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양음악사)] ||<-2> '''{{{+1 마리오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br]Mario Castelnuovo-Tedesco''' || ||<-2>{{{#!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www.bach-cantatas.com/Castelnuovo-Tedesco-Mario-03.jpg|width=100%]]}}} || ||<|2> '''출생''' ||[[1895년]] [[4월 3일]]|| ||[[이탈리아 왕국]] [[토스카나]]주 [[피렌체]] || ||<|2> '''사망''' ||[[1968년]] [[3월 16일]] (향년 72세)|| ||[[미국]] [[캘리포니아]]주 [[베벌리힐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직업''' ||[[작곡가]] || || '''링크''' ||[[https://www.youtube.com/channel/UC7WIWpniFPIdtieH9zlJPR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www.discogs.com/artist/885845|[[파일:디스코그스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Z3msHlzEXkQ)] 마리오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는 [[이탈리아]]의 [[클래식(음악)|클래식]] 작곡가이다.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Castelnuovo-Tedesco)가 성씨이지만 --너무 길어서-- 흔히 테데스코라고 불린다. 생전 관현악곡, 실내악곡, 합창곡 등 다양한 작품을 썼으나 [[클래식 기타]]를 위해 작곡한 기타 협주 · 독주곡으로 잘 알려져있다. == 생애 == [[이탈리아]] [[피렌체]]의 [[에스파냐]]계 [[유대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로부터 피아노를 배우게 된 것을 계기로 음악에 입문하였으며, 9살때 첫 작품을 작곡하기도 하였다. 이후 일데브란도 피체티 등 이탈리아 내에서 유명했던 거장들을 사사하였고, 오토리노 레스피기, 알프레도 카셀라, 빈첸초 토마시니 등 당대 이탈리아의 쟁쟁한 음악가들과 함께 이탈리아의 국립 음악협회(Societa Nazionale di Musica)[* 이후 Corporazione delle nuove musiche로 계승.]의 창립에 기여하였다. 1922년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에서 열린 제 1회 국제 현대 음악 축제에서 작품을 공연하고 1926년에는 오페라 라 만드라골라(La Mandragola)를 성공적으로 초연하면서 작곡가로서 찬사를 받기 시작하였으나, 당시 유럽을 휩쓴 [[반유대주의]]의 물결에서는 그 역시도 자유롭지 못했다. 이탈리아 인종법이 발효된 1938년 이전에도 이미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라디오에서 작품을 방송하는 것조차 금지되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창작에 대한 의지를 놓지 않아 첼리스트 그레고르 피아티고르스키에게 헌정한 첼로 협주곡과 첼로 소품, 당대 [[기타]]의 거장 [[안드레스 세고비아]]에게 헌정한 기타 협주곡 1번과 기타 5중주외 소품들, 그리고 같은 유대계인 거장 바이올리니스트 [[야샤 하이페츠]]를 위한 바이올린 협주곡 2번 등을 남기는 등[* 이때의 인연으로 하이페츠는 카스텔누오보 테데스코가 [[할리우드]]에서 영화음악가로 정착하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 음악가들과의 왕성한 교류와 활동을 벌였다. 그러나 결국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 이탈리아를 떠나 [[미국]]으로 이주했는데, 이때 지휘자 [[아르투로 토스카니니]]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토스카니니는 이미 1933년에 미국으로 이주한 상태였다.] 미국으로 이주한 이후에는 [[야샤 하이페츠]]의 도움으로 [[할리우드]]에서 영화 음악가로서의 커리어를 시작하였다. 이때 15년간 유수의 제작사를 거치며 200곡의 영화 OST를 작곡하는 동시에 클래식 작곡에도 매진하는 한편 음악 교육자로서도 활동하였다. 사실 그가 작곡가로서 활동한 경력보다 스승으로서의 이력이 더 화려한데, 정식으로 배운 제자로 '''[[헨리 맨시니]], [[앙드레 프레빈]]''' 등이 있으며, 그외에도 '''[[존 윌리엄스]]''' 등이 할리우드에서 음악 활동을 하던 시기에 개인적으로 배운 적이 있었다. 알다시피 이들 대부분 매우 유명한 영화 음악가.[* 앙드레 프레빈은 흔히 [[지휘자]], [[피아니스트]]로 알려져있지만 작곡 역시한다.] 1946년에는 드디어 미국 시민권을 확득하였다. 또한 전쟁이 끝난 이후여서 고국인 이탈리아에도 자주 방문하였다. 1958년 오페라 [[베니스의 상인]]을 발표하면서 Concorso Campari를 수상하였다. 그리고 죽을 때까지 미국의 시, [[유대인]] 음악, [[성경]]을 주제로 한 작품에 매진하다가 1968년 [[베벌리힐스]]의 자택에서 타계하였다. [[분류:이탈리아의 작곡가]][[분류:미국 남성 작곡가]][[분류:복수국적자]][[분류:이탈리아계 미국인]][[분류:스페인계 미국인]][[분류:유대계 미국인]][[분류:스페인계 이탈리아인]][[분류:유대계 이탈리아인]][[분류:1895년 출생]][[분류:1968년 사망]][[분류:피렌체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