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rtin_Niem%C3%B6ller_%281952%29.jpg|wid=300&height=400]]|| ||<-3> '''{{{#white {{{+2 Friedrich Gustav Emil Martin Niemöller [br] 마르틴 니묄러}}} }}}''' || || {{{#white '''본명'''}}} ||||프리드리히 구스타프 에밀 마르틴 니묄러|| || {{{#white '''출생'''}}} ||||[[1892년]] [[1월 14일]] [[독일]] 립슈타트|| || {{{#white '''사망'''}}} ||||[[1984년]] [[3월 6일]] (92세) [[독일]] [[비스바덴]] || || {{{#white '''국적'''}}}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width=28]]|| || {{{#white '''직업'''}}} ||||목사, 반나치 운동가|| || {{{#white '''종교'''}}} ||||[[기독교]] {{{-2 ([[개신교]], [[루터교회]])}}} || [목차] == 개요 == [[독일]]의 [[루터교회]] [[목사]]로 [[나치 독일]] 시기 독일 내에서의 반 나치 투쟁을 이끈 인물이다. [[나치가 그들을 덮쳤을 때]]라는 시로도 유명하다. == 생애 == === 초기의 삶 === 1892년 [[프로이센]](오늘날의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지역에서 보수적인 루터교회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가 대학교를 마칠 무렵은 [[1차 대전]]이 한창이던 시절이었고 그는 해군으로 입대, [[유보트]] 함장으로 지중해에서 근무한다. 이 시기에 세운 공훈으로 1급 [[철십자 훈장]]을 수여받기도 했다. 종전 후에는 뮌스터로 이주하여 이 곳에서 [[신학]]을 전공하고 본격적으로 목사의 길을 걷기 시작한다. 이 시기에는 친우이자, 후대에 명장으로 이름을 날리게 된 [[발터 모델]]의 결혼식 주례는 물론이고, 그 세 자녀들의 세례도 담당하였다. 두 사람의 교류는 니묄러가 다하우 수용소에 수감되기 직전까지 지속되었다. === 나치 독일 시기 === 이 시기 대다수의 독일 교회인들이 그러했듯이 니묄러 역시 초기에는 [[국민보수주의|민족적 보수주의]]를 정치적 신념으로 삼고 있었고, ~~처음부터 반대했을 거라는 많은 사람들의 예상과는 반대로~~ [[1933년]] [[히틀러]]의 집권을 환영한 많은 독일인 중 하나였다. 하지만 나치의 아리아인 조항[* [[뉘른베르크 법]]의 시초로 각종 기업 및 사회단체에서의 활동을 오로지 아리아인만이 할 수 있는 자격으로 만들어 비(非)아리아인~~이라 쓰고 유대인이라 읽는다~~을 배척한 조항]에 의구심을 품은데 이어 나치당이 독일의 교회들을 나치화하려고 시도하자 이것에 반발하여 본격적으로 반 나치 운동을 이끌기 시작한다. 다만 이 시기에도 그가 단순히 교회의 나치화에 대해서 반발한 것 뿐이지 나치가 본질적으로 지니고 있던 [[인종주의]]나 [[반유대주의]]에 대해서는 동의를 했다라는 주장도 있는데, 그들이 이러한 주장을 하는 근거로 [[1935년]] 니묄러가 자신의 교회에서 행한 다음과 같은 설교가 있다. > 지난 수천년 동안 [[유대인|그들]]을 향해 지속된 박해는 무엇 때문입니까? 바로 그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십자가에 끌고 갔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모호하고 모순적인 행동을 보였던 탓에 그가 정말로 반나치주의자인지 아니면 기회주의자인지를 놓고 역사가들 사이에서는 많은 설왕설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니묄러 본인은 자신의 이 시기 행동에 대해서 어떠한 변명도 하지 않았으며, 전후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유대인이 그의 반유대주의 성향에 대해 묻자 강제수용소에서 억류되었던 시기에 자신의 생각을 바로잡을 수 있었다고 대답하기도 했다. 그러니까 1935년의 니묄러에게 반유대주의 성향이 있는 것은 맞았지만 나치의 유대인 말살에 동조할 정도는 아니었다는 것이다.[* 어떠한 집단을 어떠한 이유로 (그것이 정당한 이유이든 아니든) 싫어하는 것과 그 이유 때문에 그 집단이 말소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 거기에 당시 유럽에서 반유대주의 자체는 나치만의 전유물도 아니었다. 당장 2차 대전 중에 나치 독일하고 목숨걸고 싸웠던 영국이나 프랑스만 해도 반유대주의자들은 상당한 수였고. 당장 위 발언에도 있듯이 유대인들이 유럽 내에서 탄압 받았던 것이 딱히 이 시기만이었던 것도 아니다. 2차 대전하고 홀로코스트로 인한 충격이 아니었다면 현재 반유대주의가 유럽 내에 유행해도 딱히 이상하지 않은 정도라는 거. 