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인도의 언어)] >'''.वृक्ष विकी, ज्ञान एक वृक्ष जो आपण वाढवू शकता.'''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 번역이 잘못되었거나 더 나은 번역이 있다면, 수정하시기 전에 [[나무위키 언어학 프로젝트#s-3.1|이곳]]에서 자유롭게 의견을 나눠 주시기 바랍니다.] ||<-2> {{{+4 '''मराठी'''}}} || ||<-2> {{{+1 '''마라티어'''}}} || ||<-2> '''언어 기본 정보''' || || 주요사용국 ||'''[[인도]] [[마하라슈트라]] 주''' || || 원어민 ||'''약 8,300만 명''' || || 어족 ||'''[[인도유럽어족]][br][[인도이란어파]][br][[인도아리아어군]][br]남부 인도아리아어군[br]마라티어''' || ||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 || ||<-2> '''언어 코드''' || || [[국제표준화기구|ISO]]-639-1 ||'''mr''' || || [[국제표준화기구|ISO]]-639-2 ||'''mar''' || || [[국제표준화기구|ISO]]-639-3 ||'''mar''' || ||<-2> '''주요 사용 지역''' || ||<-2> || [목차] [clearfix] == 개요 == 마라티어는 [[인도]]의 [[마하라슈트라]] 주의 공용어로 [[마라티인]]들의 모어이기도 하다.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며 [[데바나가리 문자]]를 사용한다. == 역사 == 직접적인 조상 언어는 중세 [[프라크리트어]]의 세 가지 주요 갈래 가운데 하나인 [[마하라슈트리 프라크리트]]로, 인도 서남부 특히 [[마하라슈트라]] 지방에서 쓰였으며 같은 마하라슈트리 프라크리트에서 갈라져나온 언어로 [[콘칸어]]가 있다.[* 다른 두 갈래는 [[샤우라세니 프라크리트]]([[힌디어]]와 [[구자라트어]]의 조상), [[마가디 프라크리트]]([[벵골어]]와 [[아삼어]]의 조상)이다.] 마하라슈트리 프라크리트는 [[사타바하나 왕조]] 시절부터 문헌 기록이 남아 있으며, [[칼리다사]]의 작품 중에도 마하라슈트리 프라크리트를 사용한 것이 있었다. 마하라슈트리 프라크리트는 중세를 거치며 독립적인 마라티어로 진화하였다. 주로 8세기 [[사타라 비문]]을 마라티어의 최초 문헌 기록으로 취급한다. 그러나 초기 기록에는 [[산스크리트어]] 또는 [[칸나다어]]와 섞여 있으며, 마라티어만으로 쓰인 기록은 [[실라하라 왕조]] 시대 1012년 경의 악시 탈루카 석문이 최초이다. 1118년 [[호이살라 왕조]] 시대의 [[슈라와나벨라골라 비문]] 등 12세기의 기록을 보면 당시 마라티어가 '''독립적인 문어'''로서 기능하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12세기 후기까지 마라티어로 쓰인 본격적인 문학 작품은 나오지 않았다. 13세기의 [[야다바 왕조]] 시대에 이르자 마라티어의 사용은 본격적으로 장려되었으며, 이때부터 마라티어로 쓰인 운문과 산문이 다수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아마도 이는 칸나다어를 주 언어로 사용한 이전의 호이살라 왕조와 단절하여, 마라티어를 사용하는 신민들과 왕조의 일체성을 드러내기 위함이었을 수 있다. 최초의 마라티어 산문 서적은 야다바 시대 [[요가]] 수행자 무쿤드라자의 《위웨카신두(विवेकसिंधु)》였으며, 당대의 초기 마라티어 문학 중 유명한 것으로 마임바트가 쓴 [[차크라다르 스와미]]의 성인전 《릴라차리트라(लीळाचरीत्र, 1238)》가 있다.[* Christian Lee Novetzke (2016). [[https://books.google.co.kr/books?id=z9kbDQAAQBAJ&pg=PA53&redir_esc=y#v=onepage&q&f=false|The Quotidian Revolution: Vernacularization, Religion, and the Premodern Public Sphere in India]].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54241-8.] 이후 마라티어 사용자들은 [[데칸 술탄국]]에 의한 정치적 지배를 겪는데, 마라티어의 공적, 사적 사용이 중단되지는 않았으나 이때 무슬림 왕조의 공문서에서 사용된 공문서의 마라티어에는 [[페르시아어]] 어휘가 다수 쓰인 것을 볼 수 있다. 이후 많은 페르시아어 어휘가 마라티어로 유입되어 지금까지도 널리 쓰이고 있다. 17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에 이르는 [[마라타 연합]]의 시대에 마라티어는 지배층 [[힌두교]]도의 언어로서 심대한 정치적 영향력을 획득하게 된다. [[차트라파티 시바지]]의 시대부터 공문서에 사용되는 마라티어는 페르시아어 어휘를 의식적으로 덜 사용하는 등 마라티어는 탈페르시아화, 재산스크리트화 과정에 들어갔으며, 마라타 시대에 마라티 시문학, 극문학, 산문, [[철학]] 등 모든 마라티어 문학 영역은 괄목할 만한 진보를 겪게 된다. 19세기에는 마라티어가 인도의 주요 문학어 중 하나로 완전히 자리매김한 상태였다. 