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M1895 Lee Navy}}}'''[br]''Lee Rifle, Model of 1895, Caliber 6mm''[br]''M1895 리-네이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e-6-Large.jpg|width=100%]]}}}|| || '''종류''' ||[[볼트액션]] [[소총]]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895년]]~[[1907년]] || || '''개발''' ||제임스 패리스 리[* [[리-메트포드]]와 [[리-엔필드]]의 개발자] || || '''개발년도''' ||[[1895년]] || || '''생산''' ||[[윈체스터(총기회사)|윈체스터]] || || '''생산년도''' ||[[1896년]]~[[1898년]] || || '''생산수''' ||15,000정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사용된 전쟁''' ||[[미국-스페인 전쟁]][br][[미국-필리핀 전쟁]][br][[의화단 운동]] || ||<-2> {{{#White '''세부사항'''}}} || || '''탄약''' ||6×60mmSR || || '''급탄''' ||5발짜리 [[탄 클립]] || || '''작동방식''' ||스트레이트-풀 [[볼트액션]] || || '''총열길이''' ||711mm || || '''전장''' ||1,213mm || || '''중량''' ||3.77kg || || '''탄속''' ||779m/s || || '''유효사거리''' ||549m || || '''최대사거리''' ||1,829m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ifle_Lee_Navy_95.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BtY5N41q_E)]}}} || || [[Forgotten Weapons]]의 리뷰 영상 || 리-네이비 M1895는 [[미합중국 해군|미 해군]]이 사용한 [[볼트액션]] [[소총]]이다. == 상세 == 1894년, 미 해군은 [[스프링필드 M1873|기존에 사용되던]] [[크라그-에르겐센|대구경 소총]]과는 다른 현대적인 무연화약을 사용하는 소구경 소총을 사용하기를 원했다. 그러나 탄약의 공급 과 관련하여 문제가 생기자 해군 당국은 더 작은 구경의 탄을 채택하기 시작함에 따라 새로운 탄약은 소총과 [[M1895 콜트-브라우닝|기관총]] 모두에서 최적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세미림드탄이 없거나 림드탄이 아니어야 한다고 결정했다. 해군 소화기 위원회는 신형화기 채택 공고를 한 이후부터 총 세 번의 소총을 테스트했고 첫 번째 시험에서는 5개의 소총 중 제임스 패리스 리의 소총이 제일 성능이 뛰어났다. 그러나 두 번째 시험에서는 시험에 새로 참가한 [[루거 P08|게오르크 루거]]의 소총이 훨씬 성능이 좋았으나 위원회가 새로 채택한 6mm 탄약과 호환이 제대로 되지 않아 세 번째 시험에서 루거 스스로 포기하고 만다. 결국 최종적으로 가장 점수가 높았던 소총은 리의 소총이었고[* 특히 위원회는 리 소총 특유의 클립식 장전에 후한 점수를 줬다고 한다.] 1895년 해군의 제식 소총으로 채용된다. M1895의 첫 번째 계약은 1896년 1월 윈체스터 사에서 10,000정을 조달하는 것으로 결정됐지만, 제조상의 문제로 인한 지연과 해군의 계약 변경으로 인해 1897년까지 10,000정이 전부 조달되지 않았다. 어쨌든 부랴부랴 생산된 10,000정의 소총 중에서 1,800개는 [[미합중국 해병대|해병대]]에 지급되었다. 다만 이 과정에서 사소한 찐빠가 있기도 했는데, 당시 해병대 사령관이었던 [[https://en.wikipedia.org/wiki/Charles_Heywood|찰스 헤이우드]] [[소장(계급)|소장]]은 초반에 리 소총이 제대로 보급이 되지않자 최소한 3,000개의 리 소총을 즉시 발급받을 것이라는 보장과 목표 사정거리 개선, 그리고 해병대 부대가 기존의 사격 훈련을 계속할 수 있는 충분한 탄약을 확보할 수 있다는 보장이 주어질 때까지 리 소총을 사용하는 것을 거부했다고 한다. 이러한 강경대응을 잠재우기 위해, 1897년 9월에 해군 장관에게 제출된 해병대 준장 보고서는 해병대가 리 소총으로 사격 연습을 할 수 있는 충분한 6mm 탄약을 구입하기 위해 최소한 10,000달러의 추가 자금을 긴급히 요청했다. 보고서에서는 아직 사격 연습에서는 여전히 [[스프링필드 M1873|스프링필드]]와 [[.45-70 Government|.45-70 흑색 화약 탄약]]을 사용해야 했기 때문에 훈련 연습을 제외하고는 입대한 해병이 [[기열|'''이 무기의 사용에 완전히 익숙하지 않다''']]고 경고했다. 결국 이렇게 다사다난한 과거를 지녔던 리 소총은 해군과 해병대의 주력 소총이었으며[* 이름의 네이비도 해군 전용으로 사용해서 붙은 이름이다.] 미 해군이 치렀던 굵직한 전쟁에서 수많은 기록을 남겼다. 대표적인 예로 [[미국-스페인 전쟁]]에서는 [[마우저 소총#M1893 (스패니쉬 마우저)|마우저 소총]]을 사용하던 스페인군을 상대로 [[스프링필드 M1873|단발소총]]을 사용해 고전을 면치 못했던 육군과는 달리 리-네이비를 사용한 해병들은 반대로 화력에서 우세를 보였다. 그러나 [[미국-필리핀 전쟁]]에서는 소구경 소총이라는 점 때문에 마약을 하고 달려드는 모로족 전사들을 제대로 제압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기존에 사용하던 [[스프링필드 M1873]]과 [[크라그-에르겐센|M1892]]를, 더 나아가 동년에 같이 채택된 [[윈체스터 M1895]]를 다시 꺼내서 사용할 정도였다. 결국 리-네이비 소총은 [[의화단 운동]]을 마지막으로[* 다만 의화단 진압 당시에는 꽤 좋은 효과를 보였다고 한다.] 미군에서 반려당하고 1907년 공식적으로 미군에서 퇴역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미서전쟁/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1차 세계대전/연합군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볼트 액션 소총]][[분류:보병 무기/근대]][[분류:보병 무기/세계 대전]][[분류:윈체스터(총기회사)]][[분류:1895년 출시]][[분류:1907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