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마인크래프트/아이템]]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마인크래프트/아이템)]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고대 잔해, rd1=마인크래프트/아이템/자연 블록, anchor1=고대 잔해)]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뼛가루\, 엔더 진주\, 엔더의 눈, rd1=마인크래프트/아이템/도구 및 유용한 물건)]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복어\, 황금 당근, rd1=마인크래프트/아이템/음식 및 음료)]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거북 등딱지, rd1=마인크래프트/아이템/전투)] [include(틀:마인크래프트/아이템)] [목차] == 개요 == [[마인크래프트]]의 아이템들 중, 크리에이티브 인벤토리에서 {{{+1 재료(Ingredients)}}} 탭에 분류된 아이템들을 칭한다. == 지하 자원 == * 원석 계열은 베드락 에디션에서 "원시-" 로 번역되었다. === 석탄/숯 === [anchor(석탄)][anchor(숯)] ||<-2> {{{+2 '''석탄/숯'''}}}[br](Coal/Charcoal) || ||<-2> [[파일:석탄(마인크래프트)up.png|width=80]][[파일:목탄(마인크래프트)up.png|width=80]][br]{{{-2 석탄, 숯}}} || || '''용도''' || 연료 및 재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화로 || [[파일:Minecraft Crafting Coal.gif|width=100%]] ||}}}}}}}}} || '''석탄'''은 [[../자연 블록#석탄 광석|석탄 광석]]을 부숴서 구할 수 있으며, '''숯'''은 오버월드 나무의 원목을 화로에 가열하여 구할 수 있다. 석탄도 광석을 가열하면 나오나, 연료인 석탄을 얻기 위해 다른 연료를 소비해야 하므로 그냥 캐는 것이 효율적이다. 석탄과 숯은 공통적으로 화로의 연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 밖에 횃불이나 모닥불 등 여러 조합에 서로 대체 가능한 재료로 사용된다. 석탄은 블록으로 압축할 수 있고 주민 거래에 사용되나, 숯은 압축이 불가능하고 거래에 사용되지 않는다. 숯의 존재 의의는 석탄을 구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대체품으로 기능하는 것이다. [clearfix] === 철 === [anchor(철 원석)][anchor(철 주괴)][anchor(철 조각)] ||<-2> {{{+2 '''철'''}}}[br](Iron) || ||<-2> [[파일:철 원석.png|width=80]] [[파일:철괴(마인크래프트)up.png|width=80]][[파일:철 조각(마인크래프트)up.png|width=80]][br]{{{-2 원석, 주괴, 조각}}} || || '''용도''' || 재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화로 || [[파일:Minecraft Crafting Iron.gif|width=100%]] || || 제작대 || [[파일:Minecraft Crafting Iron2.png|width=100%]] ||}}}}}}}}} || [[../자연 블록#철광석|철광석]]을 부숴서 '''철 원석(Raw Iron)'''을 구할 수 있으며 원석을 화로에 가열하여 '''철 주괴(Iron Ingot)'''로 만들 수 있다. 주괴는 좀비류나 철 골렘 처치시 드롭되기도 하며 일부 구조물의 상자에서 나오기도 한다. 광석을 화로에 가열해도 철 주괴로 만들 수 있으나, 특정 아이템의 드롭 갯수를 늘려 주는 행운 (Fortune) [[마인크래프트/마법 부여|마법 부여]]가 적용된 곡괭이가 있을 경우 광석 1블록을 캐도 확률적으로 원석이 여러 개 드롭되므로 효율이 떨어진다. 마인크래프트 초반의 최종 목표이기도 하다. 철이 있어야 다이아몬드를 캘 수 있게 되고 본격적인 방어구도 갖출 수 있게 됨으로써 본격적인 게임 플레이에 돌입한다고 볼 수 있다. 철 주괴는 분해해서 '''철 조각(Iron Nugget)'''으로 만들 수 있으며 반대로 철 조각을 철 주괴로 압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작 말고도 일부 구조물의 상자에서 구할 수 있고 철이 주 재료인 아이템을 화로에 가열하면 철 조각이 나온다. 철 조각은 쇠사슬과 랜턴의 제작에 사용된다. [clearfix] === 구리 === [anchor(구리 원석)][anchor(구리 주괴)] ||<-2> {{{+2 '''구리'''}}}[br](Copper) || ||<-2> [[파일:구리 원석.png|width=80]] [[파일:마인크래프트_구리괴.png|width=80]][br]{{{-2 원석, 주괴}}} || || '''용도''' || 재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화로 || [[파일:Minecraft Crafting Copper3.gif|width=100%]] ||}}}}}}}}} || [[../자연 블록#구리 광석|구리 광석]]을 부숴서 '''구리 원석(Raw Copper)'''을 구할 수 있으며 원석을 화로에 가열하여 '''구리 주괴(Copper Ingot)'''로 만들 수 있다. 주괴는 드라운드를 처치시 가끔 나오기도 한다. 광석도 화로에 가열하면 구리 주괴로 만들 수 있다. 채집, 전투 도구나 갑옷 등지에는 재료로 사용되지 않으나, 비교적 높은 고도에서 쉽게 대량으로 찾을 수 있는 광물로서 압축하여 건축 블록으로 활용되거나, 망원경, 피뢰침의 제작에 사용된다. [clearfix] === 금 === [anchor(금 원석)][anchor(금 주괴)][anchor(금 조각)] ||<-2> {{{+2 '''금'''}}}[br](Gold) || ||<-2> [[파일:금 원석.png|width=80]] [[파일:금괴(마인크래프트)up.png|width=80]][[파일:금 조각(마인크래프트)up.png|width=80]][br]{{{-2 원석, 주괴, 조각}}} || || '''용도''' || 재료, 거래 재화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화로 || [[파일:Minecraft Crafting Gold.gif|width=100%]] || || 제작대 || [[파일:Minecraft Crafting Gold2.png|width=100%]] ||}}}}}}}}} || 지하에서 [[../자연 블록#금광석|금광석]]을 부숴서 '''금 원석(Raw Gold)'''을 구할 수 있으며 원석을 화로에 가열하여 '''금 주괴(Gold Ingot)'''으로 만들 수 있다. 주괴는 좀비화 피글린을 처치하거나 일부 구조물의 상자에서 구할 수 있다. 광석도 화로에 가열하면 금 주괴로 만들 수 있다. 금은 석탄/철/다이아몬드와 함께 오랫동안 존재해왔던 지하 자원중 하나이다. 도구/갑옷의 재료로 사용이 가능하나 성능과 내구도 전부 처참한 수준이지만 피글린의 어그로를 끌지 않기 위해서는 적어도 금 갑옷 한 부위는 입어야하고, 금 주괴 자체가 피글린과 거래 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재화기도 하다. 그 외에 황금 사과, 황금 당근 같은 아이템에도 사용되며, 광산 수레를 움직이기 위한 전동 레일의 제작에도 필요하고, 무엇보다 네더라이트 주괴를 만들려면 금괴 4개가 필요하기 때문에 필요성은 철, 다이아몬드와 함께 매우 높다. 