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식축구 관련 인물]] [Include(틀:역대 하이즈먼 트로피 수상자)] [include(틀:NFL 역대 드래프트 전체 1순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chael_Vick.jpg|width=100%]]}}} || || '''{{{#000 이름}}}''' || '''마이클 드웨인 빅 [br] (Michael Dwayne Vick)''' || || '''{{{#000 생년월일}}}''' || [[1980년]] [[6월 26일]] || || '''{{{#000 국적}}}'''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 || '''{{{#000 출신지}}}''' || [[버지니아 주]] [[뉴포트뉴스]] || || '''{{{#000 출신 대학}}}''' || [[버지니아 공과대학교]] || || '''{{{#000 체격}}}''' || 183cm, 98kg || || '''{{{#000 포지션}}}''' || [[쿼터백]] || || '''{{{#000 프로 입단}}}''' || 2001년 [[드래프트]] 1라운드 1순위 [br] [[애틀랜타 팰컨스]] 지명 || || '''{{{#000 소속팀}}}''' || '''[[애틀랜타 팰컨스]] (2001~2006)''' [br] [[필라델피아 이글스]] (2009~2013) [br] [[뉴욕 제츠]] (2014~2015) [br] [[피츠버그 스틸러스]] (2015) || [목차] [clearfix] == 개요 == 인생이 거의 [[소설]]과도 같은 ~~한때~~ [[천재]]~~라고 불렸던~~ [[흑인]] [[왼손잡이]] [[쿼터백]]. [[버지니아 주]] [[뉴포트뉴스]]의 [[슬럼]]가에서 미혼모의 4남매중 둘째로 태어나 주변에 마약상, 강도들이 즐비한 환경에서 운동선수로 성공해 NFL에서 가장 유명하고 돈 많이 받는 쿼터백의 입지까지 올랐다가, 한순간에 범죄자의 나락으로 떨어진뒤 재기에 성공한 선수이다. == 커리어 ==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성장하던 과거가 있었는데 교내 풋볼코치였던 토니 래먼 선생님과 학교폐쇄로 워익 하이스쿨[* 참고로 동생인 마커스 빅 선수도 여기를 졸업했다.]로 옮겨 졸업한 뒤, [[1998년]] [[버지니아 공과대학교|버지니아 공대]]에 쿼터백으로 입학해 맹활약을 펼쳤다. 그 뒤 [[2001년]] 드래프트에서 전체 1번 픽으로 [[애틀랜타 팰컨스]]에 입단하여, 주전 쿼터백으로서 [[넘사벽]]의 아름다운 [[플레이]]로 돈방석에 앉는다. 당시의 플레이는 TV 광고로도 쓰였으며, 보노라면 저것이 [[인간]]의 플레이인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 특히나 [[쿼터백]]이지만 [[러닝백]]처럼 보이는 러싱 플레이는, 예전의 [[랜달 커닝햄]] 같은 그냥 빨리 달리는 것이 아니라, 마치 [[NBA]] 선수의 화려한 [[드리블]]을 보는듯한 플레이[* 한마디로 前 NBA 스타 [[앨런 아이버슨]]의 현란한 드리블 돌파를 그대로 미식축구로 옮겨놓은 듯한 플레이. 아이버슨 역시 고등학교때는 빅처럼 미식축구 쿼터백 겸업을 하였다.]로 하이라이트 필름을 양산했다. 이를 토대로 러닝백 부럽지 않은 러싱야드를 매시즌 찍어내기도 했다. 이렇게 [[전설]]적인 쿼터백으로 될 수도 '''있었으나'''... 