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마법소녀 카와이 러블리 즈큥도큥 바큥부큥 루루핑}}}''' Magical Mic Duel: Senpai, Hear My Spell[* 매지컬 마이크 듀얼: 선배, 내 주문을 들어줘!] 魔法少女☆可愛いラブリー★ずきゅんどきゅんばきゅんぶきゅん☆ルルピン || ##이미지 추가되지 않음 || '''개발·유통''' ||ReLU Games || || '''플랫폼''' ||[[Microsoft Windows]] || || '''ESD''' ||[[Steam]] || || '''장르''' ||[[시뮬레이션 게임|시뮬레이션]] || || '''출시''' ||[[2024년]] [[5월 24일]][* 오후 4시 30분 경에 출시했으며, 이를 [[태평양 표준시]]로 환산하면 23일 밤 11시 30분. 때문에 스팀에서는 5월 23일로 표기되어 있다.] || || '''다국어 지원''' ||'''한국어''', 영어, 일본어 || || '''심의 등급''' ||[include(틀:비디오 게임 심의, 전체_이용가=_)]'''GC-CC-NP-240503-007'''[* 2024-04-25 접수, 2024-05-03 분류. 등급에 영향을 줄만한 특이사항 없음.] || || '''관련 사이트''' ||[[https://www.relugames.com/zqdq|[[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상점 페이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696400/|[[파일:스팀 아이콘.svg|width=25&theme=light]][[파일: 스팀 아이콘 화이트.svg|width=25&theme=dark]]]]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EtPKxA8hlww)]}}} || || '''공식 트레일러''' (1차) (영어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i-S8v3_j26E)] 일본어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zbLYl-GiH0A)]) || > ଘ(੭ˊᵕˋ)੭* ੈ✩‧₊˚ 마법 소녀 카와이 러블리 즈큥도큥 바큥부큥 루루핑에서 여러분은 마법 소녀로 각성하여 마법 전투를 벌이게 됩니다. 그저 화면에 표시되는 주문만 외워주세요! 여러분의 주문이 다각도로 분석되어 다양한 마법이 시전 됩니다. 세계 평화를 위해서 지금 당장! 당신의 마법이 필요해요. '''마법소녀 카와이 러블리 즈큥도큥 바큥부큥 루루핑'''은 2024년 5월 24일 출시한 [[마법소녀]] 테마의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크래프톤]] 산하의 [[인공지능|AI]] 전문 스튜디오인 ReLU Games에서 개발했다. 구체적으로는 '음성 역할 시뮬레이터'로 분류. 주인공 김부장이 에이전트 *냥과 계약해 마법소녀가 되어 마법 주문으로 여러 적을 상대하는 게임이다. == 시스템 요구 사항 == ||
'''구분''' || '''최소 · 권장 사양''' || ||<-2> '''Windows''' || || '''운영체제''' ||Windows 7 이후 버전, 64-bit || || '''프로세서''' ||[[인텔 코어 i 시리즈/6세대|Intel Core i3-6100]] / [[AMD FX 시리즈#s-3|AMD FX-8350]] || || '''메모리''' ||4 GB RAM || || '''그래픽 카드''' ||[[GeForce 500|GTX 580]] / [[Radeon HD 7000 시리즈|AMD HD 7870]] || || '''네트워크''' ||초고속 인터넷 연결 || || '''저장 공간''' ||2 GB 사용 가능 공간 || || '''추가 사항''' ||64 비트 프로세서 및 OS 필수[* '마이크 필수' 누락됨] || 최소 사양과 권장 사양이 동일하며, 2D 게임이라 그런지 2024년 출시된 게임 치고는 권장 사양이 매우 낮은 편이다. == 특징 == * UI 조작을 제외한 모든 게임 플레이가 마이크로 진행된다. * 모든 주문은 '''최대한 감정을 배제하고 또박또박 말해야''' 하며, 게이지를 50% 이상 채워야 마법이 발동된다. 50%를 넘는 게이지는 바로 확인할 수 없고, 발동 시 확인 가능. 게이지가 높을수록 마법의 효과가 커진다. 시전 실패 시에는 [[턴오버|그대로 턴이 넘어가며]], 실패한 주문은 성공할 때 까지 다시 말해야 한다. * 처음 플레이하기 전에 선서를 읽어야 하며, 그 이후에는 설정에 들어가서 다시 낭독할 수 있다. 선서 게이지를 최대한 채우는 것이 목적인데, 잘 차지는 않는지라 여러번 반복해야 할 수 있다. 