금 주괴는 분해해서 '''금 조각 (Gold Nugget)'''으로 만들 수 있으며 반대로 금 조각을 금 주괴로 압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금 조각은 제작 말고도 일부 구조물의 상자에서 나올 수 있고 금이 주 재료인 아이템을 화로에 가열하면 금 조각이 나온다. [clearfix] === 에메랄드 === ||<-2> {{{+2 '''에메랄드'''}}}[br](Emerald) || ||<-2> [[파일:에메랄드(마인크래프트/아이템)up.png|width=100]] || || '''용도''' || 거래 재화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화로 || [[파일:Minecraft Crafting Emerald.png|width=100%]] ||}}}}}}}}} || [[../자연 블록#에메랄드 광석|에메랄드 광석]]을 부수거나 화로에 가열해 획득할 수 있다. [[우민(마인크래프트)|변명자·소환사]]를 처치해서 구하거나 일부 구조물의 상자에서 구할 수 있고, 주민과의 거래로도 구할 수 있다. 9개를 모아 블록으로 압축할 수 있다. 건축에 활용할 수도 있지만, 주민과의 거래에 필요한 화폐로서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 구매와 판매 모두에 에메랄드가 통용되므로,지나치게 남는 자원이 있다면 주민에게 판매함으로써 에메랄드의 수량을 불릴 수 있다. 더 많은 에메랄드는 더 큰 구매력을 제공하므로, 모든 주력 아이템이 갖춰지는 후반에 다다르기 전까지는 에메랄드를 최대한 많이 얻고 자주 소비해 주는 것이 좋다. 반대로, 주민과 거래를 잘 하지 않는다면 에메랄드의 가치는 번거로운 장식 블록 수준으로 떨어지게 된다. [clearfix] === 청금석 === ||<-2> {{{+2 '''청금석'''}}}[br](Lapis Lazuli) || ||<-2> [[파일:청금석(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마법 부여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화로 || [[파일:Minecraft Crafting Lapis.png|width=100%]] ||}}}}}}}}} || [[../자연 블록#청금석 광석|청금석 광석]]을 부수거나 화로에 가열하여 만들 수 있다. 일부 구조물의 상자나 성직자 주민과의 거래로도 구할 수 있다. 주요 사용처는 [[마인크래프트/마법 부여|마법 부여]]인데, 도구/갑옷에 마법을 부여할 때 단계마다 1~3 개의 청금석을 요구한다. 이 밖에는 분해해서 파란색 염료로 만들 수 있다. 베드락 에디션은 분해 과정을 거치지 않고 청금석을 파란색 염료 대신 사용할 수 있다. [clearfix] === 다이아몬드 === ||<-2> {{{+2 '''다이아몬드'''}}}[br](Diamond) || ||<-2> [[파일:다이아몬드(마인크래프트/아이템)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화로 || [[파일:Minecraft Crafting Diamond.png|width=100%]] ||}}}}}}}}} || 지하에서 [[../자연 블록#다이아몬드 광석|다이아몬드 광석]]을 부수거나 화로에 가열하여 만들 수 있다. 여러 구조물의 상자에서도 나오기도 한다. 석탄, 철, 금과 함께 10여년 넘게 존재해온 중반부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지하 자원으로, 다이아몬드를 구했다는 것은 철보다 상위의 내구도, 성능을 가진 도구/갑옷을 제작하는 첫걸음을 떼게 되었다는 것이고, 마법 부여대를 제작해 성능을 보다 증대시킬 수도 있다. 다른 광석들과 마찬가지로 다이아몬드 9개를 다이아몬드 블록 1개로 압축할 수 있다. 현실 다이아몬드의 희귀성과 가치와도 연결되어 마인크래프트 팬덤 내에서도 다이아몬드는 갑부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clearfix] === 네더라이트 === [anchor(네더라이트 파편)][anchor(네더라이트 주괴)] ||<-2> {{{+2 '''네더라이트'''}}}[br](Netherite) || ||<-2> [[파일:Netherite_Scrap.png|width=80]] [[파일:150px-Netherite_Ingot.png|width=80]][br]{{{-2 네더라이트 파편, 주괴}}} || || '''용도''' || 재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화로 || [[파일:Minecraft Crafting Netherite.png|width=100%]] || || 제작대 || [[파일:Minecraft Crafting Netherite2.png|width=100%]] ||}}}}}}}}} || [[../자연 블록#고대 잔해|고대 잔해]]를 화로에 가열해 '''네더라이트 파편(Netherite Scrap)'''으로 만들 수 있고 네더라이트 파편과 금 주괴로 '''네더라이트 주괴(Netherite Ingot)'''를 만들 수 있다. 둘 다 보루 잔해의 상자 에서 종종 나온다. 마인크래프트 개발 버전에 다이아몬드가 등장한 이래 10여년 만에 추가된 다이아몬드의 상위 지하 자원. 현재에 플레이어가 사용하는 네더라이트는 [[../자연 블록#고대 잔해|고대 잔해]]를 발굴해 이를 재가공하는 방식이다. 오직 다이아몬드 도구/갑옷에만 업그레이드 재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다이아몬드를 충분히 확보하기 전까지는 네더라이트를 제작해도 사용처가 제한된다. 도구/갑옷의 업그레이드 외, 네더라이트가 아이템 제작에 사용되는 경우는 나침반이 작동하지 않는 네더와 엔드에서 나침반이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방위를 제공하는 자석석을 제작하는 것 뿐이다. 고대 잔해 및 네더라이트 도구/갑옷들과 공유하는 성질로, 아이템 상태에서도 용암이나 불에 의해 제거되지 않는다. 최상위 지하 자원인 만큼 상당히 어려운 가공 과정을 거치는데, 우선 원료인 고대 잔해부터 상당히 드문드문 분포되어있고 네더 지형 특성상 용암 웅덩이가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그런데 고대 잔해는 1차로 화로에 가열해 파편으로 가공해야해서 무조건 1:1로만 나오며, 이 파편 4개에다가 금괴 4개까지 써야 주괴가 하나 나온다. 즉, 일반적인 광석:주괴 비율이 1:1+a(행운 마법 부여 시) 인 다른 지하 자원에 비해 무조건 (4+4):1 인 것. 그래서 네더라이트 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등(대표적으로 네더라이트 블록 신호기)은 다이아몬드를 뛰어넘는 사치의 상징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 예시로 네더라이트 블록으로 신호기를 활성화하려면 고대 잔해와 금 광석을 각각 무려 5904개를 구해서 가공하여야 한다. 포켓 에디션에서는 네테라이트로 잘못 음역되었다. [clearfix] === 네더 석영 === ||<-2> {{{+2 '''네더 석영'''}}}[br](Nether Quartz) || ||<-2> [[파일:석영(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화로 || [[파일:Minecraft Crafting NetherQuartz.png|width=100%]] ||}}}}}}}}} || [[../자연 블록#네더 광석|네더 석영 광석]]을 부수거나 화로에 가열하여 만들 수 있다. 피글린과 거래를 하거나 보루 잔해의 상자에서 구할 수도 있다. 블록으로 만들어 건축에 사용하거나 일부 레드스톤 기구 및 섬록암, 화강암을 인공적으로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clearfix] === 자수정 조각 === ||<-2> {{{+2 '''자수정 조각'''}}}[br](Amethyst Shard) || ||<-2> [[파일:마인크래프트_자수정_조각.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자연 블록#자수정 군집|자수정 군집]]을 부수면 구할 수 있다. 일부 아이템 제작의 재료로 사용된다. 주크박스 음악으로 춤추는 중인 알레이에게 자수정 조각을 주면 새로운 알레이가 생성된다. [clearfix] == 일반 재료 == 몹 처치, 특정 구조물을 통한 입수가 주요 획득처가 아닌 경우 여기에 서술했다. === 막대기 === ||<-2> {{{+2 '''막대기'''}}}[br](Stick) || ||<-2> [[파일:막대기(마인크래프트).