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0%, #FFFFFF);" {{{#006000 '''마제드 압둘라의 기타 정보'''}}}}}} || || {{{#!folding ▼ ---- || '''{{{#295596 알 나스르 FC 영구결번}}}''' || || '''{{{#fbcf24 No.9 }}}''' || ---- [include(틀:사우디아라비아의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 사우디아라비아의 前 축구선수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jed_Abdullah_in_1984.jpg|width=100%]]}}} || || {{{#000000,#e5e5e5 ''' 이름 ''' }}} || '''{{{+1 마제드 아메드 압둘라 알 모하메드}}}[br] Majed Ahmed Abdullah Al-Mohammed [br]ماجد أحمد عبد الله محمد''' || || {{{#000000,#e5e5e5 ''' 출생 ''' }}} ||[[1959년]] [[1월 11일]] ([age(1959-01-11)]세)[br]{{{-1 [[사우디아라비아]] [[제다]]}}} || || {{{#000000,#e5e5e5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사우디아라비아)] || || {{{#000000,#e5e5e5 ''' 신체 ''' }}} ||[[키(신체)|키]] 188cm || || {{{#000000,#e5e5e5 ''' 포지션 ''' }}} ||[[공격수]], [[미드필더]] || || {{{#000000,#e5e5e5 ''' 소속팀 ''' }}} ||'''[[알 나스르 FC]] (1977~1998)''' || || {{{#000000,#e5e5e5 ''' 국가대표 ''' }}} ||117경기 '''72골'''[*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최다 득점자.]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사우디 아라비아]] / 1977~1994)^^ || [목차] [clearfix] == 개요 == 마제드 압둘라는 [[사우디아라비아]]의 前 축구 선수이며 현역이던 1980년대에 [[아시아]]를 대표하는 스트라이커였다.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사우디아라비아]] 역대 최다 득점자이기도 하며 아시아 역대 최고의 스트라이커를 뽑을 때 제일 먼저 거론되는 인물이다. == 선수 경력 == 마제드 압둘라는 소속팀의 리그 경기에서 168경기 190골을 득점했다. 다른 컵대회나 아시아 대회까지 합치면 240경기에서 260골을 기록했다. 80년대 식의 이런저런 친선 경기에서는 61골을 더 기록했다고 한다. 국가대표 경기에서도 117경기 72골이라고 기록되어 있지만 실제로 당시 다른 아시아 국가처럼 남미나 유럽 유수의 클럽팀과 사우디 아라비아 대표팀이 대결하는 일이 많았다고 한다.[* 보타포구, 상 파울루, 보카 주니어스, 플루미넨세, 파울리스타, 바스쿠 다 가마, 포르투게자, 낭시, 릴, 말뫼, 벤피카, 브라가, 비토리아, 스포르팅 리스본, 함부르크, 맨체스터 시티, 리버풀, 토트넘, 울버햄튼, 코벤트리, 스토크 시티, 웨스트 브롬위치, 올림피아코스, 파나티아코스, 그라나다, 세비야, 말라가 등의 클럽명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친선 경기에서 마제드는 115골을 더 득점했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국가대표에서 총 229골을 득점한 셈이나, 현재 정식 [[A매치]]에서 마제드가 기록한 것으로 인정되는 득점은 72골이다. 어쨌거나 마제드가 엄청난 득점력을 과시했던 것은 사실이며, 국가대표팀에서도 브라질이나 아르헨티나, 잉글랜드와 같은 강팀 상대로도 득점을 기록한 바 있다. 이렇게 대충 오피셜한 성인 경기에서[* [[A매치]]로 인정되지는 않지만 당시 아시아 사정상 국가대표와 유럽이나 남미 클럽 간의 대결이 진지한 시합이었던 것은 맞다.] 마제드는 커리어 통산 총 550골을 득점했으며 28번이나 해트트릭을 기록했다고 하니 무시무시한 득점력을 과시하는 스트라이커였다. [[1984 AFC 아시안컵 싱가포르|1984년]]과 [[1988 AFC 아시안컵 카타르|1988년 아시안컵]] 우승자이며, [[1994 FIFA 월드컵 미국|1994년 미국 월드컵]]에서는 비록 득점은 없었지만 주장으로서 조별 리그에서 2경기 선발출전하며 사우디아라비아의 16강 진출을 견인했다. 이런 업적을 바탕으로 비공식이긴 하나 1984년에 아시아 올해의 선수를 수상했다.[* 공식적인 아시아 올해의 선수상은 1988년부터 IFFHS, AFC에 의해 선정되었으며 압둘라는 1984년에 Asia-Oceania Soccer Handbook라는 매체로부터 선정되었다.] IFFHS에서 공식 선정한 [[20세기]] 선수 순위에서 64위를 기록하며 60위에 오른 [[차범근]]과 함께 유이하게 득표한 아시아 선수가 되었다. 20세기 아시아 선수 순위는 차범근, [[김주성(축구)|김주성]]에 이어 3위에 올랐다. 1995년에는 [[FIFA]] 공식 대회에 147회나 출전해서 최고 기록을 세웠다고 발표되었지만 [[FIFA]] 내부에서 기준을 바꾸는 바람에 현재는 116경기 출전으로 되어 있다. 이렇기 때문에 사우디아라비아 내부에서도 종목을 넘어선 최고의 선수로 꼽히기도 한다. 그는 190cm에 육박하는 장신이었으므로 결코 총알 탄 것처럼 빠르지는 않았다. 하지만 큰 키 치고는 정말 빨랐다. 거기에 흑인 특유의 탄력과 유연성이 있었다. 힘, 높이, 스피드, 유연함까지 겸비한 공격수는 정말 찾기 힘든데 마제드는 여기에 기술까지 있었다. 유연한 양발 드리블을 구사할 줄 알았고, 여기에 엄청난 수준의 결정력을 가지고 있는 뛰어난 선수였다. 그는 한국을 상대로도 5골을 득점했다. 특히 단독 드리블로 순식간에 2명의 수비수를 털어버리고 골키퍼까지 제낀 후 득점을 기록하는 엄청난 득점을 남기기도 했다.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 축구에서 엔트리에 포함 되어 조별리그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를 상대로 각각 두 골 씩 넣어 네 골을 넣었으나 부상으로 결승전에는 출장하지 못했고 한국에 0-2로 졌다. 부상이 없어서 결승전에 뛰었으면 경기 내용과 결과가 달라졌을 가능성도 있어 한국에는 다행이고 사우디에게는 아쉬운 부분이었을 것이다. [각주] [[분류:1959년 출생]][[분류:1977년 데뷔]][[분류:1998년 은퇴]][[분류:제다 출신 인물]][[분류:사우디아라비아의 무슬림]][[분류:사우디아라비아의 축구선수]][[분류:원클럽맨/축구]][[분류:알 나스르 FC/은퇴, 이적]][[분류:원클럽맨/축구]][[분류:사우디아라비아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94 FIFA 월드컵 미국 참가 선수]][[분류:사우디아라비아의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분류:1984 AFC 아시안컵 싱가포르 참가 선수]][[분류:1988 AFC 아시안컵 카타르 참가 선수]][[분류:사우디아라비아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1984 LA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축구 국가대표팀 최다 득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