선서의 내용은 [[국민의례]]와 유사하다. * 주문 시전 시 게임에서 자동으로 [[에코]]를 넣어주며, 시전 후에는 [[리플레이|플레이어가 시전한 마법을 그대로 들려준다]]. [[고로시|기능을 따로 비활성화 할 수는 없지만]], 원치 않을 경우 Voice Volume을 줄이면 된다. * '파이넌셜 파이어스톰 테러' 같이, 마법 주문의 대다수가 [[웃참]]을 요구하는 [[아무 말 대잔치]]이다. 변신 주문은 [[디자이너를 괴롭히는 방법|무지개빛으로 나오며]], 일부 주문은 글자들이 마구 움직이기도 한다. * '마법대결'이라는 이름의 [[플레이어 대 플레이어|PvP]] 요소가 존재한다. 온라인 대전을 지원하며, 로컬로 대결하는 것도 가능. 온라인 게임은 7자리 숫자로 된 코드를 공유해 1:1로 플레이하는 방식으로, 상대는 17자리 숫자로만 나온다. 게임 특성상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상대만 매칭이 가능. * 8명의 캐릭터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배경도 선택이 가능하다. 게임 플레이에는 영향이 없다. * 플레이어들이 각자 제시어를 고르고, 나머지 부분은 게임에서 완성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멀쩡한 제시어는 별로 없고(...) [[민며느리|옥저 민며느리제]]나 [[항문외과]], [[백제금동대향로]] 같이 대부분은 아무 말 제시어이다. [[사랑의 멋짐을 모르는 당신은 불쌍해요]] 등 마법소녀물 대사의 오마주도 존재한다. * 마이크 기능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게임이다보니, 이용약관 등 필요한 페이지는 다 있다. 표준 약관 등을 그대로 갖다 쓴 것이지만, 스팀 게임으로서는 이례적인 일. * 모든 캐릭터, 배경 이미지를 AI를 이용해 제작했다. 음성 인식 역시 AI를 통해 진행된다. == 세계관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QoeHfGqIYGY)]}}} || || '''세계관 영상''' (영어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WZ-OMAJAONg)] 일본어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2qYM9HdGFNI)]) || > '''[[마법소녀]]''' > > 인간의 악의를 정화하여 범죄 예방과 세계 평화에 기여하는 > [[청소년|만 12세 ~ 18세 사이]]의 마력을 지닌 소녀. > ---- > '''2024년 서울''' > > [[대한민국의 저출산|수 년 간 지속된 출산율 저하]]로 마법 소녀 부족 현상이 극에 달한다. > > 마법 소녀 부족 현상으로 세상은 악의에 침식당하고, > 각종 범죄율이 폭증하여 세계 평화는 위험에 처한다. > > 위기를 느낀 정부는 비밀리에 '마법청'을 신설, > 소녀가 아니더라도 마력을 지닌 모든 인물을 대상으로 마법 소녀를 선정하기로 한다. > > 마력을 감지하는 특수 능력을 지닌 에이전트들을 국가 각지에 파견하여 > 새로운 마법 소녀를 발굴하는 정부. > > 그리고 한 에이전트는 엄청난 잠재력의 소유자를 발견하게 되는데... [[대한민국의 저출산]]을 비롯한 저출산 기조로 인해 마법 소녀의 수가 부족해지고, 이로 인해 범죄율이 치솟아 서울을 비롯한 전세계가 위험에 빠지게 된다. 이에 비밀리에 '마법청'을 신설한 정부는 [[남녀노소|성별 및 연령에 관계없이]] 마법 소녀가 될 수 있도록 에이전트를 통해 새로운 마법 소녀를 발굴하기로 한다. 그러다 *냥이라는 에이전트가 엄청난 잠재력을 지닌 중년 남성 김부장을 만나 마법 소녀가 되기를 제안하면서 본격적인 이야기가 시작된다. == 등장 인물 == === 김부장 === '''Kim Bujang''' / '''[[사토|佐藤]]''' 이 게임의 주인공으로, 렐루보험 영업부에서 부장으로 일하고 있는 평범한 직장인. 어려서부터 마법소녀를 꿈꿔왔으나 여러 문제로 꿈을 접었던 사람으로, *냥을 만나 마법소녀가 된다. 문제는 이 주인공이 '''중년 남성'''인지라,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소녀'도 아니고 '카와이'하지도 않고 '러블리'하지도 않다]]는 점. 게다가 [[탈모]]도 있어 마법소녀와는 더더욱 거리가 멀다. ~~'즈큥도큥'과 '바큥부큥'과 '루루핑'은 여전히 미스테리~~ 이름 자체가 '김부장'인 것도 개그 포인트. === *냥 === '''Meow*''' / '''ネコ''' '마법청'에서 파견한 에이전트이자 0화에 나오는 상대. 평소에는 고양이의 모습으로 나왔지만, 김부장의 잠재력을 발견하고선 인간의 모습으로 변신한다. 전투 시에는 게임 플레이 방법을 알려주기만 할 뿐 공격을 하지는 않는다. 여러모로 [[튜토리얼]] 성격이 강한 상대로, 전투 후에는 구체적인 상황을 알려주는 조력자가 되어 준다. 이름에 들어간 별은 의도된 것으로, 아무렇게나 불러도 된다. ~~ㅈ냥이~~ ===# 폴 #=== '''Paul''' / '''ポール''' 1화에 나오는 첫번째 상대로, 하술할 점례를 돌보면서 한약에 [[아스파탐]]을 타서 먹이는 역할로 나온다.