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신용카드사)] [include(틀:EMVCo 인증 결제 서비스)] [[파일:마스터카드 마에스트로 로고.svg|width=200]] [[파일:Cirrus(국제현금카드) 로고.svg|width=200]] [[마스터카드]] 계열이 이용하는 교집합 마크에서 파란색이 있는 게 마에스트로다. 마에스트로 바로 밑의 로고는 [[마스터카드]]의 국제 현금망 브랜드인 시러스이다. [목차] [clearfix] == 개요 == [[마스터카드]]에서 운영하는 [[직불카드]] 전산망. [[대한민국]]에서는 [[BIN(카드)|BIN]]이 5021, 5898, 6060, 6360, 6281번으로 시작한다. 2021년 10월 마스터카드에서는 2023년 7월부터 유럽에서 마에스트로를 단종하고 [[Debit Mastercard]]로 대체하겠다고 밝혔다. [[https://www.mastercard.com/news/europe/en/perspectives/en/2021/blog-from-valerie-nowak-why-this-maestro-is-retiring-after-30-years/|#]] 기존에 발행된 마에스트로는 유효 기한까지 사용 가능. == 상세 == 유럽에서는 [[직불카드]] 결제 비율이 높기 때문에 잘 나가지만, [[대한민국]]에서는 직불카드를 겸하는 일부 [[현금카드]]가 아니면 보기 힘든 브랜드다. 그렇다고 해서 초 레어는 아니다. 2000년대 후반~2010년대 초반에 우리은행 등에서 많이 발행했었다. 오히려 레어인 건 [[비자카드]]의 인터링크다. 그런데 어차피 외국에서도 [[연회비]]가 공짜거나 싸서 쓰는 거지, 은행에서 이거를 발급받았다가 [[현금카드]] 이상의 기능밖에 없다는 것을 알고 좌절감에 빠지는 사람도 많다.(은행에서는 [[비자카드]]나 [[마스터카드]]든 마에스트로든 전부 다 Debit Card에 해외에서도 결제할 수 있다고 설명하니깐) 온라인 결제는 거의 비자카드나 마스터카드 체크카드밖에는 안 되니, 혹시 외국에서 체크카드를 발급받을 사람이 있으면 마에스트로는 피하자. 외국에서도 마에스트로 직불카드 가맹점이 아닌 곳이 있으며,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태국]] 출장 때 [[KB국민카드|마에스트로를 들고 갔다가 튕겼던 일이 있었다]]. --금융위원장이라는 [[높으신 분들]]부터 뭘 모르나?--[* 비슷한 예로 2003년 12월에는 윤용로 당시 금융감독위원회 정책담당2국장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65936#home|신용카드 결제대금을 깜빡해서(.....) 카드 정지를 먹은 적이 있다.]]] --도끼가 제 자루 못 찍는 격이다.-- 은행 창구에서는 [[거짓말은 하지 않는다|해외 결제가 가능하다]]고 하지만, 이거는 '''범용성이 떨어지는 [[직불카드]] 브랜드'''다. 한 마디로 해외 결제가 가능하기는 한데, 가맹점이 적다는 소리다. 범용성이 뛰어난 '''체크카드 or 신용카드 브랜드가 아니다!''' ~~듣보잡~~ --목적지가 유럽이어도 과연 그럴까?-- 국내에서는 은행에서 돈 받고 발급하는 대부분의 [[직불카드]]가 마에스트로 제휴인데, 사실상 [[국제현금카드]] 취급을 받고 있어서 체크카드 중에서도 [[국제현금카드]] 기능을 위해 마에스트로와 제휴한 카드가 많다. 그래서 레어까지는 아니다. 특히 [[KB국민카드]]는 이런 경향이 매우 심했는데, 2012년 이전까지는 해외 신용카드 가맹점에서 결제할 수 있는 카드가 '''전무'''했다. 마에스트로 직불 가맹점이라면 신용카드 IC결제와 동일하게 [[비밀번호]]를 입력해서 결제할 수 있었다. 결제한다 쳐도 수수료가 매우 높고, 은행마다 해외직불결제 수수료율이 조금씩 다르다. [* 신한 1%(인터링크, 마에스트로 모두), 대구 1.1% + 0.5$, 부산(하이체크 글로벌) 1% + $0.5, 우리(U-cash 체크) 1% + $0.5, 국민 1% + $0.5, SC(마에스트로 장착 체크) 1% + $0.5.] 