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8000미터 14좌)] ||<-3> {{{#fff,#ddd '''{{{+1 마나슬루}}}[br] {{{-1 Mount Manaslu}}}'''}}}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마나슬루.jpg|width=100%]]}}} || ||<-3> '''마나슬루봉''' || || {{{#ddd '''높이'''}}} ||<-2> '''8,163m''' / '''세계 8위봉''' || ||<|2> {{{#ddd '''언어별[br]명칭'''}}} || [[영어]] || Manaslu {{{-2 (마나슬루)}}}[br]Kutang {{{-2 (쿠탕)}}} || || [[네팔어]] || मनास्लु {{{-2 (Manaslu)}}} || || {{{#ddd '''지형학적[br]상대높이'''}}} ||<-2> '''3,092m''' / 세계 80위 || || {{{#ddd '''모체[br]봉우리'''}}} ||<-2> '''[[초오유]]''' || || {{{#ddd '''위치한[br]국가'''}}} ||<-2> [[파일:네팔 국기.svg|width=20]] [[네팔]] || || {{{#ddd '''산맥'''}}} ||<-2> [[히말라야 산맥]] || || {{{#ddd '''최초[br]등정'''}}} ||<-2> '''1956년'''[br]이마니시 토시오 {{{-2 (今西壽雄, [[일본]])}}}[br]걀젠 노르부 {{{-2 (Gyalzen Norbu, [[네팔]])}}} || || {{{#ddd '''역대[br]등정 횟수'''}}} ||<-2> 297회 {{{-2 (8,000m급 14좌 중 '''6위''')}}} || ||<|2> {{{#ddd '''등반 중[br]사망률'''}}} || 종합 || 17.86% {{{-2 (8,000m급 14좌 중 5위)}}} || || 1990년대 이전 || 35.16% {{{-2 (8,000m급 14좌 중 5위)}}}[* [[안나푸르나]], [[K2(산)|K2]], [[낭가파르바트]], [[칸첸중가]] 다음이다. 바람이 직빵으로 몰아치고 정상 근처에 직벽이 있어 등반이 어려운 [[마칼루]]보다도 사망률이 높다는 점에서 6위인 [[다울라기리]]와 같이 14좌 중 중상급에 속하는 산이라고 볼 수 있다.]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마나슬루 1봉, 높이=224px, 너비=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Manaslu_Himal_air_view.jpg|width=100%]]}}} || || {{{#white '''구르카 산괴(Gurkha Massif)의 주요 봉우리.'''}}}[*왼쪽부터 '''마나슬루(Manaslu, 8,163m)''', 은가디출리(Ngadi Chuli, 7,871m), 히말출리(Himal Chuli, 7,893m)]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8/81/Sunrise%2C_Manaslu_%282%29.jpg/800px-Sunrise%2C_Manaslu_%282%29.jpg|#]] || [[네팔]] 중서부 [[히말라야 산맥]]의 만시리 히말, 구르카 산괴에 위치한 세계에서 여덟 번째로 높은 봉우리이다. 네팔 중서부 거점도시 [[포카라]]의 북동쪽으로 약 50km지점, 마나슬루 자연보호구역 내에 위치해 있다. 이름은 [[산스크리트어]]로 '영혼의 땅', '정령의 산'이라는 의미. 마나슬루를 비롯한 만시리 히말의 주요 봉우리는 다음과 같다.[* 히말출리와 은가디출리도 모두 해발고도로는 세계 20위 안에 드는 고봉들이며 7,000m 후반대이니 사실상 8,000m급으로 봐도 무방한 높이다.] * 마나슬루 '''(8,163m)''' * 히말출리 (7,893m)[* 세계 18위봉] * 은가디출리 (7,871m)[* 세계 20위봉 (과거 '피크29'라고 봉우리라는 뜻의 피크와 관리번호만 붙여서 불렀으나,은가디 출리로 이름이 바뀌었다.)] 세계 10위봉인 [[안나푸르나]]. 그외에 [[가네시 히말]]과 인접해 있다. [[네팔]]이 8,000m대 고산이 많은 것으로 이름이 높지만 [[중국]]이나 [[인도]]와의 국경에 걸치지 않고 온전하게 네팔 국토 안에 위치한 8,000m급 3개 중 하나며 나머지 2개는 [[다울라기리]]와 [[안나푸르나]]다. '''쿠탕(Kutang)'''이라는 이명을 가지고 있다. == 등정 역사 == [[일본]] 등산가 이마니시 토시오와 [[네팔]]인 걀젠 노르부가 최초로 1956년 정상등정에 성공하였다. 8,000m급 14좌 중 [[일본]] 국적의 원정대가 세계 초등을 이룩한 유일한 산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onquest_of_Manaslu.jpg|width=300]] 당시 [[일본]]은 축제 분위기가 되어 위와 같은 기념우표도 발행하기도 했다. "영국인이 에베레스트가 영국의 산이라고 생각하듯이 [[일본인]]은 마나슬루를 일본의 산으로 생각한다."라는 말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한국과는 악연이 있는 산이다. 한국은 1970년대 이전 여러 차례 등정에 시도하였으나[* 10명이 사망한 설악산 죽음의 계곡 눈사태 사고가 히말라야 원정을 위한 훈련 중 사고다. 마지막 목표는 당연히 에베레스트였지만, 1차 목표가 입산 허가가 쉬운 마나슬루였다.] 1971년 마나슬루 원정대의 김기섭 대원이 추락사하면서 최초의 원정대 사고로 기록되었다. 이듬해 1972년에 등반대원 5명과 현지 셰르파 10명이 눈사태에 의해 약 해발 7천미터 지점에서 전원 사망하는 참사를 겪는 등 여러 차례 비극을 겪었다. 72년 1차 원정대 김기섭 시신 수습을 겸한[* 시신은 눈과 얼음에 덮히고 장비와 함께 얼어 붙어 100kg을 넘어가며, 자기 몸 하나도 가누기 힘든 가파르고 추운 고산에서 접근하거나 파내는 것조차 어려운 조난자 시신을 수습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등반 장비와 기술이 발전한 2000년대에도 많은 원정대가 조난 시신을 버려두고 온다. 당시에는 그런 사실을 잘 몰랐다.] 2차 원정대에는 김기섭 대원의 형인 김정섭(1차 원정대 등반대장, 2차 원정대 총 대장), 김호섭(2차 원정대 등반대장)이 포함되어 있었고, 이 사고로 김호섭이 사망했다. [* 막내 김예섭도 대원이었으나, 눈사태에서 기적적으로 살아남았다.] 1980년에 동국대학교 산악부가 한국 내 초등에 성공했다. [youtube(raFP8igXin0)] [youtube(z7rwgVCsHBQ)] == 트레킹 == 마나슬루를 포함한 구르카 산괴 주변부 모두 트레킹 코스가 매우 잘 발달되어 있다. 주변 트레킹 루트가 총연장 170km가 넘는 정도며 또한 이중 많은 수가 [[안나푸르나]] 쪽 트레킹 루트와 연결되어 있다. [[안나푸르나]]와 마찬가지로 이쪽도 '''마나슬루 써킷'''이라는 산 전체를 한 바퀴 도는 트레킹 루트가 있으며 산행을 하면서 6,000m가 넘는 고봉들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youtube(dDSNTLmS0fQ)] [각주] [[분류:8,000미터 14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