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작대 || [[파일:Minecraft Crafting Stick.gif|width=100%]] ||}}}}}}}}} || 나무 판자류 블록이나 대나무로 만들 수 있으며, 나뭇잎류나 마른 덤불을 부수거나 낚시를 통해 쓰레기 판정으로 나오기도 한다. 도구, 횃불을 비롯한 다양한 곳에 사용되는 다용도 재료로, 빛이 없는 동굴을 탐험할 때 횃불과 함께 막대기나 그 재료인 나무 판자를 충분히 가져가는 것도 좋다. 지하에서 석탄을 비롯한 광석은 구할 수 있지만, 막대기는 폐광을 제외하면 지상에서 원재료를 공수해야 하므로 횃불이 부족할 때 즉석에서 제작하여 보충할 수 있다. [clearfix] === 부싯돌 === ||<-2> {{{+2 '''부싯돌'''}}}[br](Flint) || ||<-2> [[파일:부싯돌(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자갈을 부수거나[* 행운 마법 부여로 자갈이 부싯돌이 될 확률을 높일 수 있다. 행운 Ⅲ이 부여된 도구를 사용할 경우 100% 확률로 부싯돌이 된다.] 화살 제조인 주민과의 거래로 구할 수 있다. 일부 아이템의 재료로 사용되나 그 중 가장 많이 제작하게 되는 것은 부싯돌과 부시. 화살은 무한을 사용할게 아니면 다량을 만들기에는 부싯돌 구하기가 귀찮기 때문에 보통 주민 거래나 스켈레톤을 통해서 구하는 편이며 화살 제작대는 막대기 거래 용도가 아니면 잘 쓰질 않아 의미가 없다. 그 외에는 사용처가 없어서 버려지는 아이템중 하나이다. [clearfix] === 밀 === ||<-2> {{{+2 '''밀'''}}}[br](Wheat) || ||<-2> [[파일:밀(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자연 블록#밀 씨앗|밀 씨앗]]을 경작지에 심어 다 자란 작물을 수확하여 얻을 수 있다. 아니면 건초 더미를 분해하거나 일주 구조물의 상자에서 구할 수 도 있다. 기본적으로 게임 내에 구현된 [[../음식 및 음료#제과류|제과류 음식]]을 만드는데 사용되며 다양한 동물들의 먹이및 유인, 번식 용도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양, 소, 무시룸, 염소 밀을 들고 있으면 일정 범위 내 해당 몹들은 플레이어를 향해 오게 되며 들고 상호작용하면 먹어서 번식 상태로 만들어 새끼를 낳을 수 있게 해준다. 새끼가 먹으면 성장이 10% 촉진된다. * 라마, 말 야생 상태일때 먹여서 보다 쉽게 길들일 수 있게 해주며, 길들인 상태에서 먹이면 생명력을 회복한다. [clearfix] === 눈덩이 === ||<-2> {{{+2 '''눈덩이'''}}}[br](Snowball) || ||<-2> [[파일:눈덩이(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투척 || 눈을 삽으로 부수거나, 눈 블록을 섬세한 손길 없이 부술 경우 획득할 수 있다. 눈 블록의 제작에 사용되며 이외에도 들고 오른쪽 클릭을 통해 투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상에게 던질 시, 대미지 없이 밀치기만 하나 블레이즈의 경우 3의 피해를 받는다. [clearfix] === 달걀 === ||<-2> {{{+2 '''달걀'''}}}[br](Egg) || ||<-2> [[파일:달걀(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투척 || 닭이 일정 시간마다 일정 확률로 아이템 형태로 생성한다. 재료로써는 케이크, 호박 파이 이외에는 없으나, 투척할 수 있는데 착탄시 1/8 확률로 아기 닭[* 병아리가 아니므로 주의할 것. 이는 개구리를 제외한 모든 마인크래프트 몹의 새끼 개체는 성체의 소형화로 단순화시켰기 때문이다.]한 마리가 나온다. 이 외에도 1/32 확률로 2마리가 동시에 나오며, 1/256 확률로 4마리까지 나온다 [clearfix] === 벌집 조각 === ||<-2> {{{+2 '''벌집 조각'''}}}[br](Honeycomb) || ||<-2> [[파일:벌집 조각(Honeycomb).png|width=100]] || || '''용도''' || 재료, 밀랍칠 || 꿀이 가득찬 벌집/통을 가위로 상호작용하면 얻을 수 있다. 벌집에 연기를 쐬지 않고 플레이어가 채집하면 주변 벌들이 자극받아 플레이어를 공격한다. 벌집 조각 2개와 실 하나를 조합하여 초를 만들 수 있다. 벌집 조각을 들고 구리 블록에 상호작용하면 조각을 소모하여 해당 구리 블록에 밀랍칠을 해 산화 과정을 중단시킨다. 많은 수의 구리 블록에 밀랍칠을 할 경우 조합창에 구리 블록과 벌집 조각을 넣어 밀랍칠이 된 구리 블록을 얻을 수 있다. [clearfix] === 점토 덩이 === ||<-2> {{{+2 '''점토 덩이'''}}}[br](Clay Ball) || ||<-2> [[파일:점토 덩이(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점토 블록을 부수거나 주민 마을의 상자[* 석공 집]에서 종종 구할 수 있다. 블록을 부술때 섬세한 손길 마법이 아니라면 무조건 덩이 4개가 나오므로 그대로 다시 블록으로 만들어서 활용하거나 아니면 이를 화로에 가열해 아이템 벽돌로 만들어서 쓸 수 있다. [clearfix] === 그릇 === ||<-2> {{{+2 '''그릇'''}}}[br](Bowl) || ||<-2> [[파일:그릇(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작대 || [[파일:Minecraft Crafting Bowl.png|width=100%]] ||}}}}}}}}} || 나무 판자류 블록으로 만들 수 있다. 거북이 번개에 의해 처치될 경우에도 획득할 수 있다. [[../음식 및 음료#스튜|스튜류 아이템]]을 만드는데 사용되며 해당 아이템들을 섭취하고 나면 그릇이 된다. 무시룸에 대고 우클릭을 할 경우 버섯 스튜를 얻을 수 있으며, 꽃을 먹인 갈색 무시룸에 우클릭을 할 경우, 그 꽃에 해당하는 효과를 부여하는 수상한 스튜를 얻을 수 있다. [clearfix] === 벽돌 === [anchor(네더 벽돌)] ||<-2> {{{+2 '''벽돌'''}}}[br](Brick) || ||<-2> [[파일:벽돌(마인크래프트)up.png|width=80]] [[파일:네더 벽돌(마인크래프트/아이템)up.png|width=80]][br]{{{-2 벽돌, 네더 벽돌}}} || || '''용도''' || 재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화로 || [[파일:Minecraft Crafting Brick.png|width=100%]][br][[파일:Minecraft Crafting Brick2.png|width=100%]] ||}}}}}}}}} || '''벽돌(Brick)'''은 점토 덩이를 화로에 가열하거나 [[주민(마인크래프트)#석공|석공 주민]]과의 거래로 구할 수 있다. 블록 벽돌 외에도 화분을 만드는데도 쓰인다. '''네더 벽돌(Nether Brick)'''은 [[../자연 블록#네더랙|네더랙]]을 화로에 가열하거나 피글린과의 거래로 구할 수 있다. 블록 네더 벽돌 외에도 네더 벽돌 울타리, 붉은 네더 벽돌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clearfix] === 종이/책 === [anchor(종이)][anchor(책)] ||<-2> {{{+2 '''종이/책'''}}}[br](Paper/Book) || ||<-2> [[파일:종이(마인크래프트)up.png|width=80]] [[파일:책(마인크래프트)up.png|width=80]][br]{{{-2 종이, 책}}} || || '''용도''' || 재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작대 || [[파일:Minecraft Crafting Paper.png|width=100%]][br][[파일:Minecraft Crafting Book.png|width=100%]] ||}}}}}}}}} || '''종이'''는 사탕수수로 만들 수 있고, 근거지의 도서관 방에서 다량으로 발견된다. 