저 시기에 단순히 반유대주의 = 나치라고 보는 것은 문제 있는 사고이다.] 어찌됐든 이 시기에 [[나치]]에 반항하면서 공공연히 나치를 비난하는 언행을 일삼는 것은 목숨을 내걸만한 용기가 있는 것이 아니면 불가능한 것이었고, 그는 마침내 1937년 체포되어 재판을 받는다. 첫 재판에서 그는 벌금과 함께 7개월 형을 선고받았고 공판기간이 이미 7개월을 넘겼기 때문에 선고가 내려지자 마자 석방된다. 하지만 그에게 내려진 선고가 너무 가볍다고 여긴 [[루돌프 헤스]]와 [[하인리히 힘러]]는 그를 좀 더 무자비하게 탄압하기로 결심했고, 석방과 동시에 [[게슈타포]]에게 다시 체포된 그는 이후 [[1938년]]부터 [[1945년]]의 세월을 [[다하우]]와 같은 강제 노동 수용소에서 보내게 된다. === 말년과 [[동독]] 옹호 논란 === 1945년 미군에 의하여 석방된 니묄러는 이후 [[라인란트]]와 [[헤센]] 지방에서 기독교 단체의 수장이 되어 철저한 반전주의자 및 평화주의자로 활동을 보여준다. 그러나 동독에 방문중일 때 동독 정권이 민주화 인사들을 체포하고 있는 와중에도 이와 관련해서 아무런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http://equilibrium.tistory.com/39|#]][[http://www.yes24.com/24/goods/436646|#]] 책의 저자(와 번역회사)가 신뢰성이 적다는 것은 감안하기를 바란다. 오컬트 쪽으로 유명한 '''마법사'''를 자처하는 프란츠 바르돈이 저자이다. --도서관에 가면 이 사람의 마법서를 볼 수 있다.-- [[월간조선]]에서 번역되어 나왔다. 말년의 니묄러 목사는 독일평화협회(DFG)의 회장을 맡았고(1954년), [[프라하]]와 [[헬싱키]]에 본부를 둔 세계평화협의회 명예회장직도 맡았다(1967년). 문제는 이 단체 자체가 (범 동구권인 프라하와 소련의 간접적인 눈치를 보던 헬싱키의 위치에서 보듯) [[소련]]의 영향권 아래 있었다는 것. 이 단체는 [[동독]]의 일당독재당인 [[독일 사회주의통일당]](SED)[* 통일 이후 [[좌파당(독일)|좌파당]]으로 이어진다]은 물론 서독의 독일 공산당(DKP)과도 긴밀한 관계에 있었다. 이는 동독 사통당 중앙위원회 문서에도 기록되어 있다. 1974년에 독일 공산당(DKP)과 기타 공산주의 단체들이 공동으로 창설한 '평화 군축 및 상호협력위원회(KFAZ)'와 1980년 니묄러 자신이 위원회 위원이자 지도 간부로 있었던 '크레펠트 평화호소회'에 역시 소련과 동독의 영향력이 미치고 있었다. 독일평화연맹(DFU)을 비롯해서 독일평화협회(DFG), 병역거부자연맹(VK), 평화 군축 및 상호협력위원회(KFAZ), 나치박해자연맹(VVN), 반파쇼동맹(Bda) 등이 그에 속한다[* 나치박해자연맹과 반파쇼동맹의 사무국장인 쿠르트 에얼레바르는 독일 공산당(DKP) 간부회의의 위원이기도 했다. [[슈타지]]와 동독 정부는 이런 서독과 유럽의 평화단체들을 [[간첩]] 침투 양성소로 활용하면서 들통나지 않기 위해 [[사회주의]] 색채적인 단어나 이론 사용도 금지했다고 한다.]. 독일 공산당(DKP) 간부회의 위원이었던 페터 슈트는 1994년에 밝히기를 슈타지는 개인적으로 니묄러의 수발노릇을 할 전문연구원까지 붙여 주었다고 폭로했다. > "가장 나쁜 악은 공산주의가 아닌 돈이다. 왜냐하면 돈은 인간을 완전히 소유하려 하지만 공산주의는 인간에게 그래도 얼마만큼의 자유는 남겨두기 때문."[* 흔히 공산주의 하면 모두 북한 같은 전체주의 사회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동독은 구공산권에서도 제법 자유가 보장된 편이었다.] > "독일인들은 분단된 상태로 살 것이냐, 소련식 독재의 재통일이냐는 대안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라고 하면, 아마도 공산주의의 위험을 감수할 것." 다만 니묄러의 인명은 슈타지 인사기록부에는 등록되어 있지 않다. 혹자는 공산 정권이 무너진 직후에 [[증거인멸|슈타지 중앙본부에서 인사기록 카드를 폐기시키면서 이때 니묄러의 카드도 함께 없어진 것]]이 아닌가 추측하고 있다. 이처럼 공산주의자가 되어 소비에트를 지지하게 된 니묄러 목사가 이런 태도를 보이는 것은 공산주의에도 문제가 있지만 자본주의에 비하면 차악으로 여겼음을 보여준다. [[베르톨트 브레히트]]가 동독에 [[애증]]을 가졌듯 말이다. 다만, 정치범 탄압 방조는 비판받을만 할 것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나치가 그들을 덮쳤을 때, version=46)] [[분류:1892년 출생]][[분류:1984년 사망]][[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독일제국군/군인]][[분류:독일의 목사]][[분류:독일의 역사적 인물]][[분류:홀로코스트 피해자]][[분류:립슈타트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