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AC 밀란/간략)]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ellegrino-Large.webp |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90c0f 15%, #000 15%, #000 29%, #c90c0f 29%, #c90c0f 43%, #000 43%, #000 57%, #c90c0f 57%, #c90c0f 71%, #000 71%, #000 85%, #c90c0f 85%);" '''{{{#fff AC 밀란 No. 31 }}}'''}}} || ||<-2> '''{{{#ffffff {{{+1 마르코 펠레그리노}}}[br]Marco Pellegrino}}}''' || || '''{{{#ffffff 생년월일}}}''' ||[[2002년]] [[7월 18일]] ([age(2002-07-18)]세) || || '''{{{#fff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아르헨티나)] |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 '''{{{#ffffff 출생지}}}''' ||부에노스 아이레스 || || '''{{{#ffffff 신체}}}''' ||[[키(신체)|키]] 185cm / [[체중]] 79kg || || '''{{{#ffffff 주발}}}''' ||왼발 || || '''{{{#ffffff 포지션}}}''' ||[[센터백]] || || '''{{{#ffffff 등번호}}}''' ||[[CA 플라텐세]] - 31번 [br] [[AC 밀란]] - 31번 || || '''{{{#ffffff 유소년 클럽}}}''' ||[[CA 플라텐세]] (2010~2022) || || '''{{{#ffffff 소속 클럽}}}''' ||'''[[CA 플라텐세]] (2022~2023)''' [br] [[AC 밀란]] (2023~ ) || || '''{{{#ffffff 국가대표}}}''' ||없음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르헨티나 국적의 [[AC 밀란]] 소속 축구선수. == 클럽 경력 == === [[CA 플라텐세]] === 펠레그리노는 2010년 8살 때 뛰기 시작한 플라텐세 유소년팀에서 성장했다. 2021년 11월 23일에 2024년 12월 31일까지 첫 번째 프로 계약에 서명했고 1군으로 올라왔다. 2023년 3월 14일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CA 벨레스 사르스필드]]를 상대로 데뷔했다. 7월 30일, [[클루브 데 힘나시아 이 에스그리마 라플라타]]와의 1-1 무승부에서 첫 골을 넣었다. 1군에서 곧바로 좋은 활약을 보여주다가 8월에 갑작스럽게 이탈리아의 빅클럽 [[AC 밀란]] 이적설이 떴다. 플라텐세 회장이 직접 거래에 나서며 이적설은 급물살을 탔고, 8월 20일 세리에 A 리그 개막을 앞두고 로마노의 Here we go! 가 뜨며 이적이 사실상 확정되었다. === [[AC 밀란]] === 8월 22일 AC 밀란 영입 오피셜이 발표되었다. 디마르지오에 의하면 이적료는 고정 이적료 3.5m 유로에 보너스는 2m 유로, 셀온 10%가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 2028년까지 5년 계약. 등번호는 전팀에서 사용하던 31번을 골랐다. AC 밀란에서 찾던 왼발잡이 센터백으로, 유망한 자원을 저렴하게 영입하였다는 평가를 받고있다. 물론 유럽 빅리그에서 적응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으나 좋은 포텐셜을 지닌 자원인데다 최근 희소성으로 인해 천정부지로 가치가 오르고 있는 왼발 센터백인만큼 팀에서 자리잡는다면 엄청난 영입이 될 가능성도 있다. 이탈리아 국적 소지자로 논EU 자원이 아니며, 이탈리아어도 약간은 사용이 가능해 적응이 수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센터백에 토모리, 치아우가 주전으로 확고히 자리를 잡은만큼 천천히 적응햐며 기회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 [[AC 밀란/2023-24 시즌|2023-24 시즌]] ==== 챔피언스리그에는 팀그로운 선수가 부족해 명단에서 빠졌다. 펠레그리노에게는 아쉬운 부분. 