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33540 '''{{{+3 마이크로 결사대}}}''' (1966)[br]''Fantastic Voyag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마이크로-결사대-영화-포스터.jpg|width=100%]]}}} || || {{{#ffffff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20세기 폭스]]|| || {{{#ffffff '''장르'''}}} ||[[SF]], [[모험]]|| || {{{#ffffff '''감독'''}}} ||[[리처드 플라이셔]]|| || {{{#ffffff '''제작'''}}} ||솔 데이비드|| || {{{#ffffff '''각본'''}}} ||해리 클레이너|| || {{{#ffffff '''출연진'''}}} ||스티븐 보이드, 라크엘 웰치 외|| || {{{#ffffff '''개봉일자'''}}} ||[[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1966년]] [[8월 24일]]|| || {{{#ffffff '''음악'''}}} ||레오나르드 로젠만|| || {{{#ffffff '''러닝 타임''' }}} ||100분|| || {{{#ffffff '''제작비''' }}} ||'''510만 달러'''|| || {{{#ffffff '''북미 박스오피스''' }}} ||'''1200만 달러'''|| || {{{#ffffff '''국내 등급''' }}} || {{{#ffffff '''12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리처드 플라이셔]] 감독의 [[SF]] [[영화]]. 제롬 빅스비와 오토 클레멘트 원안의 영화로, 축소되어서 사람 몸속을 탐험하는 작품들의 원조격인 영화다. == 예고편 == [youtube(dO5E4wkg0hA)] == 줄거리 == 1시간이 한계였던 축소광선의 효과를 영구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 소련의 과학자 얀 베네시(Jan Benes) 박사는 미국으로 망명을 떠난다. 박사는 무사히 미국에 도착했지만 차를 타고 가던 중 테러범들의 습격을 받고 혼수상태에 빠진다. 박사의 머릿속에는 외과 수술로는 절대 제거할 수 없는 [[혈전]]이 있었기 때문에 CMDF[* 연합 축소화전쟁 억지 부대(Combined Miniature Deterrent Forces)의 약자]는 축소광선으로 잠수함을 축소시켜 박사의 몸속으로 직접 들어가 혈전을 제거할 계획을 세운다. 조종사 빌 오언스 대령(Bill Owens), 마이클(Michaels) 박사, 외과의 피터 뒤발(Peter Duval) 박사, 그의 조수 코라 피터슨(Cora Peterson), 그리고 그랜트(Grant) 요원이 [[프로테우스]]라는 이름의 잠수함을 타고 이 임무에 참가한다. 그랜트 요원은 출발하기 전 상관으로부터 임무에 참가한 인물들 중 박사를 살려내는 것을 방해하려는 스파이가 있다는 경고를 듣는다. == 소설화 == SF 소설의 거장 [[아이작 아시모프]]가 이 영화를 기반으로 한 소설을 썼었다. 하지만 영화의 줄거리를 따라가는 소설이라서[* 영화에 나오는 몇몇 오류나 의문점 등 사소한 부분은 수정되었다.] 아시모프 본인은 별로 마음에 들어하지 않았다고 한다. 영화 개봉 6개월 전에 출판되었기 때문에 이 소설이 영화의 원작이라고 착각하는 일이 많았다고 한다. 아시모프는 후에 라는 소설을 썼는데, 위에서 언급한 소설의 후속작은 아니고 기본적인 개념들을 가져다가 자신만의 이야기로 만든 일종의 리부트 작이다. == 애니화 == [youtube(SdtzonGdr1o)] 1968년 미국 [[필메이션]]에서 이 영화의 스핀오프 애니메이션을 만들었다. 총 17화. == 기타 == 원제는 '''Fantastic Voyage''', 직역하면 "환상적인 여정" 정도가 된다. 국내에 알려진 제목인 마이크로 결사대는 이 영화의 일본판 제목인 '''ミクロの決死圏'''을 번역한 것이다. 바디 캡슐이라는 제목도 있는데 이것은 비디오판의 제목이다. DVD는 마이크로 결사대라는 제목으로 발매되었다. 작중 인체 내부를 묘사할 때 "Innerspace"라는 단어를 사용하는데 이것은 이 영화의 [[정신적 후속작]]인 1987년 개봉 영화 [[이너스페이스]]의 제목으로 사용되었다. 몸을 축소시켜 사람의 몸속으로 들어간다는 내용의 작품들은 대부분 이 영화의 패러디라고 볼 수 있다. 의료업체가 투자하고, 데즈카 오사무가 감수한 일본 애니메이션 <[[원더비트 스크램블]]>은 이 작품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1967년 제39회 [[아카데미상]]에서 [[아카데미 프로덕션 디자인상|미술상(컬러 부문)]]과 [[아카데미 시각효과상|특수효과상]]을 수상했다. [[아카데미 촬영상|촬영상]](컬러 부문)과 편집상, 음향편집상[* 당시에는 음향효과(Sound Effects)상]에서도 후보작으로 올라갔었다. 1967년 [[휴고상]]에서도 드라마틱 프리젠테이션 부문에서 후보작으로 올라갔었다. 한국 극장 애니 <마이크로 특공대 다이야트론 5>(1985)이 대놓고 이 영화 줄거리를 여럿 베꼈다. 로보트조차도 다카라완구 회사, 스튜디오 누에의 합작품인 1980년작인 다이아클론 지구의 메카들 중 배틀 버팔로(バトルバッファロー), 빅파워드(ビッグパワード) 그리고 외계인침략군의 주력 메카인 와루다로스(ワルダロス)를 베껴 그린 거 였다. == 리메이크 == 마이크로 결사대의 리메이크 계획은 1984년부터 나왔다고 한다. 터미네이터 시리즈로 유명한 [[제임스 카메론]] 감독이 이 계획에 관심을 가지고 감독을 맡고 싶어 했지만 영화 <아바타>의 제작을 위해 뒤로 물러섰다. 최종적으로는 [[기예르모 델 토로]]가 감독을 맡기로 했다고 한다. [[분류:1966년 영화]][[분류:미국의 SF 영화]][[분류:20세기 스튜디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