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마스터셰프 코리아]] [Include(틀:마스터셰프 코리아)] ||<-2><:>
<#b71c36> {{{#fff {{{+1 마스터셰프 코리아}}}[br]Masterchef Korea}}} || ||<-2><#fff> [[파일:마셰코 로고.jpg|width=100%]] || ||<:><#b71c36> {{{#fff 방영 시간}}} ||<#fff> 매주 [[금요일]] 오후 9시 || ||<:><#b71c36> {{{#fff 방영 기간}}} ||<#fff> 2012년 4월 27일 ~ 2012년 7월 20일[br]총 13부작 || ||<:><#b71c36> {{{#fff 외부 링크}}} ||<#fff><(> [[http://program.m.tving.com/olive/masterchefkorea/|공식 홈페이지]] [br][[https://m.tv.naver.com/cjenm.MasterchefKorea/home|네이버 TV 영상클립]] [br][[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OmmZJrKNYdZmyfXLtmsNFQTKOru1D5jR|Olive 유튜브 채널 끌올리브 모음]] || [목차] [clearfix] == 개요 == [[마스터셰프 코리아]] 시리즈의 첫 시즌.[* 나무위키에서는 시리즈와 구분 편의상 1이 붙었으며, 네이버 등 공식 프로그램 설명란에는 숫자 없이 시리즈와 같은 제목으로 표기된다.] == 상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스터셰프 코리아)] 프로그램 진행 방식은 문서 참고. ||<(><#fff>{{{+3 서바이벌, 그 이상의 감동을 전할 {{{#b71c36 마스터셰프 코리아}}}!}}}[br]2011년 11월 11일부터 진행된 도전자 모집 기간에 [br]요리 열정 가득한 수천명의 아마추어 요리사들이 <마스터셰프 코리아>의 문을 두드렸습니다. [br]다양한 직군에서 모인 참여자들 중 어려운 관문을 거쳐 선발된 [br]재능 있는 도전자들의 요리 서바이벌이 4월 27일 금요일, 드디어 시작합니다! [br]사전기획 기간 1년, 총 제작비 40억 원, 300평 규모의 [br]블록버스터 급 초대형 스튜디오라는 이례적인 기록을 안고 시작하는 <마스터셰프 코리아>! [br]한국 최초의 마스터 세프를 꿈꾸는 도전자들의 치열한 경쟁과 진한 감동이 펼쳐집니다. [br]{{{+1 {{{#b71c36 2012년 4월 27일 밤 10시 / 밤 12시}}}}}} [br]명실공히 대한민국의 새로운 푸드 아이콘, [br]"마스터셰프"를 찾기 위한 대장정을 꼭 함께 하세요.|| == 출연진 == === [[마스터셰프 코리아 1/본선 진출자|참가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스터셰프 코리아 1/본선 진출자)] === 심사위원 === [[http://program.m.tving.com/olive/masterchefkorea/6/Contents/View|공식 홈페이지 심사위원 소개글]] * '''[[김소희(요리사)|김소희]]''' > {{{+1 김소희}}}, 비엔나 요리 여왕 > "진심은 통하는 법이죠. 멋 부리지 말고 정직한 요리로 절 감동시키세요." > 비엔나의 요리 여왕으로 불리는 김소희 셰프는 독일어권에서 인지도가 높은 스타 셰프다. [br]그녀는 한식의 세계화라는 단어가 존재하기도 전, 이미 비엔나에서 한식을 알리고 있었으며, [br]유러피언의 식문화에 맞는 한식을 개발하는데 적합한 노하우와 인사이트가 확실한 셰프다. [br]이번 마스터세프 코리아를 통해 그녀의 글로벌 감각과 투박한 사투리에서 묻어나오는 매력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 ㅡ 공식 홈페이지 소개 ---- * '''[[강레오]]''' > {{{+1 강레오}}}, [[고든 램지]] 수셰프 > "열정은 무한한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당신의 열정이 담긴 요리를 보여주세요." > 깐깐한 [[원칙주의자]] 셰프 강레오. [br]그는 프렌치의 대가 피에르 코프만에게 사사한 요리 원칙에 입각해 [br]음식의 기본, 식재료 활용법 등에 대한 본인의 철학이 확실한 인물이다. [br]다양한 스타일의 음식이 공존하는 <마스터셰프 코리아>에서 [br]화려한 기교보다 요리를 대하는 진지한 자세와 기본기를 강조하는 날이 선 심사를 기대해도 좋다. > ㅡ 공식 홈페이지 소개 ---- * '''[[노희영]]''' > {{{+1 노희영}}}, 푸드계 마케팅의 귀재 > "음식에는 만든 사람의 삶이 녹아있어야 합니다. 