리그에서도 우선순위에서 밀릴 것이기 때문에 기회를 얻으려면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피올리가 펠레그리노는 아직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혔고 왼쪽 풀백으로 기용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후 센터백에서 5번째 정도로 밀려나 있는데다 왼쪽 풀백 또한 밀란의 유스인 바르테사기에게 밀려있어 출전을 못하는 중. 특히 센터백으로는 리그에서 가장 뛰어난 파트너십을 발휘 중인 토모리-치아우 라인을 깨는 건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신체능력이 떨어졌지만 여전히 높은 클래스의 베테랑 키예르, 21-22 우승시즌에 토모리와 벽을 형성한 칼룰루 등 밀란의 센터백은 리그에서 탑에 가까운 수준이다. 게다가 아직 리그 적응도 못한 상황이기에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팬들도 플레이를 보지 못했기에 펠레그리노가 적응을 하지 못한 것인지, 혹은 기량이 밀란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인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리그 10R 나폴리전에서 칼룰루의 이른 부상으로 거의 유일한 센터백 자원이었던 펠레그리노가 교체로 출전하였다.[* 키예르는 부상, 치아우는 지난경기 퇴장으로 인한 징계, 바르테사기는 센터백 경험이 적고 주로 풀백으로 출전중이다.] 그러나 갑작스럽게 출전해서 그런지 어이없는 실수를 연발했다. 특히 볼처리 미숙으로 나폴리의 추격골을 허용했다. 심지어 경기막바지에는 부상으로 교체되었다. 갑작스러운 데뷔였다고는 하지만 수비의 안정성이 아예 없었고 심지어 부상으로 장기간 명단에서 빠질것으로 보여 최악의 데뷔전이 되고 말았다. 게다가 기대치에 비해 너무 부족한 경기력에 팬들도 상당히 실망을 했다. 이러한 부족한 경기력과 부상으로 인해 수비수 영입에 대한 루머가 나오고 있다. == 국가대표 경력 == 플라텐세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 주목을 받다가 AC 밀란 이적 직후인 2023년 10월, A대표팀에 콜업되었다. 그만큼 아르헨티나에서 기대하고 있는 자원이다. 이탈리아 국적이 있는 만큼 밀란에서 좋은 모습을 보인다면 이탈리아 국가대표팀도 가능성이 있었다. 그러나 AC 밀란에서 경기를 뛰지도 않은 시점에서 아르헨티나 국가대표팀의 빠른 선점으로 아르헨티나 국가대표로 선발되었다. 그러나 경기에서 뛰지는 못했다. == 플레이 스타일 == 민첩한 신체능력과 좋은 발기술을 가진 왼발잡이 센터백이다. 센터백치고 키가 크지는 않으나 그럼에도 위치선정과 신체능력이 좋은 편이라 커버가 가능하다. 빠른 스피드와 민첩한 신체능력을 이용해 볼을 빼내고 태클 능력도 좋은 편이다. 단단한 피지컬을 가지고 있어 파워에서도 그다지 밀리지 않는다. 또한 왼쪽 풀백도 소화할 수 있다. 큰 장점은 바로 장거리 패스 능력. 시야가 좋고 킥이 정확해 한번에 정확한 롱패스를 꽂아주는 선수이다. 수비스타일은 과감한 스타일이며 발밑이 좋기에 선수를 한두명 제치고 패스를 연결하기도 한다. 특히 왼발잡이 센터백으로 좋은 전진패스 능력을 가져 빌드업에 이점을 가지고 있다는 점은 최근 축구의 흐름에서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아직 수비 경험이 부족한 유망주라는 점과 센터백으로는 다소 아쉬운 신장 등이 단점이라고 할 수 있다. == 여담 == * 이탈리아계 아르헨티나 선수로 아르헨티나와 이탈리아 이중국적이다. 할아버지는 이탈리아인이며 외할아버지는 이탈리아 태생이다. 그래서인지 밀란에 도착하기 전에도 이탈리아어를 약간 할 줄 안다고 밝혔다. * 어릴때 테니스와 축구를 했으며 이후 축구를 선택했다. * 펠레그리노를 감독했던 플라텐세의 감독은 펠레그리노가 어린 [[왈테르 사무엘]] 같다고 평했다. 참고로 왈테르 사무엘은 피올리 감독의 인테르 감독 시절 코치로 지도자 경력을 쌓았던 인연이 있다. * [[세르히오 라모스]]가 우상이라고 한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AC 밀란)] [[분류:아르헨티나의 축구선수]][[분류:이탈리아계 아르헨티나인]][[분류:2002년 출생]][[분류:2023년 데뷔]][[분류:부에노스아이레스 출신 인물]][[분류:복수국적자]][[분류:CA 플라텐세/은퇴, 이적]][[분류:AC 밀란/현역]][[분류:수비수]][[분류:센터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