책이나 지도와 같은 활용처는 제한적인 편이다. '''책'''은 종이와 가죽으로 만들 수 있다. 책장및 책과 깃펜을 만들때 쓰이는게 보통이나 이 자체를 마법 부여대를 통해 마법 부여를 할 경우 [[#마법이 부여된 책|마법이 부여된 책]]이 된다. [clearfix] === 폭죽 탄약 === ||<-2> {{{+2 '''폭죽 탄약'''}}}[br](Firework Star) || ||<-2> [[파일:폭죽 탄약(마인크래프트/아이템)up.gif|width=100]][br][[파일:폭죽 탄약(마인크래프트/아이템)바.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작대 || [[파일:Minecraft Crafting FireworkStar.png|width=100%]][br]{{{-2 조합법의 일부}}} ||}}}}}}}}} || 화약과 염료, 그리고 추가 재료를 넣어 만들 수 있다. 폭죽 로켓 제작에 사용되는 옵션 재료로 탄약이 없어도 폭죽 로켓은 만들어지나, 다 날아가면 픽 사라질 뿐인 상태가 된다. 흔하게 아는 폭죽의 모습을 보고 싶다면 폭죽 탄약을 만들어 넣어야한다. 위에서 언급된 추가 재료는 폭죽이 터질때 생기는 이펙트에 변화를 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808080> '''모양 효과'''[br]{{{-2 제작시 1개 까지 넣을 수 있다.}}} || || '''재료''' || '''효과 이름''' || '''효과''' || || - || 작은 구형 || 작고 둥근 불꽃 || || 화염구 || 큰 구형 || 크고 둥근 불꽃 || || 머리 || 크리퍼 모양 || 크리퍼 얼굴 형태의 불꽃 || || 금 조각 || 별 모양 || 별 모양 불꽃 || || 깃털 || 폭발형 || 불규칙한 모양의 불꽃 || ||<-3><#808080> '''추가 효과'''[br]{{{-2 제작시 2개 까지 넣을 수 있다.}}} || || '''재료''' || '''효과 이름''' || '''효과''' || || 발광석 가루 || 반짝이는 효과 || 불꽃이 반짝이며 사라짐 || || 다이아몬드 || 잔상 효과 || 불꽃이 퍼지며 잔상을 남김 ||}}} 만들고 난 뒤의 폭죽 탄약과 염료를 추가로 조합할 수 있게 되는데 이렇게 만든 폭죽 탄약으로 만든 폭죽 로켓은 터질때 불꽃이 사라지는 과정에서 추가한 염료의 색으로 변하는 효과가 추가된다. [clearfix] == 전리품 == 몹 처치, 특정 구조물을 통한 입수가 주요 획득처인 경우 여기에 서술했다. === 뼈다귀 === ||<-2> {{{+2 '''뼈다귀'''}}}[br](Bone) || ||<-2> [[파일:뼈(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기본적으로 스켈레톤 류 몹을 잡아서 구할 수 있다. 일부 구조물의 상자에서 나오기도 한다. 분해하여 [[../도구 및 유용한 물건#뼛가루|뼛가루]]로 만들거나, 늑대를 길들일때 사용할 수 있다. 장착이 가능한 아이템은 아니나, 명령어를 통해 머리에 장착할 경우 기본 스킨 기준, 입부분에 붙어 마치 뼈다귀를 물고 있는 모습이 된다. [clearfix] === 실 === ||<-2> {{{+2 '''실'''}}}[br](String) || ||<-2> [[파일:실(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 '''최적화 도구''' || 없음 || || '''경도''' || 0 || || '''폭발 저항''' || 0 || 기본적으로 거미류 몹들과 스트라이더를 잡아서 구할 수 있다. 거미줄을 가위가 아닌 것으로 부수거나, 피글린과의 물물 거래등의 입수처도 있다. 블록처럼 배치할 수 있는데, 이는 [[../레드스톤 블록#철사 덫 갈고리|철사 덫 갈고리]]에 연결하여 작동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설치된 실은 자세히 보지 않으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연하게 보인다. 물, 용암이 흘러들어오거나 피스톤에 밀리거나 당겨지면 아이템화된다. 반면 갈고리나 지탱하는 블록이 없어도 설치가 가능하다. [clearfix] === 깃털 === ||<-2> {{{+2 '''깃털'''}}}[br](Feather) || ||<-2> [[파일:깃털(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닭, 앵무새를 처치해서 구할 수 있다. 화살, 책과 깃펜 등 일부 아이템의 재료로 사용된다. 착용할 수 있는 아이템은 아니지만 명령어를 통해 머리에 장착하면 머리 뒷 부분의 위로 세워서 꽂은 모습이 된다. [clearfix] === 가죽 === [anchor(토끼 가죽)] ||<-2> {{{+2 '''가죽'''}}}[br](Leather) || ||<-2> [[파일:가죽(마인크래프트)up.png|width=80]] [[파일:토끼 가죽(마인크래프트)up.png|width=80]][br]{{{-2 가죽, 토끼 가죽}}} || || '''용도''' || 재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작대 || [[파일:Minecraft Crafting Leather.png|width=100%]] ||}}}}}}}}} || '''가죽(Leather)'''은 기본적으로 소, 말, 라마 등 몹들을 잡아 구할 수 있다. 일부 구조물에서 구할 수 있으며 토끼를 잡아서 구하는 '''토끼 가죽(Rabbit Hide)''' 4개를 모아 가죽 1개로 만들 수도 있다. 가죽은 가죽 갑옷을 비롯한 일부 아이템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clearfix] === 먹물 주머니 === [anchor(발광 먹물 주머니)] ||<-2> {{{+2 '''먹물 주머니'''}}}[br](Ink Sac) || ||<-2> [[파일:먹물(마인크래프트)up.png|width=80]] [[파일:마인크래프트_발광_먹물_주머니.png|width=80]][br]{{{-2 먹물 주머니, 발광 먹물 주머니}}} || || '''용도''' || 재료 || 오징어를 잡아서 '''먹물 주머니(Ink Sac)'''를, 발광 오징어를 잡아서 '''발광 먹물 주머니(Glow Ink Sac)'''를 구할 수 있다. 먹물 주머니는 일부 아이템의 제작에 사용되며 글씨가 염색되거나 빛이나는 표지판에 사용해 되돌릴 수 있다. 발광 먹물 주머니는 표지판에 사용하여 글씨의 테두리가 빛이 나게되어 어둠 속에서도 글을 볼 수 있게 해준다. 이 밖에 좀비류 몹은 이 아이템을 주울 수 없다는 특이점이 있다. [clearfix] === 인갑 === ||<-2> {{{+2 '''인갑'''}}}[br](Scute) || ||<-2> [[파일:인갑(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새끼 거북이 성체로 자라는 순간 드롭되는, 희귀한 아이템 중 하나이다. 성체나 새끼 거북을 처치할 경우 나오지 않는다. [[../전투#거죽 등딱지|거북 등딱지]] 제작에 사용된다. [clearfix] === 슬라임볼 === ||<-2> {{{+2 '''슬라임볼'''}}}[br](Slime Ball) || ||<-2> [[파일:슬라임 볼(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주로 가장 작은 슬라임을 처치하여 얻을 수 있다. 그외에 판다가 재채기를 할때 낮은 확률로 생성되기도 한다. [[../레드스톤 블록#슬라임 블록|블록으로 압축]]할 수 있으며 일부 아이템의 재료로 사용되거나 특성을 활용하여 레드스톤 설비 제작에 사용된다. [clearfix] === 블레이즈 막대기/가루 === [anchor(블레이즈 막대기)][anchor(블레이즈 가루)] ||<-2> {{{+2 '''블레이즈 막대기/가루'''}}}[br](Blaze Rod/Powder) || ||<-2> [[파일:블레이즈 막대기(마인크래프트).png|width=80]] [[파일:블레이즈 가루(마인크래프트).png|width=80]][br]{{{-2 블레이즈 막대기, 가루}}} || || '''용도''' || 재료, 연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작대 || [[파일:Minecraft Crafting Blaze.png|width=100%]] ||}}}}}}}}} || '''블레이즈 막대기(Blaze Rod)'''는 블레이즈를 처치시 구할 수 있으며 화로의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아이템의 재료로 사용된다. '''블레이즈 가루(Blaze Powder)'''는 블레이즈 막대기 1개로 2개를 만들 수 있다. 