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마리오 vs. 동키콩 시리즈]][[분류:2015년 닌텐도 3DS 게임]][[분류:2015년 Wii U 게임]] [include(틀:마리오 vs. 동키콩 시리즈)] ||<-2> {{{+1 '''마리오 vs. 동키콩 다 함께 미니랜드'''}}}[br]マリオvs.ドンキーコング みんなでミニランド[br]Mario vs. Donkey Kong: Tipping Stars || ||<-2>{{{#!wiki style="margin:-5px -10px; align:top" [[파일:마리오vs동키콩 다 함께 미니랜드 3DS 유럽 박스아트.png|width=50%]][[파일:마리오vs동키콩 다 함께 미니랜드 Wii U 유럽 박스아트.png|width=50%]]}}}|| || '''개발''' ||[[닌텐도 소프트웨어 테크놀리지|[[파일:Nintendo Software Technology 로고.svg|width=120]]]] | [[닌텐도|[[파일:닌텐도 로고.svg|width=80]]]] || || '''유통''' ||[[닌텐도|[[파일:닌텐도 로고.svg|width=80]]]] || || '''플랫폼''' ||[[닌텐도 3DS|[[파일:닌텐도 3DS 로고.svg|width=100&theme=light]][[파일:닌텐도 3DS 로고 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New 닌텐도 3DS]] 대응] | [[Wii U|[[파일:Wii U 로고.svg|height=16]]]] || || '''장르''' ||[[액션 게임|액션]] [[퍼즐 게임|퍼즐]] || || '''플레이 인원''' ||1명 || || '''발매''' ||[[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2015년]] [[3월 5일]][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2015년]] [[3월 19일]][br][[파일:유럽 연합 깃발.svg|width=22]] [[2015년]] [[3월 20일]][br][[파일:호주 국기.svg|width=22]] [[2015년]] [[3월 2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미발매 || || '''엔진''' ||Nintendo Web Framework || || '''가격''' ||2,800엔[* 소비세 별도] / 19.99달러 {{{-2 (3DS 버전+Wii U 버전)}}} || || '''용량''' ||'''3DS 버전''': 3200블록 '''Wii U 버전''': 0.93GB || || '''공식 사이트''' ||[[https://www.nintendo.co.jp/wiiu/wafj/index.htm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일본)^^ | [[https://www.nintendo.co.uk/Games/Nintendo-3DS-download-software/Mario-vs-Donkey-Kong-Tipping-Stars-954726.htm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영국)^^ || [목차] [clearfix] == 개요 == ||<-2>{{{#!wiki style="margin:-5px -10px -6px" [youtube(EIbYEyl8wfA)]}}}|| || '''소개 영상''' (일본) [[https://youtu.be/iR3A_3GVcXc|{{{#fff 북미}}}]] || [[닌텐도 3DS]]와 [[Wii U]]로 발매된 [[마리오 vs. 동키콩 시리즈]]의 게임. 한 기종의 버전을 구매하면 다른 기종의 같은 소프트웨어가 무료로 제공된다. 일본에서는 패키지 버전과 다운로드 버전이 함께 발매되었으며,[* 일본의 패키지 버전은 패키지 안에 다른 기종 버전의 다운로드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방식이다.] 나머지 지역에서는 다운로드 버전만 발매되었다.[* 유럽에서는 게임 카드 없이 다운로드 코드만 들어있는 패키지 버전이 발매되었다.] 한국에서는 미정발. == 발매 전 정보 == ||<-2>{{{#!wiki style="margin:-5px -10px -6px" [youtube(X5Uktlni4bg)]}}}|| || '''GDC 2014 데모 플레이 영상''' || 2014년 [[게임 개발자 회의|GDC]]에서 [[닌텐도]]의 웹 기반 개발 엔진인 '''Nintendo Web Framework'''를 시연하는 소프트웨어로 Wii U 버전의 데모가 출품되었다. 당시에는 이 데모가 실제 게임으로 나오는지 알 수 없었다고 한다. ||<-2>{{{#!wiki style="margin:-5px -10px -6px" [youtube(k2zH6-kDukQ)]}}}|| || '''E3 2014 트레일러''' || 그리고 같은 해 [[E3]]에 공개되면서 풀 버전의 Wii U 게임으로 나오는 것이 확정되었다. 당시에도 부제는 공개되지 않았다. 다음 해 [[https://www.youtube.com/watch?v=t6zgkp1YBRw&t=1298s|닌텐도 다이렉트 2015.1.14]]에서 'Tipping Stars'라는 부제와 닌텐도 3DS 버전이 공개되었고, 발매일이 확정되었다. == 특징 == 터치스크린으로 스테이지에 여러가지 장치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행동하는 토이 캐릭터를 출구로 인도하는 방식으로, [[마리오 vs. 동키콩 돌격! 미니랜드]]와 거의 동일하다. 