지나치게 그의 발재간에만 의존하는 공격때문에 그의 퍼포먼스에 따라 팀 성적이 오르락내리락 했고,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상대 수비의 거친 태클로 인한 부상, 이로 인한 경기 결장[* 쿼터백 항목에도 나오지만, 쿼터백은 팀의 공격을 통째로 책임지는 동시에, 나아가 공수 균형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선수라서 다쳐서 못 나오는 것 자체부터 문제가 된다.]및 성적 부진으로 점차 팀에서도 비난의 표적이 되었다. 거기다가 사생활도 문제가 많아서 이런저런 말썽을 일으키다[* 실제로 그가 드래프트에 나왔을 때 전체 1픽 보유 팀은 똑같이 문제아로 대차게 망한 라이언 리프가 있는 [[로스앤젤레스 차저스|샌디에이고 차저스]]였는데, 빅도 만만치 않은 문제아라 꺼리는 바람에 결국 그를 원하던 [[애틀랜타 팰컨스]]에게 픽을 팔아넘겼다. 그리고 차저스는 팰컨스 순서 때 [[르데니언 톰린슨]]을 지명하고 한 라운드가 지난 뒤 [[드루 브리스|후에 리그에서 손꼽히는 레전드 쿼터백으로 성장하는 단신 쿼터백]]을 지명한다.]가 결정적으로 2007년 [[개싸움]] [[도박]]집단에 가세, 투견장을 제공하는등 주도적 역할을 한 것이 걸려서 NFL 자격정지는 물론 징역 1년의 실형을 최종 판결받으면서 [[감옥]]행. 단번에 [[나락]]으로 떨어지게 된다. 그냥 [[투견]]에 돈을 건 수준이 아니라 집에서 투견판을 벌이고 직접 개를 키우기까지 했다! 경찰들이 집에 들이닥쳤을때 여러마리의 학대된 [[핏불]]들이 발견되고 뒷마당에서는 싸움에 져서 죽은 핏불 시체들이 발견되었다고. 미디어 노출이 엄청난 NFL 쿼터백의 특성상 각종 매체에서 가루가 되도록 까였고 저 짤방마냥 완전히 [[인간말종]]으로 전락할 뻔했지만, 감옥에서 형기를 채우고 나와서 반성하는 모습을 보이고, 원 소속팀 애틀랜타 팰컨스 대신 NFC를 대표하는 명 헤드코치 앤디 리드가 이끄는 [[필라델피아 이글스]]에 입단해서, 듀얼 스렛 쿼터백을 다루는데 탁월한 능력을 가진 앤디 리드의 전술적 지도와 본인 스스로의 재기 노력이 받쳐진 결과로 NFL 쿼터백 레이팅 전체 4위를 포함해서 개인 시즌 기록을 전부 갈아치우며 필라델피아 이글스의 플레이오프 진출을 이끌었다. 하지만 2012년 이후부터는 30대 중반에 들어선 나이와 느려진 발로 인해 이전만큼 날렵한 몸놀림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으며 패스 기술과 팀 지휘능력에선 처음부터 발전이 별로 없었기 때문에 결국 점점 실력이 내려앉고 있으며, 결국 2013년 시즌 중반부터는 [[닉 폴스]]에게 주전 자리를 빼앗기고 만다. 그리고 2014년 3월 21일. [[뉴욕 제츠]]와 1년 5m에 계약을 한다. 지노 스미스의 사수역할을 맡을걸로 본다. 리그초반에는 지노 스미스의 백업역할로 나오긴했지만 8라운드서부터는 지노 스미스가 워낙 삽질을 많이해서 주전으로 나오고있다. 그러나 빅도 그닥 좋은활약을 하는건 아니라서 언제든지 원래대로 돌아갈 가능성도 있는셈. 분발이 요구된다. 2014년 11월 9일 일요일 피츠버그 스틸러스와 경기서 통산 6,000 러싱야드를 돌파한다. NFL 쿼터백 포지션에서는 최초의 기록. 아울러 터치다운패스도 2개를 기록하며 팀의 승리에 공헌하면서 연패를 끝낸다. 그러나 바로 다음경기에서 부진하며 다시 지노 스미스한테 주전 쿼터백자리를 넘긴다... 그리고 시즌 종료뒤 당연히 재계약은 없었고, 한동안 팀도 못찾고 이적 루머도 안나온지라 이대로 은퇴하는가 싶었는데.. 뜻밖에도 [[피츠버그 스틸러스]]와 1년 계약을 하며 선수생활을 이어간다. 당연히 주전은 [[벤 로슬리스버거]]인지라 그냥 후보 쿼터백으로써 경기 막판 가비지타임이나 와일드캣 전술상황에서 볼듯했는데.. 벤 로슬리스버거가 부상을 당하면서 출전기회를 잡게된다. 