현금인출 수수료가 대개 3달러다. [[대한민국]]에서 발행 중인 국제현금카드의 대다수는 마에스트로가 달려 있으며, 이에 비해 비자카드의 직불카드망인 [[비자카드|인터링크]]가 달린 국제현금카드는 [[신한카드]]의 탑스파워 체크카드가 유일했는데, 그마저도 2018년 7월에 단종됐다. 그러나 2010년대 들어서 마에스트로 장착 체크카드들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 현재는 단종된 [[SC제일은행]]의 두드림 플러스 체크카드도 상기의 신형 로고가 달린 것으로 갱신되어 나왔으나, 2018년 12월 31일에 [[SC제일은행]]이 마에스트로 체크카드를 모두 [[마스터카드]]로 전환함에 따라 더 이상 볼 수 없게 됐다. [[우리카드]]의 U캐시 체크카드도 신형 로고로 변경됐지만, 2019년 6월 10일에 단종되었고, 하나카드 역시 유일한 마에스트로 체크카드인 바보의나눔 체크카드를 2021년 6월 25일자로 단종시켰다. 마에스트로임에도 [[연회비]]를 받았던 [[BNK부산은행]]의 하이체크 글로벌 카드도 단종된 모양. --단 인천기공 학생증은 마에스트로가 달려 나온다-- 사실상 대한민국에서 마에스트로 카드는 완전히 사라졌다고 해도 무방하다. == 외국에서 == * [[미국]]이나 [[일본]]에서는 가뭄에 콩 나듯이 마에스트로 가맹점을 볼 수 있다. 즉, 마에스트로를 들고 나가면 대부분 [[국제현금카드]]에 불과하다.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을 제외하면 딱히 쓸 수 있는 곳이 없다. * [[영국]]계 쇼핑몰의 경우 결제가 가능한 카드에 마에스트로가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인터넷 결제가 가능하던 [[직불카드]]인 Switch, Solo를 마에스트로가 인수했기 때문이다. issue number를 입력하라는 칸이 있는데, 이는 카드 앞면에 새겨진 0~9 사이의 숫자를 입력해 CVC/CVV의 기능을 하게 한 것. [[대한민국]]에서 발급한 마에스트로 카드로는 결제가 안 된다. 하지만 [[유로카드]] 합병으로 [[마스터카드]]가 시장을 꽤 잡고 있는 [[유럽]] 본토로 가면 위상이 많이 달라지게 되는데.... * 유럽인들은 대체로 신용거래를 하지 않는 경향이 있고, 소득이 높고 낮고에 관계 없이 [[직불카드]] 사용 비율이 굉장히 높다.[* 신용거래는 싫지만 그렇다고 현금만 쓰는 것 역시 불편해하기 때문이다.] 또한 유럽의 시중 은행들은 대부분 [[통장]]이 더이상 존재하지 않고,[* 거래내역은 인터넷으로 열람할 수 있고, 부득이 그럴 수 없다면 은행에 연락해서 우편으로 받아 봐야 한다. 유럽인들이 한국, 일본에 가서 [[문화충격]]을 느끼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통장이 아직 남아있다는 것이다.] 마에스트로 카드에 계좌번호를 각인해 준다. 아예 마에스트로가 아닌 카드는 받지 않는 경우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특히 요즘 유럽의 통화 정책이 Cashless(무현금)를 향해 다가가고 있는 만큼, [[직불카드]]의 사용이 0.10[[유로]] 결제에도 일반적이다. [[북유럽]]을 여행 중이라면 길거리에 크레페 파는 포장마차에도 카드결제 단말기가 있고, 상가에는 아예 현금 결제를 받지 않는 매장도 많다. 이런 경우 마에스트로 한 장 가지고 다니면 편해진다. * [[독일]]의 경우 2001년 이후에는 모든 은행 카드에 직불망을 싣도록 해 두었고, 전국에 쓸 만한 직불 결제망을 깔아 놓았다. 그게 '''마에스트로가 아니라''' [[독일]]의 자체 직불망인 Electronic Cash라서 문제였다. 가맹점망도 EC보다 마에스트로가 적은 편. 그러나 EC를 받는 대형 가맹점은 마에스트로에 가맹되어 있는 게 일반적이고, 요즘 독일 내 거의 대부분 매장에서는 마에스트로를 받고 있다. * [[네덜란드]]는 비현금화가 거의 끝나 카드만으로 일상생활이 가능하며, 카드 보안에 민감하여 국민 대부분이 마그네틱 혹은 IC보다는 NFC나 RFID 결제를 선호하여 대부분의 결제단말기가 이를 지원한다. 