일부 아이템의 재료로 사용된다. 양조기의 연료로 사용되며 양조기에다가 양조 재료로 사용할 경우 어색한 물약을 [[../음식 및 음료#힘의 물약|힘의 물약]]으로 만든다. [clearfix] === 네더의 별 === ||<-2> {{{+2 '''네더의 별'''}}}[br](Nether Star) || ||<-2> [[파일:네더의 별(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위더]]를 처치하면 구할 수 있다. [[../기능 블록#신호기|신호기]]의 재료로 사용된다. 다른 아이템과 달리 아이템 상태로도 폭발에 면역이며, 디스폰까지 10분[* BE에서는 아예 디스폰 되지 않는다.]이 걸리는 특징을 홀로 가지고 있다. [clearfix] === 바다 전리품 === [anchor(프리즈마린 조각)][anchor(프리즈마린 수정)] ||<-2> {{{+2 '''프리즈마린 조각/수정'''}}}[br](Prismarine Shards/Crystals) || ||<-2> [[파일:프리즈머린 조각(마인크래프트)up.png|width=80]] [[파일:프리즈머린 수정(마인크래프트)up.png|width=80]][br]{{{-2 프리즈마린 조각, 수정}}} || || '''용도''' || 재료 || 기본적으로 가디언 처치시 구할 수 있다. 바다 랜턴을 섬세한 손길 없이 부수면 프리즈머린 수정이 나온다. 프리즈머린 계열 블록을 제작하는데 사용된다. [clearfix] ---- [anchor(앵무조개 껍데기)][anchor(바다의 심장)] ||<-2> {{{+2 '''바다의 심장'''}}}[br](Heart of the Sea) || ||<-2> [[파일:앵무조개 껍데기(마인크래프트)up.png|width=80]] [[파일:바다의 심장(마인크래프트)up.png|width=80]][br]{{{-2 앵무조개 껍데기, 바다의 심장}}} || || '''용도''' || 재료 || '''앵무조개 껍데기(Nautilus Shell)'''은 이 아이템을 든 드라운드를 처치하거나, 낚시 보물 판정으로 획득하거나, 떠돌이 상인과의 거래를 통해서 구할 수 있다. '''바다의 심장(Heart of the Sea)'''은 [[마인크래프트/구조물#땅에 묻힌 보물|땅에 묻힌 보물 상자]] 속에서 하나가 반드시 들어있다. 이 두 아이템은 [[../기능 블록#전달체|전달체]]를 만드는 재료로 사용된다. [clearfix] === 엔드 차원 전리품 === [anchor(셜커 껍데기)] ||<-2> {{{+2 '''셜커 껍데기'''}}}[br](Shulker Shell) || ||<-2> [[파일:셜커 껍질(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셜커를 처치시 구할 수 있다. [[../기능 블록#셜커 상자|셜커 상자]]를 제작하는데 사용된다. [clearfix] ---- [anchor(튀긴 후렴과)] ||<-2> {{{+2 '''튀긴 후렴과'''}}}[br](Popped Chorus Fruit) || ||<-2> [[파일:튀긴 후렴과(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화로 || [[파일:Minecraft Crafting PoppedChorusFruit.png|width=100%]] ||}}}}}}}}} || 후렴과를 화로에 가열하여 만들 수 있다. [[../건축 블록#퍼퍼 블록|퍼퍼 블록]], [[../기능 블록#엔드 막대|엔드 막대]]를 제작하는데 사용된다. [clearfix] === 고대 도시 전리품 === [anchor(메아리 조각)][anchor(음반 파편)] ||<-2> {{{+2 '''고대 도시 전리품'''}}}[br](Ancient City Reward)[* 위키에서 임의로 부여한 이름] || ||<-2> [[파일:Echo_Shard.webp|width=80]] [[파일:Disc_Fragment.webp|width=80]][br]{{{-2 메아리 조각, 음반 파편}}} || || '''용도''' || 재료 || 고대 도시의 상자에서 구할 수 있다. '''메아리 조각(Echo Shard)'''은 [[../도구 및 유용한 물건#만회 나침반|만회 나침반]]의 제작에 사용되고, '''음반 파편(Disc Fragment)'''은 [[../도구 및 유용한 물건#음반|음반 - '5']]의 제작에 사용된다. [clearfix] == 염료 == [anchor(하얀색 염료)][anchor(회백색 염료)][anchor(회색 염료)][anchor(검은색 염료)][anchor(갈색 염료)][anchor(빨간색 염료)][anchor(주황색 염료)][anchor(노란색 염료)][anchor(연두색 염료)][anchor(초록색 염료)][anchor(청록색 염료)][anchor(하늘색 염료)][anchor(파란색 염료)][anchor(보라색 염료)][anchor(자홍색 염료)][anchor(분홍색 염료)] ||<-2> {{{+2 '''염료'''}}}[br](Dye) || ||<-2> [[파일:염료(마인크래프트).gif|width=100]][br][[파일:염료(마인크래프트)바.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 조합법은 본문의 표를 참고할 것 ]'''}}} || 마인크래프트 내에서 지원하는 16가지의 색을 만들어내기 위한 기초 재료로 염색이 가능한 경우는 다음과 같다. 가마솥에 담긴 물로 색을 뺄 수 있는 경우는 ^^ⓦ^^로 표기했다. * 양털 ^^ⓦ^^: 흰 양털과 염료를 조합해서 색을 입히거나, 양에게 염료를 사용하여 색을 입힌 양털을 깍을 수 있다. * 침대, 양탄자, 현수막은 색을 입힌 양털로 제작하는 것으로 색상이 결정된다. * 현수막은 [[../기능 블록#베틀|베틀]]에서 염료를 사용해 다양한 무늬를 입힐 수 있다. * 셜커 상자^^ⓦ^^, 초: 기본 색상 버전과 염료를 조합해 색을 입힐 수 있다. * 유리, 유리판: 기본 유리/유리판 8개와 염료를 조합해 색을 입힐 수 있다. * 색유리/색유리판을 다른 색상으로 바꿀 수 있다. * 테라코타: 기본 색상 버전과 염료롤 조합해 색을 입힐 수 있다. * 유광 테라코타는 염색된 테라코타를 화로에 가열하여 만들 수 있다. * 가죽 갑옷^^ⓦ^^, 가죽 말 갑옷^^ⓦ^^: 해당 아이템과 염료와 조합하여[* BE에서는 염료를 푼 물이 담긴 가마솥에 사용하여] 색을 입힐 수 있다. * 이미 색이 입혀진 것을 다시 염색하는 것으로 색을 섞을 수 있다. 나올 수 있는 색의 종류는 총 [[https://anrar4.github.io/DyeLeatherArmor/|5,713,438가지]]이다. * 길들인 늑대/고양이: 이들에게 염료를 사용시 목걸이의 색이 바뀐다. * 셜커^^BE^^: 염료를 들고 우클릭해 몸 색을 바꿀 수 있다. * 폭죽 탄약: 폭죽 탄약을 제작할 때 조합, 혹은 폭죽 탄약에 또 염료를 조합해 터질 때 다양한 색을 내는 폭죽 로켓을 만들 수 있다. ===# 조합법 PC 버전 #=== || '''하얀색 염료''' || '''회백색 염료''' || '''회색 염료''' || '''검은색 염료''' ||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gif|width=100%]]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2.gif|width=100%]]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3.png|width=100%]]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4.gif|width=100%]] || || '''갈색 염료''' || '''빨간색 염료''' || '''주황색 염료''' || '''노란색 