주전으로 나온 첫경기에서는 졌고, 특기인 러싱도 많이 막히긴 했는데 의외로 패스는 괜찮게했다.[* 짧은패스 위주라서 아직은 판단금물이라는 평가도 있다.] 하지만 이후에도 한번 경기를 말아먹자마자 교체를 당했고 백업의 백업으로 밀려나기까지 했다. 2015년 시즌 후 계약 종료 후 팀은 재계약하지 않았다. 쿼터백으로서 패스 능력은 그렇게까지 뛰어나지 않은 편. 11시즌 통산 128경기(109경기 선발출장)를 뛰는 동안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이글스 시절을 제외하면 단 한번도 1경기 평균 200야드 이상을 던진 적이 없으며, 통산 터치다운패스도 128개밖에 안 되는 밋밋한 성적이다. 일반적으로 리그 정상급 쿼터백이라 하면 대략 3,000+ 패싱야드, 60퍼센트 이상의 패스-컴플리션, 그리고 90+ 패서레이팅을 기준으로 들 수 있는데 빅이 이를 달성한 시즌은 단 한번에 불과하고, 관대하게 봐줘도 두 시즌 정도이다.[* 단 이 당시 팰컨스 리시버진이 타 팀에 비해 딸렸다는걸 감안해야한다. 괜히 빅이 있을때 리그 전체서 문제아 취급받던 [[터렐 오웬스]], [[랜디 모스]]를 영입하겠다고 난리친게 아니었고, 이것은 이글스 들어와서야 드션 잭슨, 제레미 맥클린으로 갈증을 풀게된다.] 그러나 통산 6,109 러싱야드와 36 러싱 터치다운이라는 돌파력으로 이를 상쇄한다. [[2006년]]의 경우 웬만한 팀의 주전 [[러닝백]]도 쉽게 못하는 1,000+ 야드 러싱(1,039 야드)을 기록했다.[* 이 기록은 뉴튼도 못세운 기록이다, 하지만 그로부터 [[2019년|13년 뒤]] [[볼티모어 레이븐스]]의 [[라마 잭슨|어떤 새롭게 뜨는 샛별]]이 1000+ 야드 러싱 신기록(1,206 야드)을 세웠다.] 순수한 듀얼 스렛 쿼터백으로 보기는 어렵지만, 듀얼 스렛 쿼터백이 NFL에서 뛸 경우 가장 성공적인 케이스 중 하나가 마이클 빅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마이클 빅의 계보를 이은 러싱 위주의 듀얼 스렛 쿼터백으로는 [[캠 뉴튼]], [[라마 잭슨]]을 예로 들 수 있다. 두 선수 모두 2015년과 2019년 리그 MVP를 수상하며 전성기를 구가하였다.] 그러나 애틀랜타 팰컨스 시절의 화려한 활약도 이제 [[캠 뉴튼|이 선수]]의 등장으로 잊혀져가는 분위기. 아마 이대로 선수생활을 끝낼 듯 싶다. 그리고 2015년을 끝으로 은퇴를 선언했다. 2016년에는 무적 자유계약선수 상태에 있다가 2017년에 공식으로 은퇴를 선언하였다. 2017년 8월 [[FOX Sports]]의 NFL 애널리스트로 출연했다. 현재 2019년에 출범할 [[AAF]] 팀 애틀랜타 레전즈의 오펜시브 코디네이터로 활동 중이다. == 연도별 기록 == ||<|2> '''{{{#ffffff 시즌}}}''' ||<|2> '''{{{#ffffff 소속팀}}}''' ||<|2> '''{{{#ffffff 출장[br]경기}}}''' ||<-10> '''{{{#ffffff 패싱}}}''' ||<-4> '''{{{#ffffff 러싱}}}''' || || '''{{{#ffffff 시도}}}''' || '''{{{#ffffff 성공}}}''' || '''{{{#ffffff 성공률}}}''' || '''{{{#ffffff 야드}}}''' || '''{{{#ffffff 평균[br]야드}}}''' || '''{{{#ffffff 터치[br]다운}}}''' || '''{{{#ffffff 인터[br]셉트}}}''' || '''{{{#ffffff 색}}}''' || '''{{{#ffffff 색야드}}}''' || '''{{{#ffffff 레이트}}}''' || '''{{{#ffffff 