삼 밭에서 자라면 붙들어 주지 않아도 곧게 자라고, 흰 모래가 진흙 속에 있으면 함께 검어진다('''蓬生麻中''' 不扶而直 白沙在涅 與之俱黑[* 봉생마중 불부이직 백사재열 여지구흑]). -(중략)- 이런 까닭에 군자는 거처를 정할 때 반드시 마을을 가리고(擇), 교유(交遊)할 때는 반드시 곧은 선비와 어울린다. 이는 사악함과 치우침을 막아서 중정(中正)에 가까이 가기 위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