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라이엇 게임즈)] ||
<-2> {{{+1 {{{#ffffff '''마법공학 아수라장: 리그 오브 레전드 이야기'''}}}}}}[br]{{{#ffffff Hextech Mayhem: A League of Legends Stor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마법공학 아수라장: 리그 오브 레전드 이야기 박스 아트.jpg|width=100%]]}}} || || '''개발''' ||[[파일:Choice Provisions.png|width=65]] || || '''유통''' ||[[라이엇 포지|[[파일:riotforgebl2.png|width=130]]]] || || '''플랫폼''' ||[[Microsoft Windows|[[파일:Windows 로고.svg|height=16]]]] | [[Nintendo Switch|[[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height=16]]]] || || '''ESD''' ||[[닌텐도 e숍/Nintendo Switch|[[파일:닌텐도 e숍 로고.svg|height=16]]]] | [[Steam|[[파일:스팀 로고.svg|height=16]]]] | [[에픽게임즈 스토어|[[파일:에픽게임즈 스토어 로고.svg|height=20]]]] | [[GOG.com|[[파일:GOG.com 로고.svg|height=16]]]]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아이콘.svg|height=16]]]]|| || '''장르''' ||[[플랫포머]], [[리듬 게임]] || || '''출시''' ||[[파일:미국 국기.svg|height=12]] 2021년 11월 16일[br][[파일:세계 지도.svg|height=12]] 2021년 11월 17일 || || '''심의 등급''' ||[[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전체이용가.svg|width=16]] '''{{{#000000,#dddddd 전체 이용가}}}''']][* [[https://www.grac.or.kr/Statistics/Popup/Pop_ReasonInfo.aspx?da9f37d2111cc67c35226d72fd16f874a6c813a6a053e8e5ec12581d53453bb0|심의 내용]]] || || '''관련 사이트''' ||[[https://hextechmayhem.com/k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store.steampowered.com/app/1651960/_/|[[파일:스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2>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zg3gfghZUnU, width=100%)]}}} || ||<-2> '''{{{#ffffff,#ffffff 공개 트레일러}}}''' || [[BIT.TRIP]]의 개발사인 초이스 프로비전에서 개발, [[라이엇 포지]]에서 퍼블리싱하는 리듬 게임. == 시스템 요구 사항 == ||<-3>
'''{{{#fff 시스템 요구 사항}}}''' || || '''{{{#FFF1DD 구분}}}''' || '''{{{#FFF1DD 최소 사양}}}''' || '''{{{#FFF1DD 권장 사양}}}''' || || '''운영체제''' ||<-2> [[Windows 10]] 64-bit || || '''프로세서''' || Intel Core i3-4130 || AMD Phenom II X4 965 || || '''메모리''' ||<-2> 6 GB RAM || || '''그래픽 카드''' || NVIDIA GeForce GTX 650[br]AMD Radeon HD 7770[br](VRAM 2GB) || AMD Radeon Vega 8 || || '''API''' ||<-2> DirectX 11 || || '''저장 공간''' ||<-2> 3 GB || == 배경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지역)] ||