시도}}}''' || '''{{{#ffffff 야드}}}''' || '''{{{#ffffff 평균[br]야드}}}''' || '''{{{#ffffff 터치[br]다운}}}''' || || 2001 ||<|6> [[애틀랜타 팰컨스|ATL]] || 8 || 113 || 50 || 44.2 || 785 || 6.9 || 2 || 3 || 21 || 113 || 62.7 || 31 || 289 || 9.3 || 1 || || 2002 || 15 || 421 || 231 || 54.9 || 2936 || 7 || 16 || 8 || 33 || 206 || 81.6 || 113 || 777 || '''6.9''' || 8 || || 2003 || 5 || 100 || 50 || 50 || 585 || 5.9 || 4 || 3 || 9 || 64 || 69 || 40 || 255 || 6.4 || 1 || || 2004 || 15 || 321 || 181 || 56.4 || 2313 || 7.2 || 14 || 12 || 46 || 266 || 78.1 || 120 || 902 || '''7.5''' || 3 || || 2005 || 15 || 387 || 214 || 55.3 || 2412 || 6.2 || 15 || 13 || 33 || 201 || 73.1 || 102 || 597 || '''5.9''' || 6 || || 2006 || '''16''' || 388 || 204 || 52.6 || 2474 || 6.4 || 20 || 13 || 45 || 303 || 75.7 || 123 || 1039 || '''8.4''' || 2 || ||<|2> '''{{{#ffffff 시즌}}}''' ||<|2> '''{{{#ffffff 소속팀}}}''' ||<|2> '''{{{#ffffff 출장[br]경기}}}''' ||<-10> '''{{{#ffffff 패싱}}}''' ||<-4> '''{{{#ffffff 러싱}}}''' || || '''{{{#000000 시도}}}''' || '''{{{#000000 성공}}}''' || '''{{{#000000 성공률}}}''' || '''{{{#000000 야드}}}''' || '''{{{#000000 평균[br]야드}}}''' || '''{{{#000000 터치[br]다운}}}''' || '''{{{#000000 인터[br]셉트}}}''' || '''{{{#000000 색}}}''' || '''{{{#000000 색야드}}}''' || '''{{{#000000 레이트}}}''' || '''{{{#000000 시도}}}''' || '''{{{#000000 야드}}}''' || '''{{{#000000 평균[br]야드}}}''' || '''{{{#000000 터치[br]다운}}}''' || || 2009 ||<|5> [[필라델피아 이글스|PHI]] || 12 || 13 || 6 || 46.2 || 86 || 6.6 || 1 || 0 || 0 || 0 || 93.7 || 24 || 95 || 4 || 2 || || 2010 || 12 || 372 || 233 || 62.6 || 3018 || 8.1 || 21 || 6 || 34 || 210 || 100.2 || 100 || 676 || '''6.8''' || 9 || || 2011 || 13 || 423 || 253 || 59.8 || 3303 || 7.8 || 18 || 14 || 23 || 126 || 84.9 || 76 || 589 || 7.8 || 1 || || 2012 || 10 || 351 || 204 || 58.1 || 2362 || 6.7 || 12 || 10 || 28 || 153 || 78.1 || 62 || 332 || 5.4 || 1 || || 