염료''' ||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5.png|width=100%]]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6.gif|width=100%]]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7.gif|width=100%]]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8.gif|width=100%]] || || '''연두색 염료''' || '''초록색 염료''' || '''청록색 염료''' || '''하늘색 염료''' ||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9.png|width=100%]]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0.png|width=75%]]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1.png|width=100%]]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2.gif|width=100%]] || || '''파란색 염료''' || '''보라색 염료''' || '''자홍색 염료''' || '''분홍색 염료''' ||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3.gif|width=100%]]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4.png|width=100%]]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5.gif|width=100%]]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6.gif|width=100%]] || ===# 조합법 모바일 버전 #=== || '''하얀색 염료''' || '''회백색 염료''' ||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gif|width=100%]]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2.gif|width=100%]] || || '''회색 염료''' || '''검은색 염료''' ||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3.png|width=100%]]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4.gif|width=100%]] || || '''갈색 염료''' || '''빨간색 염료''' ||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5.png|width=100%]]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6.gif|width=100%]] || || '''주황색 염료''' || '''노란색 염료''' ||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7.gif|width=100%]]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8.gif|width=100%]] || || '''연두색 염료''' || '''초록색 염료''' ||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9.png|width=100%]]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0.png|width=75%]] || || '''청록색 염료''' || '''하늘색 염료''' ||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1.png|width=100%]]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2.gif|width=100%]] || || '''파란색 염료''' || '''보라색 염료''' ||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3.gif|width=100%]]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4.png|width=100%]] || || '''자홍색 염료''' || '''분홍색 염료''' ||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5.gif|width=100%]] || [[파일:Minecraft Crafting Dye16.gif|width=100%]] || == 양조 재료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양조, rd1=마인크래프트/아이템/기능 블록 ,anchor1=양조기)] === 유리병 === ||<-2> {{{+2 '''유리병'''}}}[br](Glass Bottle) || ||<-2> [[파일:유리병(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작대 || [[파일:Minecraft Crafting GlassBottle.png|width=100%]] ||}}}}}}}}} || 유리로 만들 수 있다. 물약및 물병, 꿀이 든 병을 사용시 유리병이 나온다. 물 근원이나 물이 든 가마솥에 사용하여 [[../음식 및 음료#물병|물병]]을 만들 수 있고 이 물병을 가지고 각종 물약을 [[../기능 블록#양조기|양조기]]를 통해 양조시켜 물약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이 밖에 엔더 드래곤의 화염구가 착탄한 곳의 입자에 사용하여 "드래곤의 숨결"을, 꿀이 가득 찬 벌집/통에 사용하여 "꿀이 든 병"으로 만들 수 있다. [clearfix] === 네더 사마귀 === ||<-2> {{{+2 '''네더 사마귀'''}}}[br](Nether Wart) || ||<-2> [[파일:네더 사마귀(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 '''경도''' || 0 || || '''폭발 저항''' || 0 || 네더 차원의 네더 요새에서 발견할 수 있다. 영혼 모래에 심어서 작물처럼 기를 수 있으며 다 자란 것을 부수면 네더 사마귀가 2-4개가 나온다. 블록 두가지가 네더 사마귀를 재료로 사용하며 양조기에 양조 재료로 사용하면 물병을 [[../음식 및 음료#어색한 물약|어색한 물약]]으로 만든다. [clearfix] === 발광석 가루 === ||<-2> {{{+2 '''발광석 가루'''}}}[br](Glowstone Dust) || ||<-2> [[파일:발광석 가루(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네더 차원에서 발견되는 발광석을 그냥 부수거나, 마녀 처치시 구할 수 있다. 발광석으로 다시 뭉칠 수 있으며, 분광 화살의 재료로 사용되다. 양조기에 양조 재료로 사용하면 만들어진 물약의 효과를 강화시켜 적용되는 상태 효과의 레벨을 올려준다. 그냥 물병에다가 할 경우 [[../음식 및 음료#진한 물약|진한 물약]]으로 만든다. [clearfix] === 화약 === ||<-2> {{{+2 '''화약'''}}}[br](Gunpowder) || ||<-2> [[파일:화약(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크리퍼, 가스트, 마녀를 처치시 나오며 여러 구조물의 상자에서도 구할 수 있다. 현실 마냥 그 자체가 불이 붙어 폭발하거나 하지 않으나 마인크래프트 테러의 대명사기도 한 [[../레드스톤 블록#TNT|TNT]]및 폭죽 탄약/로켓, 화염구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게임 후반부를 지나 엔더 드래곤을 처치하고 엔드 도시에서 겉날개를 획득했을 경우, 지속비행에 필수적인 폭죽 로켓을 제작하기 위해 화약이 필요하게 된다. 