마에스트로나 V Pay 카드만 받거나, 기타 카드는 추가 수수료를 받는 곳이 많다. 공항에 내리자마자 [[NS]] 매표기를 마주하고 시내 들어가는 기차표 끊는 것부터 직불이 아닌 신용카드는 추가 수수료가 부과되며, 알버르트 하인 (Albert Heijn) 이나 염보 (Jumbo) 같은 체인점 마트도 마찬가지. 자영업으로 들어가면 마에스트로만 받는 곳은 있어도 비자만 받는 곳은 없을 정도이다. * [[스위스]]에서도 관광객들이 많이 다니는 곳이라면 당연히 [[신용카드사]] 안 가리고 받지만, 유학이나 거주를 하러 간다면 마에스트로는 반드시 챙겨 가야 한다. 시내가 아닌 작은 동네의 슈퍼만 들어가도 마에스트로나 PostFinance 카드만 받는다. 나머지 카드 브랜드는 전부 다 안 받고 [[스위스 프랑|CHF]]같은 현금으로 내라고 한다. 많은 유럽 은행에서는 계좌 개설이 단시간 내에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유럽 국가를 관광이 아닌 거주 목적으로 가게 된다면, 현지 은행에서 계좌가 개설되기 전까지 경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가능하다면 마에스트로 카드를 만들어 두고 가는 것이 좋다. [[인도네시아]]에서는 국내 최대의 민영 상업은행인 [[BCA]]가 어마어마한 마에스트로 직불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BCA]] 말고도 만디리은행이나 CIMB NIAGA 소속 EDC 단말기로 마에스트로 결제가 가능하니, 사실상 [[인도네시아]]에서 [[직불카드]]를 받는 가맹점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 발급사 == 마에스트로와 제휴한 [[직불카드]], [[체크카드]]를 발급하는 곳은 다음과 같다. === [[직불카드]] === * [[KB국민은행]]: MY Q 카드[* 단 CVC , 유효기간, 카드소유자명이 없다.] * [[NH농협은행]]: '''발급 중단'''[* 중앙회에서 직불카드로 발급했으나, IC카드 전환 작업을 '''핑계로''' 발급을 중단했다.] * [[DGB대구은행]]: '''발급 중단''' * [[BNK부산은행]]: '''발급 중단'''[* MS전용 카드일 경우 [[현금카드]] 기능이 배제된 직불전용 카드로 발급됐었다.] * [[신한은행]]: '''발급 중단'''[* 2023년 3월 창구직원 확인. 중단 이전에는 MS부만 가능하고 IC부는 국내CD망 전용이였다.] * [[우리은행]]: '''발급 중단'''[* 2012년 3월에 IC전환 작업을 '''핑계로''' 발급이 중단되었다.] * [[중소기업은행]]: '''발급 중단'''[* 국제직불카드를 발급했었다.] * [[SC제일은행]]: '''발급 중단'''[* 신규 발급만 중단되고, 기존 보유자의 재발급은 가능하다. 에이스플러스 기본형과 두드림플러스 [[체크카드]] 등에 마에스트로가 달려 있으나, 두드림플러스가 단종되어 현재는 에이스플러스 기본형만 받을 수 있다. 하지만 2018년 12월 31일부터 기존 마에스트로 장착 체크카드가 모두 [[마스터카드]]로 변경됐다.] --IC전환을 핑계로 발급을 중단한 은행들은 MY Q처럼 IC현금카드를 같이 밖으면 되는걸 알고도 중단했겠지-- === [[체크카드]] === * [[신한카드]]: --글로벌패스 [[체크카드]](레저형, 라이프형, 캠퍼스플랜)[* 마에스트로가 장착된 [[직불카드]] 겸용이라서 Check & Debit이라고 명기되어 있다. 인터링크가 달려 있는 탑스파워 체크카드에도 Check & Debit으로 나온다. 그래서 이 [[체크카드]]를 만들었다면 본인이 [[직불카드]]를 만든 기억이 없더라도 [[신한은행]] 통장의 인감 밑에 있는 사항에 "[[직불카드]] 발급"이라고 나오는 이유다.(직불망을 은행에서 관리한다) 마에스트로, Cirrus 마크만 있지, [[마스터카드]] 마크는 없다. 