<-2> '''{{{#ffffff '''배경 지역'''}}}''' || ||<:>{{{#F0F0E7 '''필트오버'''}}} || ||<:><#F2F2F2>[[필트오버|[[파일:롤-필트오버-엠블럼.png|height=100]]]]|| == 등장인물 == * [[직스]] ({{{-1 CV: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알렉산드로 줄리아니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안장혁]]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하나에 나츠키]] }}}) - 플레이어블 캐릭터 * [[하이머딩거]] ({{{-1 CV: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제이슨 팔머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광국(성우)|김광국]]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하나에 나츠키]] }}}) == 시스템 == 음악과 노트에 맞춰 여러가지 액션을 펼치며 스테이지를 클리어해나가는 형식의 게임이다. 진행도에 따라 스테이지 클리어 후 티어로 그 성과를 보여준다. 티어는 롤에 나오는 티어 그대로이며, 진짜 아무것도 안해야지만 겨우 얻을수 있는 아이언부터 모든 박자, 수집품 그리고 숨겨진 노트를 실수없이 모두 적중해야 얻을 수 있는 챌린저 티어까지 존재한다. 노트를 적중시킬 때마다 점수가 차오르고, 일정횟수동안 콤보를 유지한다면 노트 당 획득할 수 있는 점수가 2배, 3배로 오르며 최대 4배까지 오를 수 있다. 콤보가 끊기면 초기화된다. 또 일정 콤보 달성 시 화면이 붉은색으로 물들며 배경음악이 좀 더 락—스럽고 경쾌하게 변조된다 뒷배경에 몇몇 건물도 음악 맞춰 움직인다. 콤보가 끊기면 원래대로 돌아온다. 스테이지 중간중간에 톱니바퀴 모양의 수집품이 등장한다. 노란색은 다음 스테이지 해금을, 파란 톱니바퀴는 보스전 시 필요한 메카 제작을, 하얀 톱니바퀴는 직스의 스킨 구매를 담당한다. 스테이지 진행 도중 만약 중간에 사망 시 중간에 하얀 선이 나타나 앞으로 나아가며 그 선에 맞춰 다시 노트를 클릭하면 '''언제든지 다시 부활할 수 있다.''' 대신 죽은 곳 저 앞에서 부활하기에 몇개의 노트나 수집품은 포기해야한다. 그런데 죽은 상태에서 이 선이 골인지점까지 가면 그냥 클리어된다! 이를 이용해서 처음부터 일부러 죽고 느긋하게 골인지점까지 선이 이동하는걸 보는 관전플레이도 가능하다. 물론 언젠가는 수집품때문에 막힌다. 이렇듯 스테이지 "클리어" 에는 매우 관대한 모습을 보인다. 보스전도 존재한다. 총 3스테이지, 모두 하이머딩거가 만든 로봇과의 전투다. 앞서 말한 파란 톱니로 보스전에 필요한 메카를 제작 가능하며(미제작시 진행 불가), 메카도 직스와 동일한 조작법을 지녔다. 노트들을 쳐서 하이머딩거에게 미사일 공격을 날릴 수 있으며, 노트대로 진행하지 않는다면 하이머딩거의 로봇이 날리는 미사일과 터렛들의 공격을 받아 죽을 수 있다. 게다가 보스전엔 컨티뉴도 없으니 더욱 집중해서 진행해야한다. 하지만 정작 게임을 플레이해보면 초반엔 뭔가 많이 심심한 느낌을 주고, 노트들이 단조로운 것 치곤 주변에 무언가 소품들이 많이 널려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이는 바로 이 게임의 난이도를 상승시킨 주범, '''"숨겨진 노트"'''의 존재 때문이다. 게임속엔 음악에 맞춰 여러가지 숨겨진 노트들이 존재하는데, 이들을 적중해야 점수도 높아지고, 일부 수집품들도 마저 획득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숨겨진 노트의 정체를 알고 나서 다시 1-1로 돌아가 100% 클리어를 진행하려고 해보면, '''갑자기 난이도가 미쳐 날뛰는걸 볼 수 있다.''' 자세한 정보는 후술. === 일반 노트 === --일부 가칭이다.-- * '''점프''' 녹색의 위로 향하는 화살표 모양을 하고 있으며, 클릭 시 폭발을 일으키며 점프한다. 