2013 || 7 || 141 || 77 || 54.6 || 1215 || 8.6 || 5 || 3 || 15 || 99 || 86.5 || 36 || 306 || 8.5 || 2 || ||<|2> '''{{{#ffffff 시즌}}}''' ||<|2> '''{{{#ffffff 소속팀}}}''' ||<|2> '''{{{#ffffff 출장[br]경기}}}''' ||<-10> '''{{{#ffffff 패싱}}}''' ||<-4> '''{{{#ffffff 러싱}}}''' || || '''{{{#ffffff 시도}}}''' || '''{{{#ffffff 성공}}}''' || '''{{{#ffffff 성공률}}}''' || '''{{{#ffffff 야드}}}''' || '''{{{#ffffff 평균[br]야드}}}''' || '''{{{#ffffff 터치[br]다운}}}''' || '''{{{#ffffff 인터[br]셉트}}}''' || '''{{{#ffffff 색}}}''' || '''{{{#ffffff 색야드}}}''' || '''{{{#ffffff 레이트}}}''' || '''{{{#ffffff 시도}}}''' || '''{{{#ffffff 야드}}}''' || '''{{{#ffffff 평균[br]야드}}}''' || '''{{{#ffffff 터치[br]다운}}}''' || || 2014 || [[뉴욕 제츠|NYJ]] || 10 || 121 || 64 || 52.9 || 604 || 5 || 3 || 2 || 19 || 85 || 68.3 || 26 || 153 || 5.9 || 0 || ||<|2> '''{{{#ffffff 시즌}}}''' ||<|2> '''{{{#ffffff 소속팀}}}''' ||<|2> '''{{{#ffffff 출장[br]경기}}}''' ||<-10> '''{{{#ffffff 패싱}}}''' ||<-4> '''{{{#ffffff 러싱}}}''' || || '''{{{#000000 시도}}}''' || '''{{{#000000 성공}}}''' || '''{{{#000000 성공률}}}''' || '''{{{#000000 야드}}}''' || '''{{{#000000 평균[br]야드}}}''' || '''{{{#000000 터치[br]다운}}}''' || '''{{{#000000 인터[br]셉트}}}''' || '''{{{#000000 색}}}''' || '''{{{#000000 색야드}}}''' || '''{{{#000000 레이트}}}''' || '''{{{#000000 시도}}}''' || '''{{{#000000 야드}}}''' || '''{{{#000000 평균[br]야드}}}''' || '''{{{#000000 터치[br]다운}}}''' || || 2015 || [[피츠버그 스틸러스|PIT]] || 5 || 66 || 40 || 60.6 || 371 || 5.6 || 2 || 1 || 10 || 53 || 79.8 || 20 || 99 || 5 || 0 || ||<-2> [[NFL]] 통산 [br] (13시즌) || 143 || 3217 || 1807 || 56.2 || 22464 || 7 || 133 || 88 || 316 || 1879 || 80.4 || 873 || 6109 || 7 || 36 || [[분류:미식축구 선수]][[분류:1980년 출생]][[분류:뉴포트뉴스 출신 인물]][[분류:2001년 데뷔]][[분류:2017년 은퇴]][[분류:버지니아 폴리테크닉 주립대학교 출신]][[분류:애틀랜타 팰컨스/은퇴, 이적]][[분류:필라델피아 이글스/은퇴, 이적]][[분류:뉴욕 제츠/은퇴, 이적]][[분류:피츠버그 스틸러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