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48B><:> '''{{{#white Маруся Marussia}}}''' || ||<-2> [[파일:Marussia_Motors_logo.png|width=150]] || ||<:> '''업종''' ||<:> [[자동차]] 제조업 || ||<:> '''창립 연도''' ||<:> [[2007년]] || ||<:> '''폐업 연도''' ||<:> [[2014년]] || ||<:> '''설립자''' ||<:> 니콜라이 포멘코(Nikolai Fomenko) || ||<:> '''소재지''' ||<:> [[러시아]] [[모스크바]]|| ||<:> '''직원 수''' ||<:> 300명 이하 || ||<:> '''자회사''' ||<:> [[마러시아 F1 팀]] || ||<:> '''관련 링크''' ||<:> ~~[[https://web.archive.org/web/20100811040031/http://www.marussiamotors.ru/en/|공식 홈페이지]]~~[* 폐업한 이후 공식 홈페이지 접속이 되지를 않아 아카이브로 대체한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의 전 [[레이싱 드라이버]]였던 니콜라이 포멘코(Николай Фоменко)가 [[2007년]] [[모스크바]]에서 설립한 [[스포츠카]] 제조회사이다. [[유럽]]과 [[아시아]], [[호주]], [[미국]] 시장에도 진출하려 했지만, 경영난으로 인해 [[2014년]]에 파산했다. 엠블럼의 색상은 [[러시아#s-2.1|러시아의 국기]]에서 따왔다. == 생산 차종 == [include(틀:마러시아의 차량)] === B1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russia_B1_photo01.jpg|width=500]] [[2009년]]에 처음 출시되어 2014년까지 생산된 모델. 차체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세미 모노코크이며 [[영국]]의 엔진 제조 회사 [[코스워스]] 사의 엔진을 이용했다. 엔진 출력은 2.8L 터보차저에 360마력, 3.5L 터보차저 420마력 버전이 있었고, 최고 속도는 305km/h(190mph), 제로백은 3.2초를 기록하였다. 6단 수동, 자동 변속기로 장착되었으며 마러시아에 따르면 2999대만 생산할 계획이었다고 한다. === [[마러시아 B2|B2]] === [[파일:external/s3images.coroflot.com/original_279014_bx0pz2w27zl9exqvoxmtn4acl.jpg|width=500]] B1과 함께 [[2009년]]에 출시되어 2014년까지 같은기간 동안 생산되었다. 멋들어진 외관을 제외하면 B1과 차이점은 크게 없어 그냥 이름만 다르다는 게 비판을 받는 원인이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 B3 === === F1 === || [[파일:798E7C8F-F86A-4BB7-83FA-F7CE8C2CB1BE.jpg|width=100%]] || [[파일:BAF8431A-7618-4816-AD30-C73AA99FC760.jpg|width=100%]] || 마러시아의 SUV 컨셉트 카. 이름을 왜 F1으로 지었는지는 의문이다.~~차라리 B1을 F1이라 지었다면 더 나았을 듯 하다.~~ 2010년 초, 마러시아의 디자이너였던 이반 보리소프(Ivan Borisov)의 작품이었으며 본격적인 모델 설계가 이뤄졌다. 폴리우레탄 블록으로 만들어진 이 모델은 구동장치와 인테리어가 부족했지만 섀시에 장착되었다. 이후 완성된 F1은 어떤 이유에서인지 그 많은 국제 모터쇼에 전시되지 않았고 언론에도 공개되지 않았다.[* 일설에 따르면 소유주인 니콜라이 포멘코가 이 차를 좋아하지 않았고 마러시아 본사가 있던 스네진카(Snezhinka) 공장에서도 방문객들이 차를 관람하게끔 전시하지 않았다고 한다.] 2013년에 마러시아는 파산 직전에 처하게 되었고 포멘코의 지시로 결국 프로토타입은 스크랩 되었다. === F2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russia-F2-SUV-01.jpg|width=100%]]||[[파일:DC246BCE-9E2D-4748-9980-CA93D14736F2.webp|width=100%]]|| [[모터쇼#s-2.9|2010 제네바 모터쇼]]에서 공개된 [[SUV]] [[콘셉트 카]]. [[쌍용 로디우스]] 섀시를 바탕으로 제작되었고 추후 [[쌍용 렉스턴/1세대|쌍용 렉스턴]] 섀시에 연결하기 위해 재설계 되었다[[http://rusautomobile.ru/2015/05/neizvestnaya-marusya/|#]]. 2011년 시장에 출시될 예정이었으나 무산되었다[[https://www.autodato.com/asi-era-el-suv-marussia-f1-que-nunca-nacio|#]]. 이후 [[2012년]]에는 [[핀란드]]의 자동차 생산 회사인 [[발멧]] 오토모티브(Valmet Automotive)[* [[메르세데스-벤츠]], [[포르쉐]], [[오펠]] 등의 차량들을 위탁 받아서 생산해주는 공장이다.]와 함께 300대 양산을 계획했었지만 이후 회사가 사라지며 아예 없던 일이 되고 말았다. 이 차량의 디테일링 영상도 있다. 내외부를 자세히 볼 수 있다.[[https://youtu.be/EX8SUOnWXtg|#]] == 대중매체 등장 == 한낱 [[라다]] 따위나 생산하던 [[러시아]]에서 이러한 자동차들을 만들었다는 게 [[서유럽]]이나 [[미국]] 등지에서도 신선한 충격이었던지, 유명한 [[레이싱 게임]]에 적지 않게 나온다. * [[니드 포 스피드 시리즈#s-2.3.2|니드 포 스피드: 월드]] * [[니드 포 스피드: 모스트 원티드(2012)]] * [[니드 포 스피드: 라이벌]] * [[드라이브클럽]] * [[아스팔트 7: 히트]] * [[아스팔트 8: 에어본]] * [[포뮬러 1#s-12|F1 2012, 2013, 2014, 2015, 온라인]] == F1 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러시아 F1 팀)] [[파일:Marussia_F1.png|width=400]] 2010 시즌에 [[버진 그룹|버진 레이싱]](Virgin Racing)이 마러시아의 타이틀 스폰서로 지원하면서 초기에는 버진 레이싱 팀으로 활동했으나 [[2011년]]부터는 스폰 규모가 줄어들어 마러시아 버진 레이싱(Marussia Virgin Racing)으로 이름을 바꿨다가 다음해부터 스폰서 지원이 종료된다. 이후, [[2012년]]에는 다시 마러시아 F1(Marussia F1)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나 2014년에 마러시아사가 파산하게 되고 [[2015년]]부터는 매노어-마러시아로 변경, 다음해 16시즌부터는 매노어 레이싱(Manor Racing)으로 완전히 바꾸었다. 하지만 2017년부터는 팀이 해체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대표적으로 '''[[티모 글록]], [[쥘 비앙키]]'''와 [[알렉산더 로시]], [[에스테반 오콘]], [[파스칼 베를라인]]이 이 팀 소속이었다. [[분류:러시아의 없어진 자동차 제조사]][[분류:모터스포츠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