바닥에 착지하기 전까지 최대 2단 점프까지만 가능하니 주의. * '''지면 강타''' 하얀색의 아래로 향하는 화살표 모양을 하고 있으며, 클릭 시 현재 직스가 어디있든 빠르게 바닥으로 하강한다. 노트가 여러 개 있을시 제한없이 연타할 수 있으며, 중반쯤에 이 기믹을 스프링 등과 섞어 자주 써먹는다. 바닥에서 걸어다니는 중엔 눌러도 하강하지 않는다.[* 이 점 때문에 가끔 씹히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 '''폭탄''' 파란색의 마름모 모양을 하고 있으며, 누르면 전방으로 폭탄을 던져 장애물을 제거할 수 있다. '''숨겨진 노트와의 조합은 그야말로 환장의 콜라보.''' * '''폭탄던지기(보스전)''' 메카에 탑승중일 때는 위를 향해 폭탄을 던진다. 보스를 직접적으로 공격하진 못하고, 맵에 널려있는 파란 미사일들을 맞춰 이로 보스를 공격하는 용도이다. * '''반박자 노트''' 모든 노트에 존재. 각 노트보다 조금 더 얇은 모습을 하고 있으며, 반박자 타이밍에 눌러야 명중된다. 정말 어려운 난이도를 자랑한다. 단독으로 나올땐 그나마 할 만해도, 여러 노트와 섞여져 나오면 난이도는 지옥 그 자체. 게다가 대부분의 숨겨진 노트들은 반박자에 존재하므로 더욱 더 힘들다. * '''초강력 폭탄 점프''' 두 개의 일반 점프 노트가 선으로 이어져있는 모습. 처음 노트에서 꾹 누른 상태로 다음 노트에서 떼면 폭발을 일으키며 일반 점프보다 더욱 높이 뛰어오른다. 살짝 어렵지만 할만하다. 하지만 이런 류의 노트가 역겨운 이유는... * '''반박자 초강력 폭탄 점프''' 위와 동일하지만, '''이번엔 반박자 노트다!''' 타이밍 맞추기도 굉장히 어렵고, 판정도 좋지 않아 보통 여기서 콤보가 끊기는 경우가 많다. 후반엔 거의 반박자 노트로만 등장하기에 더 짜증나는건 덤. * '''지옥 화염 폭탄''' 빅 점프와 동일. 거대하고 폭발력 높은 폭탄을 던진다. 모여있는 장애물을 한 방에 날려버릴 수 있고, 보스에게 큰 데미지를 줄 수 있다. * '''반박자 지옥 화염 폭탄''' 반박자 빅 점프와 같다. 등장 빈도가 그렇게 높진 않으나, 연속으로 나온다면 심한 짜증을 유발할 수 있다. === 프리스타일 아수라장(숨겨진 노트) === '''이 게임이 어렵다고 평가되는 주된 원인.''' 알맞게 상황판단을 해 적절한 노트를 눌러야하고, 후반으로 갈수록 더 많아져 리듬게임 주제에 추리력을 요구한다. 그도 쉽지 않은게, 배경에 가려져서 안보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 아무튼 숨겨진 노트의 존재 덕에 이 게임은 말 그대로 입문하긴 쉽고 마스터하긴 빡센 게임이 되어버렸다. 아래에는 숨겨진 노트가 있는 구조물을 서술한다. * '''마법공학 박스(바닥)''' 바닥에 배치된 검은색에 파란 점이 찍혀있는 박스. "점프" 노트가 숨겨져있다. 보통 풍선과 조합되어 나오는 경우가 많다. * '''풍선''' 공중에 떠있는 빨간 해골마크 풍선. 추가로 점프한 뒤 착지•하강 노트로 내리찍어야한다. 보통 마법공학 박스(바닥)과 조합되어 나오지만 단독으로 있을때도 많아 머리를 쓰게 만든다. * '''노란 부품''' "폭탄 던지기" 노트가 숨겨져있다.[* 하강해야하는 바닥에 위치한 톱니바퀴는 해당하지 않는다.] 이것이 가장 주력한 난이도 상승의 범인이다. 스테이지당 갯수도 매우 많고, 노트 사이사이에 빼곡하게 박혀있어 치기도 힘들고, 대부분 반박자 노트 위치에 있기 때문에 더더욱 뇌지컬을 요구한다. [* 앞의 톱니만 보다 뒤의 톱니를 놓치는 경우도 있어서 까다롭기도 하다.] * '''발판''' 바닥보다 살짝 튀어나온 모습에 가운데 빛이 올라오는 모습, 밑에서 바람이 불어오는 모습 두 종류가 있다. 착지•하강노트로 내리찍어야 한다. 잘 안보여서 아수라장 99%의 주요 원인이다. * '''스프링''' 발판과 마찬가지로 착지•하강 노트로 내리찍어야 한다. 찍으면 높이 튀어오르며, 스프링과 착지•하강 노트의 연타 조합이 자주 보이는 편이다. * '''폭탄 박스''' 평소엔 빨간 해골마크 상자 모습이나, 근처에 가면 스프링과 폭탄몇 개가 튀어나온다. "스프링"과 동일하게 밟으면 높이 튀어오른다.[* 단, 스프링과는 달리 폭탄던지기로 제거되기에 더욱 조심해야한다. 타이밍이 어긋나면 이 장애물이 없어져 콤보가 강제로 끊겨버린다. 