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3 Marin Mersenne, 1588~1648}}} == 개요 == [[프랑스]]의 [[수도자]]이자 [[수학자]]. [[수학]]뿐만 아니라 [[철학]]이나 [[과학]] 방면에도 박학다식했으며 [[르네 데카르트]], [[갈릴레오 갈릴레이]], [[피에르 드 페르마]], [[블레즈 파스칼]] 등 당대의 학자들과도 활발히 교류했다. [[예수회]] 계열 학교인 라플레슈(La Flèche)에 입학해 공부할 때 [[르네 데카르트]]와 교류했다. == 연구 및 업적 == === [[메르센 소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메르센 소수)] 메르센은 1644년에 자신의 저서에 다음과 같은 가설을 남겼다. >[math(n)]이 257 이하일 때, [math(2^n-1)]의 꼴인 수가 [[소수(수론)|소수]]가 되는 경우는 [math(n)]이 2, 3, 5, 7, 13, 17, 19, 31, 67, 127, 257의 경우뿐이다. 당시에도 [math(n)]이 2, 3, 5, 7, 13, 17, 19인 경우에는 이 가설이 옳음이 알려져 있었으나 나머지는 불명이었으며, 당시 알려져 있던 최대의 소수는 524287(=2^^19^^-1)이었다. 나중에 [[스위스]]의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1772년에 [math(n=31)]인 경우 소수임을 밝혀냈고, 1876년에는 에두아르 뤼카(Edouard Lucas, 1842~1891)가 [math(n=127)]인 경우도 소수임을 밝혀냈다. 그 후 [math(n=67)]인 경우와 [math(n=257)]인 경우는 소수가 아니라는 사실, 그리고 메르센이 예상하지 못한 [math(n=61)], [math(n=89)], [math(n=107)]의 경우가 소수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와 같이 [math(2^n-1)]([math(n)]은 자연수)의 꼴인 소수를 '''[[메르센 소수]]'''라고 한다. 자세한 건 [[메르센 소수|메르센 소수 문서]] 참고. == 기타 == 1638년 8월 23일에 [[르네 데카르트]]가 메르센에게 보낸 [[http://books.google.co.kr/books?id=IRvIQkLFD60C&pg=PA189&lpg=PA189&dq=francine+Descartes+knee+bird&source=bl&ots=seEsQMq6Ok&sig=Hwfh-vpzquPhEHNWOirFwxChluk&hl=ko&sa=X&ei=OoJsVKreFePEmwXUgYLwBg&ved=0CBwQ6AEwAA#v=onepage&q=francine%20Descartes%20knee%20bird&f=false|편지]]에 따르면, 한 남자가 세 살 난 소녀를 무릎에 앉혀놓고 박수를 치면, 소녀가 박수 소리를 듣고 정원을 달리는 것에 대한 동화가 써져있는데, 정황상 [[르네 데카르트|데카르트]]가 자신의 딸 프랑신과 놀아준 것을 묘사한 걸로 추정된다. [[http://www.ddanzi.com/ddanziNews/501298646|출처]]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르네 데카르트,version=275)] [[분류:프랑스의 수학자]][[분류:1588년 출생]][[분류:1648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