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허베이성의 행정구역)] [목차] == 개요 == {{{+1 蠡县 }}} [[영어]] Li County [[허베이성]] [[바오딩시]]의 현. 바오딩에서 남쪽으로 40km 떨어진 평원에 위치하고, 인구는 약 50만명이다. 서쪽의 보예현과 천년 이상 서로 지명을 바꿔 쓰다가 [[명나라]] 대에 교환되어 현재에 이른다. 옛 지명으로는 박릉 (博陵), 박륙 (博陸), 박야 (博野), 여주 (蠡州) 등이 있다. 오랜 역사에도 여러 전란과 개발로 남아있는 유적은 거의 없는 한적한 농촌 도시로 남아있다. == 역사 == [[전한]] 시기 현 시가지 동북쪽에 중산국 (中山国) 산하 육성현 (陸成縣)이 설치되었고, 후한 초엽 폐지되어 서쪽의 현 보예현에 해당하는 여오현 (蠡吾縣)에 속했다. 그러던 158년, [[한환제]]가 자신의 부친 [[유익]]과 조부 하간왕 [[유개]]의 능묘 관리를 위해 중산국의 일부를 분리시켜 박릉군 (博陵郡)을 신설했다. 이때 옛 육성현 자리에 박릉현 (博陵縣)이 설치되었고, 박릉군의 치소가 되었다. 213년, 조국 (趙國)이 [[조조]]의 식읍이 되자 원래의 조왕 [[유규]] (劉珪)를 박릉왕으로 봉해져 박릉국 (博陵國)이 설치되었으나 220년 [[조위]] 건국과 함께 폐지되고 박릉군으로 환원되었다. 이때 박륙현이 박륙현 (博陸縣)으로 개칭되었다. === 중세 === 265년 [[서진]] 건국 직후 [[사마의]]의 동생 [[사마규]]가 고양왕에 봉해지며 신설된 고양국(高陽國)은 박륙현을 중심으로 고양, 여오현을 포함했다. 한편 남은 박릉군은 안평현을 중심으로 [[왕침]]이 박릉현공 (265~277년), 그의 아들 [[왕준]]이 박릉군공이 되었다. [[영가의 난]] 시기 왕준은 기주와 유주에서 자립하다가 314년 [[후조]]에 패하고 죽었다. 이후 고양국은 고양국 (高陽郡)이 되었고, 후조-[[전연]]-[[전진]]-[[후연]]을 거쳐 [[북위]] 시기인 397년 기주 (冀州)에서 분리된 안주 (安州)에 속했다. 안주는 400년에 정주 (定州)로 바뀌었다가 487년 영주 (瀛州)로 개칭되었다. 그 휘하의 박륙현은 박야현 (博野縣)으로 개칭되었다. [[북제]] 시기인 556년, 여오현이 박야현에 병합되었다. [[수나라]] 시기인 583년, 고양군이 폐지되며 박야현은 영주에 직속되었다. 군현제가 부활할 때에는 하간군 (河間郡)에 속했고, [[당나라]] 초기인 623년 여주 (蠡州)로 개편되었다가 637년 심주 (深州)로 병합되었다. 그렇게 3세기 가량 유지되다가 [[북송]] 시기인 987년, 박야현에 영변군 (寧邊軍)이 설치되었다. 영변군은 1004년 영정군 (永定軍)을 거쳐 1029년 영녕군 (永寧軍)으로 개칭되었고, 1125년 일시 폐지되었다가 복구되었다. [[금나라]] 시기인 1151년에 영녕군은 재차 여주로 개편되었고, 역시 박야현이 그 치소였다. [[명나라]] 시기인 1375년, 여주가 폐지되며 박야현은 옛 여오현 자리로 옮겨져 현 보예현으로 이어졌고 기존 박야햔 자리에는 여현 (蠡縣)이 설치되어 현재의 리현으로 이어지고 있다. 두 현 모두 보정부 (保定府) 산하 기주 (祁州)에 속했고, 이때부터 현재까지 바오딩 소속으로 이어지고 있다. [[분류:허베이성의 현]][[분류:중국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