대표적인 예시로 6-3 스테이지가 있다.] * '''보안관''' 여러 종류가 있다.[* 그냥 앉아있는 보안관, 총으로 공격하는 보안관, 사다리에 타고 있는 보안관, 전기로 직스를 마비시켜버리는 보안관 등등.] 보통 폭탄 던지기로 제거되나, 경우에 따라선 스프링처럼 내리찍어 더 높이 점프하는 용도로 이용해야하기도 한다.[* 폭탄 박스와 마찬가지로 폭탄던지기로 제거되기에 주의. 대표적인 예시로 6-3 초반부.] * '''부품 박스''' 엄밀히 말하자면 숨겨진 노트는 아니지만, 파괴 시 순서대로 날아오는 톱니 여러개를 소환하기에 이놈도 공범이라고 말할 수 있다. * '''미사일''' 보스전 한정으로 등장. 초록색과 하얀색 두 종류이며, 각각 점프와 착지•하강 노트를 담당한다. 이것들 같은 경우엔 자연스럽게 배경에 동화되어 잘 안보이는 편이라, 이 때문에 하이머딩거 피해량이 200%까지 채워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 모드 === 일반 모드를 제외한 두 모드는 첫 게임을 끝까지 클리어해야 해금된다. * '''일반 모드''' 그냥 평범한 일반 모드. * '''완전 집중 모드''' 숨겨진 노트들이 모두 표시된다![* 아래의 영상들은 모두 이 모드를 사용했다.] 대신 일반 모드에서 숨겨진 노트는 박자가 살짝 안 맞아도 대충 적중했으면 인정해줬었는데, 여기선 박자까지 정확히 모두 맞춰야하기에 경우에 따라 이 모드가 일반보다 어렵다고 느끼는 사람들도 있다. * '''난공불락 모드''' 각 스테이지의 완전 집중 모드를 마스터 이상으로 클리어 해야 각각 해금된다. '''모든 노트가 보이지 않는다.''' 그냥 톱니바퀴가 있던 몇몇 자리만 도넛으로 표시되고 나머진 아무것도 안 보인다. 때문에 상황에 맞춰서 빠르게 판단을 내리거나 기존의 빌드를 다 외워서 와야하는 미친 모드. 게다가 일반모드의 숨겨진 노트처럼 자유 판정도 아니라 '''박자까지 다 맞춰야하며''', 중간에 실수하면 스테이지가 자동으로 재시작되기에 완벽한 고인물 전용이다.[* 대신 점수 추가 최대치가 ×9까지 늘어나고, 배경 음악 변조가 조금 더 빨라진다.] == [[마법공학 아수라장: 리그 오브 레전드 이야기/레벨|레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법공학 아수라장: 리그 오브 레전드 이야기/레벨)] == 스토리 == *시작 필트오버 대학에서 열심히 새 발명품을 발명중인 하이머딩거의 실험실로 직스가 폭탄을 던져 벽을 부숴버리며 들어온다! 그러고는 하이머딩거에게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폭탄을 만들거라는 말을 한다. 물론 하이머딩거는 이를 터무니없는 소리라고 생각하고 있었기에 이런 행동은 참을 수 없고 당장 멈추라는 말을 하지만 직스는 아랑곳하지 않고 폭탄 하나를 던져놓고는 도주한다. * 첫번째 대결 필트오버 여기저기를 아수라장으로 만들고다니는 직스. 경비원들이 직스를 막아보려 했지만, 그 직스를 막기엔 부족했다. 결국 하이머딩거는 직접 최근에 만든 로봇으로 직스를 저지하려고 하고, 직스 또한 고화력의 폭발력을 가진 "우당탕 폭탄 로봇"을 제작하여 대결을 펼친다. 직스는 대결에서 이기게 되고, 패배한 하이머딩거에게 자신은 박사, 하이머딩거는 조수가 되어 함께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폭탄을 만들어보지 않겠느냐는 제안을 하지만 당연히 하이머딩거는 자신은 교수라고 지금 자신을 모욕하는거냐며 거절하고, 직스는 말을 늘어놓다가 또 폭탄을 던진 후 도주한다. 하이머딩거는 "새로운 발명품을 만들어야겠군..." 이라며 터덜터덜 실험실로 돌아간다. * 두번째 대결 하이머딩거가 만든 두번째 로봇과 함께, 직스는 자신의 "우당탕 폭탄 로봇 V2"로 전투를 벌인다. 이번에도 직스의 승리. 전투 후, 직스는 코에 바나나를 꽂고 하이머딩거 흉내를 내며 하이머딩거를 놀린다. 하이머딩거는 여기서 멈추지 않으면 직스의 폭탄들을 자신이 개발할 T-헥스[* T-렉스]의 먹이로 만들어버릴거라며 경고한다. 그러나 직스는 완전 재밌겠다고 좋아하고[* --하이머딩거: 솔직히 재미는 있겠... 아니 없어!!--], "더 뛰어난 요들이 이기겠죠" 라는 발언을 한다. 