고로 [[대한민국]]에서는 [[체크카드]], 외국에서는 마에스트로 국제[[직불카드]]로 이용하는 카드다. [[BIN]]은 6060번으로 시작한다.]--, --[[신한카드 Love|신한 Love 체크카드 (신한은행 연계)]]--[* 단종 전에 마애스트로에서 마스터카드로 변경되었다. [[국제학생증]] Love 체크카드, FC서울 매니아 Love 체크카드도 마스터카드로 발급되고 있다. 같은 계열사인 [[신한투자증권]] 연계 상품이나 [[우체국]] 제휴 상품은 [[비자카드|비자]]로 발급이 가능하다.], 백석대학교 학생증, 한경국립대학교 학생증, 한국관광학교 학생증, 수성고등학교 학생증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학생증 *~~ [[하나카드]]: 바보의 나눔 체크카드~~(2021년 6월 25일 단종) *~~ [[NH농협은행]]: 채움 체크카드~~(단종되고 국내용으로만 나옴) * --[[우리카드]]: U-Cash 체크카드--(2019년 6월 10일 단종) * ~~[[비씨카드]]~~ *~~ [[BNK부산은행]]: 하이체크 글로벌 카드~~[* [[신한카드]]의 글로벌패스, [[우리카드]]의 U캐쉬와 같은 성격. 따라서 외국에서는 직불로만 이용할 수 있는, 사실상 국내전용 [[체크카드]]인데 '''[[연회비]] 1,000원이 있다.''' 정작 [[마스터카드]]가 달려 있는 BNK프렌즈 [[체크카드]]는 [[연회비]]가 없으며, 한 술 더 떠서 썸뱅크BC 마스타 체크카드는 발급비도 없다.](발급중단) * ~~ [[중소기업은행]]: 아이엠 쿨 체크카드~~(발급중단) *~~ [[SC제일은행]]: 에이스 플러스 체크카드(백색 기본형 한정)~~[*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마블]]/[[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디즈니]]([[미녀와 야수(애니메이션)|미녀와 야수]], [[미키 마우스]], [[곰돌이 푸]]) 캐릭터형은 [[마스터카드]]로 나온다. 캐릭터형과 기본형을 포함하여 1인 2장으로 발급 매수를 제한하고 있으니, 마에스트로가 싫다거나 아니면 마에스트로에 낚인 경험이 있다면 [[마스터카드]]가 달린 캐릭터형 카드로 교체하면 된다. 2018년 12월 31일 공지사항에서 예전에 발행되었던 에이스 체크카드, 뉴 두드림 체크카드, 두드림 플러스 체크카드가 [[마스터카드]]로 변경되어 갱신된다는 내용이 올라왔다. 그리고 에이스플러스 체크카드 역시 [[마스터카드]]로 통일됐다. 이에 따라 [[SC제일은행]]에서는 더 이상 마에스트로가 달린 체크카드를 발행하지 않는다.] * [[KB국민카드]][* 홈페이지/어플에서 발급 신청에서 브랜드 선택시 '''마에스트로 카드'''가 [[마스터카드]]로 나온다. [[SC제일은행]]처럼 [[마스터카드]]로 변경된 게 아니다. --고도의 낚시--]: --([[해피포인트|해피]])락스타 체크카드--[* 2020년 8월 31일 발급 중단.], --금융포인트리 체크카드--, 내고장사랑 체크카드[* [[EMV Contactless]] 탑재], [[그린카드(대한민국 신용카드)|그린 체크카드]](마에스트로 버전), --[[삼성증권]] CMA 체크카드--, --스타([[K-Cash]]) 체크카드--[* [[K-Cash]]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는데 상품코드가 다르다. 스타 체크카드는 1552, 스타(K-CASH) 체크카드는 1652][* 마에스트로였을때에는 [[EMV Contactless]]가 탑재 되었으나, [[마스터카드]]로 국제브랜드 변경 후 [[EMV Contactless]] 미탑재], --비트윈([[K-Cash]]) 체크카드--, 삼성증권 CMA 노리 체크카드(마에스트로 버전) [[분류:직불카드]][[분류:신용카드사/해외]][[분류:EMVCo]][[분류:미국의 신용카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