이후 많은 마하라슈트라 지식인들은 문학뿐 아니라 많은 정치 논설과 철학서, 문법서를 마라티어로 저술하였다. [[영국 동인도 회사]]에서도 이와 같은 마라티어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19세기 초 [[침례회]] 선교사 [[윌리엄 캐리]](William Carey)의 노력으로 마라티어-영어 사전이 편찬되었고, 1811년에는 윌리엄 캐리에 의해 [[신약성서]]가 마라티어로 번역되었다.[* Smith, George (2016). [[https://books.google.co.kr/books?hl=en&lr=&id=ZLa787pY5gMC&oi=fnd&pg=PR1&dq=&redir_esc=y#v=onepage&q&f=false|Life of William Carey: Shoemaker and Missionary]].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p. 258. ISBN 1536976121.] 1832년에는 [[발샤스트리 잠베카르]](बाळशास्त्री जांभेकर)에 의해 최초의 마라티어 [[신문]]이 발간되었다.[* Tucker, R., 1976. Hindu Traditionalism and Nationalist Ideologies in Nineteenth-Century Maharashtra. ''Modern Asian Studies'', 10(3), pp.321-348.] 마라티 현대시의 아버지로 추앙받는 [[케샤와수트]](केशवसुत)가 최초로 마라티어 시를 쓴 것은 1885년으로 기록된다. == 특징 == [[음운론]]적 특징으로는 우선 [[산스크리트]]와 비교할 때 /a/의 장단 구별이 사라지고 단모음 /a/는 /ə/로, 장모음 /a:/는 /a/로 전성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자음]] 문자가 불규칙적으로 여러 음을 내는 경우가 있다. 가령 자음 "ज"는 "जग jag"에서는 /dʑ/로 발음되나, "जागा zāgā"에서는 /dz/로 발음된다. 이런 차이는 오직 단어의 사용 맥락에 의해서만 구별할 수 있어 학습자들을 골치 아프게 한다. 문법적으로는 남성, 여성, 중성의 세 가지 문법적 성이 골고루 남아 있다. 다른 인도아리아어들과 유사하게 기본 어순은 SOV이며 일부 표현에서 [[분열 능격]] 체계에 따른 동사 일치 및 격 부여를 보인다. 격은 고전 문법에서는 산스크리트와 마찬가지로 8개를 구별하나 사실상 힌디어처럼 [[후치사]]에 의한 교착적 표지 체계를 갖추었으며, 굴절로 표지되는 격은 엄격히 말해 직격과 사격의 2개이다. 인도아리아계 대언어로서는 상대적으로 남쪽에 사용자들이 위치하여 드라비다계 지배층의 지배도 받다 보니 [[칸나다어]] 등 드라비다어의 영향도 받았는데 대표적으로 청자를 포함하는 1인칭 복수(우리)와 청자를 배제하는 1인칭 복수(저희)를 구별하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렇게 청자 배제-청자 포함을 1인칭 복수에서 구별하는 인도아리아어로는 마라티어를 비롯하여 [[구자라트어]], [[라자스탄어]], [[펀자브어]], [[신드어]] 등이 있는데, 모두 드라비다어에서 차용하여 이러한 체계를 갖추었다.] == 문자 == 기본적으로 [[데바나가리]]를 사용한다. 마라티어 표기를 위한 데바나가리의 변종 [[모디 문자]]가 17세기에 만들어져 데바나가리와 경쟁하며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데바나가리로 수렴되어 잘 쓰이지 않는다. 모디 문자는 표준 데바나가리와 비교하면 보다 곡선적이고 필기, [[속기]]에 적합한 자형을 갖추어 속기용으로 쓰이거나, 멋스러움을 부각시키는 광고용으로 간혹 쓰인다. == 예문 == [[세계 인권 선언]] 제1조를 마라티어로 쓰면 다음과 같다. >सर्व मानवी व्यक्ती जन्मतः स्वतंत्र आहेत व त्यांना समान प्रतिष्ठा व समान आधिकार आहेत. त्यांना विचारशक्ती व सदसद्विवेकबुद्धी लाभलेली आहे व त्यांनी एकमेकांशी बंधुत्वाच्या भावनेने आचरण करावे. == [[한국어의 외래어/기타#s-2.8|외래어가 된 마라티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어의 외래어/기타, 문단=2.8)] == 들어보기 == [youtube(l_MyUGq7pgs)] [youtube(cuKEzM1iCYk)] [각주] [[분류:개별 언어]][[분류:인도아리아어군]][[분류:인도의 언어]][[분류:마하라슈트라 주]][[분류:굴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