그러자 하이머딩거는 이에 지지않고 과학의 힘으로 제대로 본때를 보여줄거라고 말한다. --이미 즐기고 계신듯-- * 최종전 드디어 직스는 여기저기를 돌아다닌 끝에 자신이 칭하길 다른 모든 폭탄을 끝장낼 궁극의 폭탄인 "우당탕 폭탄 로봇 V3"를 완성한다. 마침 하이머딩거도 T-헥스를 개발해 왔겠다, 둘은 최종 전투를 펼치게 된다. --T-헥스: 목표 발견. 목표 털 많음. 직스: 짜증나!-- 그러나 결국엔 직스가 T-헥스를 폭파시켜버려[* 대사: 적에게! 직스! 당했습니다!] 마지막 승리를 거머쥐며 하이머딩거에게 다시금 폭탄의 위대함을 알려주는데 성공한다! * 엔딩 둘은 실험실 베란다에서 서로 이야기를 나눈다. 하이머딩거는 직스의 폭탄은 정말 최고의 폭탄이라며 칭하고, 직스도 이에 보답하듯 폭탄을 던져 하늘에 불꽃놀이를 펼친다.[* 정말 의외로, 우리가 아는 형형색색의 그 불꽃놀이 맞다.] 그 후 하이머딩거는 자신의 과학기술과 직스의 폭탄을 합쳐 교수&조수 조로 다시 한 번 뭉쳐 폭탄을 강화시켜보자는 제안을 하게 되지만, 직스는 "폭발은 예술 그 자체" 라며 건들지 말라고 한다. 그러나 인트로 때의 직스처럼 하이머딩거는 들은체 말은체 과학기술을 이용한 폭탄 강화 계획을 구상하고 "이 계획을 대학에서 듣기만 한다면~!" 이라며 즐거운 마음으로 물러나고, 직스는 "하이머딩거? 하이머딩거! 폭탄은, 폭탄으로 내버려 두라고요오!!!" 라며 절규하며, 이야기는 끝이 난다. == 스킨 == * '''기본 직스''' >직스를 알면 직스를 사랑하게 됩니다. * '''달콤 가득 직스''' (흰색 부품 4개) >폭발적인 맛의 과자를 만듭니다! * '''빌지워터 직스''' (흰색 부품 4개) >갑판을 닦으라고? >해야 할 일이 많은 것 같은데? >그냥 폭파해버리자. * '''[[징크스(리그 오브 레전드)|징크스]] 직스''' (흰색 부품 4개) >징크스가 흐뭇해하거나 아주 아주 화를 낼 겁니다. * '''[[티모]] 직스''' (흰색 부품 4개) >모자가 정말로 잘 어울리네요. * '''수영장 파티 직스''' (흰색 부품 4개) >직스의 폭격에 살아남은 자는 얼마 없습니다. * '''비전 마법 대가 직스''' (흰색 부품 4개) >직스가 당신에게 주문을 겁니다! >아니면 날려버릴 수도 있죠. >확률은 반반입니다. * '''폭탄 예술가 직스''' (흰색 부품 4개) >직스를 담을 수 있는 화폭은 없습니다. * '''중간보스 직스''' (흰색 부품 4개) >위험을 감수하고 직스의 신기록을 깨세요. * '''커맨더 비디오 직스''' (흰색 부품 4개) >세상을 여행하던 직스의 모험은 드디어 필트오버로 이어졌습니다. * '''황금 직스''' (노란 부품 3,000개) >상을 받지 못한다면 상 그 자체가 되세요. * '''몰락한 직스''' >그는 무엇을 망쳤습니까? >물론이야... * '''[[K/DA]] 직스''' (붐박스 1 한정) >모든 마이크를 붐 마이크로 만들죠! * '''프로게이머 직스''' (붐박스 2 한정) >져 주는 게 좋을 거에요. * '''[[True Damage]] 직스''' (붐박스 3 한정) >항상 무대를 폭발적으로 만듭답니다. == DLC == * 붐박스 1: [[POP/STARS|POP/STARZ]] K/DA 직스 스킨과, 특수 레벨 POP/STARS, MORE, THE BADDEST가 추가된다. * 붐박스 2: [[Legends Never Die|ZEGENDS NEVER DIE]] 프로게이머 직스 스킨과 특수 레벨 Phoenix, Legends Never Die, RISE가 추가된다. * 붐박스 3: [[Get Jinxed|GET ZINXED]] True Damage 직스 스킨과 특수 레벨 Get Jinxed, GIANTS, Warsongs: Piercing Light가 추가된다. == 도전 과제 == ||