자신을 표현하는 창의적인 요리를 하세요" > 푸드 마케팅계에서 [[미다스|마이다스의 손]]으로 알려진 노희영 고문은 [br] [[삼양식품|호면당]], [[마켓오]] 등의 레스토랑을 성공시킨 브랜드 매니저다. [br]그녀만의 식견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음식의 가격과상품 가치에도 언급을 할 수 있는 전문가다.[br]풍부한 비즈니스 경험을 바탕으로 <마스터셰프 코리아> 도전자들의 레시피에, [br]상품성과 관련하여 비즈니스 관점에서 심사할 수 있는 인물이다. > ㅡ 공식 홈페이지 소개 == 방영 목록 == ||<:> 회차 ||<:> 방영 날짜 ||<:> 내용 || ||<:> 1화 || 2012년 4월 27일 || ||<:> 2화 || 2012년 5월 4일 || ||<:> 3화 || 2012년 5월 11일 || ||<:> 4화 || 2012년 5월 18일 || ||<:> 5화 || 2012년 5월 25일 || ||<:> 6화 || 2012년 6월 1일 || ||<:> 7화 || 2012년 6월 8일 || ||<:> 8화 || 2012년 6월 15일 || ||<:> 9화 || 2012년 6월 22일 || ||<:> 10화 || 2012년 6월 29일 || ||<:> 11화 || 2012년 7월 6일 || ||<:> 12화 || 2012년 7월 13일 || ||<:> 13화 || 2012년 7월 20일 || 결승전 || ==# 진행 결과 #== [Include(틀:스포일러)] ---- *'''예선''' || 단계 || 미션 || || 1차 || 100인의 메뉴 || || 2차 || 재료 손질 [* 양파 썰기] || || 3차 || 시그니처 메뉴 만들기 || ---- *'''본선''' || 단계 || 메인 미션 || 탈락 미션 || 탈락자 || || 1차 || 미스터리 박스 - 최고의 닭고기 요리 || || 오종석 || || 2차 || 미스터리 박스 - 강레오 셰프 요리 따라잡기[* 강레오 셰프의 달고기 요리를 똑같이 따라해야 하는 미션] || 한국 고유의 재료로 만든 요리 || 하정숙 || || 3차 || 팀 미션 - 아이들의 입맛 사로잡기 || 만 원으로 요리하기[* 단돈 만 원으로 장을 봐서 요리를 해야 한다] || 박지윤 || || 4차 || 미스터리 박스 - 다이어트 케이크[* 맛있으면서도 열량이 적은 다이어트 케이크를 만들어야 하는 미션. 게스트로 [[장윤주]]가 참여하였다.] || 머랭치기[* 달걀 15개로 10분동안 머랭을 쳐야 하는 미션] || 박소진 || || 5차 || 팀 미션 - 최고의 수제 소세지 || 만두소 맞히기[* 만두소에 쓰인 20가지 재료를 하나씩 맞히는 미션] || 배동걸 || || 6차 || 미스터리 박스 - 쌀 요리 대결 || 길거리 음식 대변신[* 각자 주어진 길거리 미션을 고급 요리로 바꿔서 내놓아야 하는 미션] || 김미화, 윤아름 || || 7차 || 팀 미션 - 스테이크 대결 || 티본 스테이크 굽기 || 달라스, 박성호[* 미션은 미디움으로 티본 스테이크를 굽는 것이었지만 두 사람 모두 미디움 웰던으로 판정받으며 탈락했다.] || || 8차 || 미스터리 박스 - 500년 전 요리 재현[* 1400년대 고서에 존재하는 3줄짜리 조리법만을 보고 육면을 만들어야 하는 미션] || 토마토 소스를 활용한 초스피드 30분 요리 || 오보아[* 토마토 소스를 활용한 창의적인 요리를 하는 미션이었으나, 토마토 소스 스파게티(...)를 내놓는 바람에 탈락했다.] || || 9차 || 미스터리 박스 - 자유 요리 [* 사실은 페이크 미션으로, 서로 간의 재료를 바꿔서 요리하는 미션] || 세계 5대 건강식품을 이용한 요리를 하는 미션 || 김태욱, 서문기, 유동율 || || 결승전 || 대한민국 명품 식재료로 '세 가지 요리[* 전식, 본식, 후식] 만들기' / 김승민[* 우승] vs 박준우 || ---- *'''참가자 현황''' == 평가 및 반응 == == 여담 == * 종영 후 마스터셰프 코리아 시즌1의 top5(김승민, 박준우, 유동률, 김태욱, 서문기)가 뭉쳐 식당을 운영하는 내용의 프로그램, '5pening'이 방영되었다. 마스터셰프 코리아의 모든 시즌이 TVING에서 서비스 종료된 현재까지도 TVING에서 시청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