새로운 하드웨어 환경에 맞게 그래픽과 사운드가 개선되었다. === 양 버전 간의 비교 === [[닌텐도 3DS]] 버전은 엇갈림 통신으로 만든 스테이지를 주변 사람에게 소개하는 기능이 있고, [[Wii U]] 버전은 하드웨어 특성상 넓은 화면으로, 1080p의 비교적 높은 해상도로 표시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 외의 기능적인 차이점은 없다. 양 기종의 화면 크기와 비율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스테이지의 크기, 장치 사이의 위치 관계 등 스케일링의 차이가 있으나, 게임플레이 상으로는 아무런 차이가 없도록 세심하게 조정되었다. 만든 스테이지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는 송신처와 수신처의 기종이 달라도 가능하다. 하지만 그것 이외의 [[크로스 플랫폼]] 서비스는 지원하지 않는데, 양 버전의 저장 데이터, 스타, [[Miiverse]] 도장 모두 따로따로 관리된다. === 스테이지 === 월드 1~E2는 각각 8개의 스테이지로 구성되며, 각 월드의 4번째 스테이지는 여러 토이 캐릭터들을 각각 정해진 출구로 인도하는 방식이고, 7번째 스테이지는 열쇠구멍 출구와 열쇠를 가진 미니마리오가 등장하며, 8번째 스테이지는 원숭이 로봇에게 조종당하는 토이 캐릭터가 등장한다. * 월드 1: '''롤링 힐즈''' (ローリングヒルズ/Rolling Hills) * 월드 2: '''정글 점프''' (ジャングルジャンプ/Jumpy Jungle) * 월드 3: '''컨베이어 팩토리''' (コンベヤファクトリー/Runaway Warehouse) * 월드 4: '''덴저러스 케이브''' (デンジャラスケーブ/Crumbling Cavern) * 월드 5: '''데저트 대시''' (デザートダッシュ/Dashing Desert) * 월드 6: '''트와일라잇 빌리지''' (トワイライトビレッジ/Twilight Valley) * 월드 E1~E2: '''스페이스 스테이션''' (スペースステーション/Orbiting Observatory) 엔딩 이후에 등장하는 엑스트라 스테이지. E1, E2 2개의 월드로 구성된다. * '''보너스''' 고난이도의 보너스 스테이지. 본편에서 금 트로피를 모아 해금해야 플레이할 수 있다. 총 24개가 있다. 전작들과 달리 보스 스테이지, 미니게임, 플러스 스테이지가 등장하지 않는다. 본편 컨텐츠보다는 아래에서 설명할 온라인 공유 기능에 집중한 탓에 전작들에 비해 분량이 적은 편이다. === 에디터 / 커뮤니티 === 전작들과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어김없이 레벨 에디터 기능이 탑재되었다. 본작의 가장 큰 특징은 만든 스테이지를 온라인으로 공유하는 기능이다. 이 시리즈의 온라인 공유는 [[마리오 vs. 동키콩 2 미니미니 대행진!|2편]]부터 존재한 유서 깊은 기능이지만, 본작에서는 닌텐도 독점 소셜 서비스인 [[Miiverse]]와 연계되며 다른 사람의 스테이지에 코멘트를 달거나 본편에서 모은 스타를 보내는(Tipping) 기능을 도입하여 대폭 발전했다.[* 참고로 이 게임은 [[슈퍼 마리오 메이커]]보다 6개월 먼저 발매되었다.] 또한 본편의 스테이지와 별개로 제작진이 만들어 배포한 컨텐츠도 상당수 존재했다. 이후 본작의 네트워크 서비스가 종료되면서 온라인 공유, 커뮤니티 기능은 이용할 수 없게 되었다. == 평가 ==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플랫폼''' || '''메타스코어''' ||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8080; font-size: 0.75em" [[Wii U|{{{#ffffff Wii}}} {{{#00c5ff U}}}]]}}}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mario-vs-donkey-kong, code=, y=, score=70)]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mario-vs-donkey-kong, code=user-reviews/, g=, score=7.5)]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 font-size: 0.75em" [[닌텐도 3DS|{{{#red 3}}}{{{#white DS}}}]]}}}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mario-vs-donkey-kong, code=critic-reviews/?platform=3ds, y=, score=70)]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mario-vs-donkey-kong, code=user-reviews/?platform=3ds, y=, score=7.4)] || [include(틀:평가/오픈크리틱, code=717, title=mario-vs-donkey-kong-tipping-stars, rating=fair, average=72, recommend=38)] == 기타 == * '다 함께 미니랜드'는 임시 번역이다. 이 게임은 국내에 정식 발매된 게임이 아니며 현재 게임명의 정식 번역어는 없다. 일본 원제의 'みんなで'는 '모두와' 등으로 번역되기도 하니 상황에 따라 본작의 명칭이 다르게 쓰일 수 있음을 염두에 둘 것. * 게임 발매일에 본작을 배경으로 한 [[닌텐도 3DS]] 테마(배경화면)가 해외에서 발매되었다. 일본 가격은 200엔. == 둘러보기 == [include(틀:마리오 시리즈)] [include(틀:동키콩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