'''아이콘''' || '''도전 과제명''' || '''습득 방법''' ||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1 완벽주의자}}}'''[br]꽈당 없이 레벨 완료 || 장애물에 부딪치지 않고 레벨을 완료하면 된다. ||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1 정밀한 혼돈}}}'''[br]레벨에서 액션 박자 정확도 100% 달성 || - ||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1 최고의 아수라장}}}'''[br]레벨에서 보너스 아수라장 100% 달성 || - ||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1 달리기 장인}}}'''[br]아무 레벨에서 다이아몬드 랭크 달성 || - ||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1 사고 치기 달인}}}'''[br]에피소드 1~5의 아무 레벨에서 마스터 랭크 달성 || - ||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1 좋았던 시간}}}'''[br]에피소드 6에서 10까지 아무 레벨에서 그랜드마스터 랭크 획득! || - ||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1 이런 필트오버}}}'''[br]에피소드 11에서 15까지 아무 레벨에서 챌린저 랭크 획득 || - ||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1 집중력 향상}}}'''[br]완전 집중 모드 아무 레벨에서 그랜드마스터 랭크 달성 || - ||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1 누구도 가지 못한 길}}}'''[br]난공불락 모드로 레벨 완료 || - ||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1 난장판 기술자}}}'''[br]청록색 부품 24개 수집 || - ||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1 아수라장 지휘자}}}'''[br]청록색 부품 48개 수집 || - ||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1 폭발학부 명예 학장}}}'''[br]청록색 부품 72개 수집 || - ||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1 꾸준한 하체 운동}}}'''[br]보스 처치 1 || 5-보스(하이머딩거 1차전)클리어. ||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1 격해지는 몸싸움}}}'''[br]보스 처치 2 || 10-보스(하이머딩거 2차전)클리어. ||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1 파괴자 대 발명가}}}'''[br]보스 처치 3 || 15-보스(하이머딩거 최종전)클리어. ||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1 부품계의 큰 손}}}'''[br]일반 모드에서 모든 부품 수집 || 주황색 부품 3,000개, 청록색 부품 108개, 흰색 부품 36개를 모으면 달성. ||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1 자운의 자랑}}}'''[br]일반 모드의 모든 레벨에서 챌린저 랭크 달성 || 일반 모드에서 39개 레벨 전부 챌린저 랭크 달성. ||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1 집중의 대가}}}'''[br]완전 집중 모드의 모든 레벨에서 챌린저 랭크 달성 || 완전 집중 모드에서 39개 레벨 전부 챌린저 랭크 달성. ||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width=100]] || '''{{{+1 강화 장인}}}'''[br]난공불락 모드의 모든 레벨에서 챌린저 랭크 달성 || 난공불락 모드에서 39개 레벨 전부 챌린저 랭크 달성. || == 평가 ==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fff '''플랫폼'''}}} || {{{#fff '''메타스코어'''}}} || {{{#ffffff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333; font-size: 0.75em" [[PC|{{{#fff