양조기에다가 양조 재료로 사용할 경우 물약을 [[../음식 및 음료#물약|투척용 물약]]으로 바꿔 투척 아이템으로 만든다. [clearfix] === 드래곤의 숨결 === ||<-2> {{{+2 '''드래곤의 숨결'''}}}[br](Dragon's Breath) || ||<-2> [[파일:드래곤의 숨결(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엔더 드래곤이 발사한 화염구가 착탄한 지점에 생겨난 구름에 유리병을 사용시 만들 수 있다. 양조기에 양조 재료로 사용하면 투척용 물약을 [[../음식 및 음료#물약|잔류형 물약]]으로 만들어 던지고 깨진 지점에 물약의 효과를 부여하는 구름을 만들어낸다. 양조가 완료된 후에는 유리병을 남긴다. [clearfix] === 거미 눈 === [anchor(발효된 거미 눈)] ||<-2> {{{+2 '''거미 눈'''}}}[br](Spider Eye) || ||<-2> [[파일:거미 눈(마인크래프트)up.png|width=80]][[파일:발효된 거미 눈(마인크래프트)up.png|width=80]][br]{{{-2 거미 눈, 발효된 거미 눈}}} || || '''용도''' || 재료, 섭취,,거미 눈,, || || '''배고픔[br]회복량''' || 2 || || '''부가 효과 ''' || 독 5초,,거미 눈,,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작대 || [[파일:Minecraft Crafting SpiderEye.png|width=100%]] ||}}}}}}}}} || '''거미 눈(Spider Eye)'''은 거미류 몹, 마녀 처치시 나오며 사막 피라미드의 상자에서도 나온다. 섭취가 가능한데 그러면 약간의 배고픔 회복에 독이 확정적으로 5초 간 지속 되기 때문에 무조건 손해다. 양조기에 양조 재료로 사용시 어색한 물약을 [[../음식 및 음료#독 물약|독 물약]]으로 만들며 물병을 [[../음식 및 음료#평범한 물약|평범한 물약]]으로 만든다. '''발효된 거미 눈(Fermented Spider Eye)'''는 거미 눈과 갈색 버섯, 설탕으로 만들 수 있으며 섭취는 불가능 하며 양조기에 양조 재료로 사용하면 치유의 물약을 [[../음식 및 음료#고통의 물약|고통의 물약]]으로, 신속의 물약을 [[../음식 및 음료#감속의 물약|감속의 물약]]으로, 야간 투시의 물약을 [[../음식 및 음료#투명화 물약|투명화 물약]]으로 만들며 물병을 [[../음식 및 음료#나약함의 물약|나약함의 물약]]으로 만든다. [clearfix] === 설탕 === ||<-2> {{{+2 '''설탕'''}}}[br](Sugar) || ||<-2> [[파일:설탕(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작대 || [[파일:Minecraft Crafting Sugar.gif|width=100%]] ||}}}}}}}}} || 사탕수수나 꿀이 든 병으로 만들 수 있다. 마녀를 처치하면 나오기도 한다. 기본적으로 [[../음식 및 음료#제과류|제과류]] 음식및 발효된 거미 눈의 제작에 사용되나 양조기에 양조 재료로 사용하면 어색한 물약을 [[../음식 및 음료#신속의 물약|신속의 물약]]으로 만들며 물병을 [[../음식 및 음료#평범한 물약|평범한 물약]]으로 만든다. [clearfix] === 토끼발 === ||<-2> {{{+2 '''토끼 발'''}}}[br](Rabbit's Foot) || ||<-2> [[파일:토끼 발(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기본적으로 토끼 처치시 낮은 확률로 나오며, 침대에서 잠을 잔 뒤 깨어날 때 길들인 고양이가 선물로 드랍할 수도 있다. 양조기에 양조 재료로 사용하면 어색한 물약을 [[../음식 및 음료#도약의 물약|도약의 물약]]으로 만들며 물병을 [[../음식 및 음료#평범한 물약|평범한 물약]]으로 만든다. 여담으로, 토끼의 발은 세계 여러 국가에서 전통적인 행운의 부적으로 여겨진다. [clearfix] === 반짝이는 수박 조각 === ||<-2> {{{+2 '''반짝이는 수박 조각'''}}}[br](Glistering Melon Slice) || ||<-2> [[파일:반짝이는 수박 조각(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작대 || [[파일:Minecraft Crafting GlisteringMelonSlice.png|width=100%]] ||}}}}}}}}} || 금 조각과 수박 조각으로 만들 수 있다. 양조기에 양조 재료로 사용하면 어색한 물약을 [[../음식 및 음료#치유의 물약|치유의 물약]]으로 만들며 물병을 [[../음식 및 음료#평범한 물약|평범한 물약]]으로 만든다. [clearfix] === 마그마 크림 === ||<-2> {{{+2 '''마그마 크림'''}}}[br](Magma Cream) || ||<-2> [[파일:마그마 크림(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조합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작대 || [[파일:Minecraft Crafting MagmaCream.png|width=100%]] ||}}}}}}}}} || 마그마 큐브를 처치하면 나오며 슬라임볼과 블레이즈 가루로 만들 수 있다. 양조기에 양조 재료로 사용하면 어색한 물약을 [[../음식 및 음료#화염 저항의 물약|화염 저항의 물약]]으로 만들며 물병을 [[../음식 및 음료#평범한 물약|평범한 물약]]으로 만든다. [clearfix] === 가스트 눈물 === ||<-2> {{{+2 '''가스트의 눈물'''}}}[br](Ghast's Tear) || ||<-2> [[파일:가스트의 눈물(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가스트 처치시 구할 수 있다. 양조기에 양조 재료로 사용하면 어색한 물약을 [[../음식 및 음료#재생의 물약|재생의 물약]]으로 만들며 물병을 [[../음식 및 음료#평범한 물약|평범한 물약]]으로 만든다. [clearfix] === 팬텀 막 === ||<-2> {{{+2 '''팬텀 막'''}}}[br](Phantom Membrane) || ||<-2> [[파일:팬텀 막(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팬텀을 처치하면 구할 수 있다. 길들인 고양이가 선물을 줄때 나오기도 한다. 모루를 통해 겉날개를 수리할때 필요한 아이템이다. 양조기에 양조 재료로 사용하면 어색한 물약을 [[../음식 및 음료#느린 낙하의 물약|느린 낙하의 물약]]으로 만들며 물병을 [[../음식 및 음료#평범한 물약|평범한 물약]]으로 만든다. [clearfix] == 현수막 무늬 == ||<-2> {{{+2 '''현수막 무늬'''}}}[br](Banner Pattern) || ||<-2> [[파일:현수막 무늬(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 조합법은 본문의 표를 참고할 것 ]'''}}} || [[../기능 블록#베틀|베틀]] 자체에서 지원하지 않는 현수막 무늬들을 구현하고자 할때 사용되는 아이템으로 베틀 UI 내 슬롯에 현수막, 염료와 함께 같이 넣어서 사용하게 된다. 판화처럼 사용하는지 현수막에 무늬를 새겨도 무늬 아이템은 소모되지 않는다. 