[* 1화의 에피소드 이름이 '무설탕 한약'인 것도 이 때문이다.] 점례의 연금 통장을 빼돌린 탓에 적으로 등장하며[* 설정상 마법소녀는 난방비 면제, 공영 주차장 할인, 톨게이트 할인 등 [[국가유공자]]에 준하는 혜택을 받는다. 때문에 연금 통장을 빼돌린 건 [[횡령|마법소녀에게는 중죄]]나 다름없다.], 기본적인 전투 방법을 익히는 정도로 상대하면 된다. 분명 여성인데 [[폴|이름은 남자 이름]]인 것이 개그 포인트. 피격 시 [[상상도 못한 정체]] 포즈를 취한다. ===# 점례 #=== '''Jumrye''' / '''[[사치코|幸子]]''' 1화에 나오는 두번째 상대로, 오래 전부터 활약했던 대마법소녀이다. 남편으로 [[김 첨지|첨지]]가 있었으나 현재는 사별했으며, 폴이 연금 통장을 빼돌린 탓에 폭주한 상태로 등장. 이 게임에서 [[1라운드 보스]] 역할을 맡고 있다. 전투 도중 갑자기 공격 대미지가 100 밑으로 떨어지는데, 이는 점례의 [[보청기]]가 고장(...)나서 공격이 먹히지 않기 때문. 몇번 더 공격에 성공하면 보청기가 고쳐져서 원래대로 돌아온다. '''큰 소리''', '''고주파음''' 등 필요한 특수 주문도 많아 까다로운 상대로 통한다. 특히 '''방어 주문'''은 매우 중요한 주문으로, 5초 이내에 시전에 성공하면 받는 대미지가 100 이하로 떨어진다. [[다이브킥#s-2|평소 들어가는 대미지가 백만 단위]]이니만큼 반드시 익혀야 하는 주문.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게임), date=2024-06-02, title=magical-mic-duel-senpai-hear-my-spell, critic=-, user=-)] [include(틀:평가/Steam, date=2024-06-02, code=2696400, rating=매우 긍정적, percent=94, count=221, rating2=-, percent2=-, count2=-)] 평가 자체는 '매우 긍정적'이지만, 그 실상을 보면 [[나만 당할 수 없지]]가 절대다수. 대놓고 [[수치플레이]]를 요구하는지라 출시 전부터 '''[[역병]] 게임'''으로 악명을 떨쳤고, 이 때문에 출시 후 1주일 안에 플레이한 스트리머가 꽤 많다. 세계관 영상의 댓글로는 대놓고 [[라디유]]가 언급되기도 했을 정도.[* 라디유 역시 출시 당일에 플레이 했으며, 게임 자체는 팬이 올려준 추천 글을 통해 '''3월 27일''' 인지한 바 있다. ([[https://www.inven.co.kr/webzine/news/?news=294388|관련 기사]], [[https://shelter.id/radiyu5/id/414737|해당 게시글, 쉘터 가입 필요]])] 크래프톤이 힘든 나머지 [[무슨 마약하시길래 이런생각을 했어요?|끝내 마약을 빨고 말았다]]는 평도 다수이며, '전체 이용가'라는 게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평도 많다. 추천을 받았는데 낚인 바람에 욕설을 동반한 평도 소수 있으며, [[양자택일|이 게임을 하느니 차라리 야동을 보겠다]]는 평도 존재. 스토리가 1장에서 끝난다는 부분은 감점 요소로, 얼리억세스 게임임을 감안해도 아쉬운 부분이다. 다이나믹 마이크로는 음성인식이 잘 되지 않아 개선이 필요하다는 평도 많다.[* 콘덴서 마이크로는 비교적 잘 된다.] PvP가 있다는 점은 위안거리. == 여담 == * 나무위키에서는 '루루핑'으로만 검색해도 이 항목만 주구장창 언급된다. 이름이 너무 긴지라 '마법소녀 [[그것|대충 그거]]'로도 불린다. * 게임 출시 전 [[장마군]] 등 소수 스트리머에 광고를 준 바가 있다. 특히 장마군은 [[러끼]]와 합방하여 PvP까지 알차게 광고했다. 썸네일 상에서 러끼는 전형적인 [[프리큐어]]의 모습으로, 장마군은 [[볼드모트]]의 모습으로 등장.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7hbTPw_1gFE)] * 목긴스나이퍼[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채널=@Kim_Mok_gin)]라는 스트리머가 이 게임 전문 [[도장 깨기]]로 유명하다. 이미 [[Funzinnu]], [[향아치]] 등 다수 스트리머가 당한 바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0kiiL8gS0dg|5월 30일]], [[https://www.youtube.com/watch?v=h151LCVAX7A|5월 31일]]) [[분류:2024년 Windows 게임]][[분류:2024년 게임/앞서 해보기]][[분류:시뮬레이션 게임]][[분류:한국 게임]][[분류:마법소녀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