PC}}}]]}}}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c, code=hextech-mayhem-a-league-of-legends-story, y=, score=72)]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c, code=hextech-mayhem-a-league-of-legends-story/user-reviews, y=, score=7.3)]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60012; font-size: 0.75em" [[Nintendo Switch|{{{#white Switch}}}]]}}}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switch, code=hextech-mayhem-a-league-of-legends-story, y=, score=67)]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switch, code=hextech-mayhem-a-league-of-legends-story/user-reviews, g=, score=8.0)] || [include(틀:평가/오픈크리틱, code=12363, title=hextech-mayhem-a-league-of-legends-story, rating=fair, average=71, recommend=31)] [include(틀:평가/Steam, code=1651960, rating=매우 긍정적, percent=81, count=1\,997, rating2=매우 긍정적, percent2=80, count2=10, date=2022-10-11)] 출시 당일 스팀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이다. 부정적인 평가는 대체로 조작키에 관한 것인데, PC기본 조작키가 끔찍하게 불편하며 출시 초창기에는 사용자 지정 키설정이 불가능했었다. 현재는 사용자 키설정이 가능하며 이에따라 평가가 조금씩 오르는 편. 입문 난이도는 낮고 숙련 난이도는 높은 플레이 방식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리듬게임에 익숙한 유저라면 노트 진행에는 문제가 전혀 없을 정도로 난이도가 낮은 편이지만 일반적인 방식으로 플레이 해선 다이아 이상의 티어점수를 획득 할 수가 없다. 러닝게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진행 루트에 깔려있는 점수획득용 황색 톱니바퀴, 타이밍을 적합하게 맞춰야 획득이 가능한 청색 톱니바퀴, 애매한 곳에 위치해 획득하기 어려운 흰색 톱니바퀴를 획득하는 것을 통해 추가적인 점수를 획득 할 수 있고, 높은 곳에 위치해 점프를 추가적으로 해야 없앨 수 있는 풍선, 두 가지 버튼을 동시에 눌러서 터뜨려야 하는 배경등의 오브젝트와 직스의 컨셉에 맞춰 폭탄을 던져 터뜨려야 하는 오브젝트까지 모두 한꺼번에 완벽하게 공략하는데 성공해야 챌린저 티어를 얻을 수 있다. == 기타 == * 특이하게도 [[직스]]가 음악 관련 챔피언인 [[소나(리그 오브 레전드)|소나]]와 [[세라핀]]보다 먼저 [[리듬 게임]]의 주인공을 하게 되었다. * 원작의 직스는 왼쪽에 귀고리를 차고 있는데 이 게임에서는 오른쪽에 귀고리를 걸고 있다. * 같은 날 출시했지만 2019년부터 예고하며 기대감을 올렸던 [[몰락한 왕: 리그 오브 레전드 이야기]]와는 반대로 출시 고작 1주일 전에 공개되었다. 아무런 떡밥 없이 비밀리에 개발하다가 기습적으로 공개하는 것이 특이하다는 반응. * 오픈 직후 한글이 보이지 않는 [[버그]]가 있었다. * [[넷플릭스]] 구독자 전용 게임 서비스에 추가 되었다.[* 플레이 해보면 알겠지만 가끔씩 랙이 걸리고 버튼의 위치가 한곳에 붙어있는게 아닌 다 따로 떨어져있어 버튼을 빠르게 누르기 힘들다.] * 게임의 두 주인공 직스와 하이머딩거의 일본 성우가 공교롭게도 [[하나에 나츠키]]로 동일하다. [[분류:라이엇 게임즈]][[분류:2021년 게임]][[분류:리듬 게임]][[분류:Windows 게임]][[분류:Nintendo Switch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