에디션과는 무관하게 6가지의 무늬가 있으며 베드락 에디션 한정으로, 원래 자바 에디션에서는 무늬 아이템이 필요 없는 두가지가 무늬 아이템으로 구현되어있어 아이템이 있어야 사용할 수 있다. [clearfix] === 에디션 공용 무늬 === [anchor(꽃 모양)][anchor(크리퍼 모양)][anchor(해골 모양)][anchor(무언가)][anchor(지구 모양)][anchor(돼지코)] ||<-4> {{{#!wiki style="margin: -5px -10px" '''조합법이 있는 현수막 무늬'''}}} || || '''꽃 모양'''[br]{{{-2 Flower Charge}}} || '''크리퍼 모양'''[br]{{{-2 Creeper Charge}}} || '''해골 모양'''[br]{{{-2 Skull Charge}}} || '''무언가'''[* 찍혀나오는 무늬는 [[Mojang Studios]]의 구 로고이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직설적으로 'Mojang 로고'로 번역되었다.][br]{{{-2 Thing}}} || ||[[파일:Minecraft Crafting Pattern1.png|width=200]]||[[파일:Minecraft Crafting Pattern2.png|width=200]]||[[파일:Minecraft Crafting Pattern3.png|width=200]]||[[파일:Minecraft Crafting Pattern4.png|width=200]]|| * '''지구 모양''' (Globe) 지도 제작대 주민과의 거래로 구할 수 있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지구본'으로 번역되었다. * '''돼지코''' (Snout) 보루 잔해 구조물의 상자에서 구할 수 있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코'로 번역되었다. === 베드락 에디션 전용 무늬 === [anchor(톱니 테두리)][anchor(벽돌 무늬)] ||<-2> {{{#!wiki style="margin: -5px -10px" '''조합법'''}}} || || '''톱니 테두리'''[br]{{{-2 Bordure Indented}}} || '''벽돌 무늬'''[br]{{{-2 Field Masoned}}} || ||[[파일:Minecraft Crafting Pattern5.png|width=200]]||[[파일:Minecraft Crafting Pattern6.png|width=200]]|| == 마법 부여 관련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마법 부여, rd1=마인크래프트/마법 부여)] === 경험치 병 === ||<-2> {{{+2 '''경험치 병'''}}}[br](Bottle o' Enchanting) || ||<-2> [[파일:경험치 병(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성직자 주민과 거래를 하거나, 난파선과 약탈자 전초기지의 상자에서 구할 수 있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땅에 묻힌 보물로도 발견된다. 우클릭으로 사용시 투척용 물약처럼 던지며 깨지면 3 ~ 11 정도의 경험치 구슬이 그자리에 생성된다. [clearfix] === 마법이 부여된 책 === ||<-2> {{{+2 '''마법이 부여된 책'''}}}[br](Enchanted Book) || ||<-2> [[파일:마법 부여된 책(마인크래프트)up.png|width=100]] || || '''용도''' || 재료 || 책을 마법 부여대에서 마법을 부여해서 만들 수 있다. 이 밖에 낚시나 여러 구조물의 상자, 사서 주민과의 거래로도 구할 수 있다. 마법 부여대를 통해 부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마법 부여를 받을 수 있다. 이점을 이용해 여러 책에 마법 부여를 한 후 감별을 통해 도구/갑옷에 적합한 마법 부여들을 미리 만들어 두고, 모루를 통해서 마법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사서에게 구매하는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 도자기 조각 === ||<-2> {{{+2 '''도자기 조각'''}}}[br](Pottery Shard) || ||<-2>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70]][[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70]][[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70]][[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70]][br]{{{-2 궁수, 보물, 만세, 해골 도자기 조각}}} || || '''용도''' || 장식된 도자기 재료 || [[../기능 블록#수상한 모래|수상한 모래]]를 [[../도구 및 유용한 물건#솔|솔]]로 털었을때 나올 수 있다. [[../기능 블록#장식된 도자기|장식된 도자기]]의 재료로 사용되며 사용된 도자기 재료에 따라 도자기면에 새겨지는 문양이 달라진다. 도자기 조각에 따라 새겨져 있는 문양이 다르며 문양별 구할 수 있는 곳에 대해서는 수상한 모래 문단을 참고할 것. [clearfix] === 대장장이 형판 === ||<-2> {{{+2 '''대장장이 형판'''}}}[br](Smithing Template) || ||<-2>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 '''용도''' || 갑옷 치장 || 다양한 구조물에서 구할 수 있으며[* 단, 해안 갑옷 장식은 엘더 가디언을 잡는 식이다.] 다이아몬드와 형판, 형판별 정해진 블록[* 조약돌, 사암, 엔드돌, 흑암, 퍼퍼 블록, 프리즈머린, 심층암 조약돌, 이끼 낀 조약돌]으로 만들 수 있다. [[../기능 블록#대장장이 작업대|대장장이 작업대]]를 통해서 갑옷에 장식을 세기는데 사용된다. 이때 추가로 재료 하나 더 사용해 문양의 색상을 결정할 수 있는데 이때 할 수 있는 재료로는 철 주괴, 구리 주괴, 금 주괴, 다이아몬드, 레드스톤 가루, 청금석, 에메랄드, 자수정 조각, 네더 석영, 네더라이트가 있다. 모든 갑옷류는 물론 거북 등껍질에도 장식을 넣을 수 있으며 장식을 새길 갑옷과 사용할 재질이 서로 같아도 장식을 넣을 수 있다. 이때 사용된 형판과 재료는 소모된다. [clearfix] ---- [anchor(네더라이트 강화)] ||<-2> {{{+2 '''네더라이트 강화'''}}}[br](Netherite Upgrade) || ||<-2>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 '''용도''' || 네더라이트 갑옷 제작 || [[마인크래프트/구조물#보루 잔해|보루 잔해]]의 상자에서 구할 수 있으며 다이아몬드와 형판, 네더랙으로 만들 수 있다. 대장장이 형판 중에서 유일하게 사용시 갑옷의 성능에 변화를 주는 형판으로 정확히는, 1.20 버전 이후 다이아몬드 세트를 네더라이트 세트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필요한 재료 중 하나이다. 사용법은 다른 대장장이 형판과 동일하다. 단, 1.19 때 와 같이 다른 재료는 다이아몬드 갑옷/도구와 네더라이트 주괴로 고정되어있으며 형판과 재료가 소모되는 것도 동일하다. [clearfix] ---- 여러모로 게임 플레이 후반부 플레이의 밸런스 조정을 위해 추가되었다는 느낌이 강하다는 의견이 있다. 그도 그럴 것이 다이아몬드는 후반부로 갈수록 발에 치일 정도로 많이 확보할 수 있게 되는데 여기에 네더라이트 세트로 올리고 수선 마법부여 까지 발라두면 못해도 이미 경험치 공장 정도는 차려놨을 가능성이 크고 실수로 인해 분실하지 않으면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마당에 주민작까지 다해뒀다면 잃어버려도 주민을 통해 다이아몬드 세트를 쉽게 다시 마련할 수 있다는 점 역시 다이아몬드의 가치 하락에 크나큰 기여를 한다. 대장장이 형판은 하나하나 복사를 하는데 다이아 바지에 준하는 수량을 요구하고 그마저도 형판을 찾지 못하면 수를 불리는 것도 불가능한지라 다이아몬드의 가치를 다시 세워주고, 여행을 유도하는 측면에서도 이런 제작 방법을 채택한게 아니냐는 것이다. 그리고 네더라이트 세트 만드는데 역시 매우 힘든 과정이 있다곤 막상 이 방식을 다르게 설명하면 그냥 적정 높이에서 주구장창 파다보면 나와서 노다가의 문제지, 그냥 나오는게 고대 잔해인지라 성능 대비 희귀성이 너무 떨어진다는 볼멘 소리가 있었다. 모장이 이러한 의견들을 받아들였는지 네더라이트 세트 제작에 형판을 추가함으로써 네더라이트 세트의 희귀성을 높히려는 의도로 보인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마인크래프트/아이템/기타 아이템, version=1261)] [include(틀:포크됨2, title=마인크래프트/아이템/재료, d=2023-03-01 02:4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