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리플렉 비트 VOLZZA)] [목차] == 개요 == [[리플렉 비트 그루빈]]에서의 [[리플렉 도장]]의 인정시험 시스템이 VOLZZA에서는 클래스 체크 모드로 변경되었다. 리플렉 도장에서는 명인 캐릭터를 쓰러트려야 했지만, 클리어만으로도 클래스가 취득되게 변경되었다. 또한 [[단위인정]]의 급위[* 참고로 IIDX 급위의 영어 명칭이 CLASS이다. 하단 전광판에도 이렇게 뜬다. 예를 들어 7급이면 CLASS 7]처럼 숫자가 작을수록 높은 클래스이다. 전작에서와 달리 100%가 최대치인 게이지를 사용하여 [[비트매니아 IIDX]] 느낌도 난다. 판정별 게이지 증감량은 아래와 같다. JUST REFLEC : +1.25% JUST : +0.15% GREAT : +-0 GOOD : -1.0% MISS : -2.5% (JUST REFLEC MISS도 동일) 추가 사항으로, 롱노트를 시작 부분부터 통째로 놓칠 경우 노트 두 개를 틀린 것으로 간주하여 5%가 깎인다. 또한 각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면 깎인 체력의 30%만큼 체력을 회복시켜준다. 40개의 미스를 연속으로 내면 실패하는 것은 전작과 동일하지만, 전작에 있었던 명인 쓰러뜨리기 요소와 저스트 리플렉 미스시 받는 추가 데미지가 사라졌다는 점, 그리고 저스트 리플렉이 아닌 일반 저스트 판정으로도 체력 회복이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시스템적인 면에서는 전작보다 다소 수월해졌다는 평이 많다. 각 클래스 최초 클리어시 VOLZZA key를 10개씩 지급해준다.[* 내가 Class 3이어도 Class 10을 클리어 한 적이 없다면 Class 10을 클리어 하여 VOLZZA key 10개를 지급받을 수 있다.] 단, 클리어 곡 최초 플레이의 열쇠는 지급하지 않는다.(...) 대신, 해당 곡을 풀콤보 했을 경우의 VOLZZA key는 지급된다.--Final Stage의 곡을 풀콤보를 할 경우 VOLZZA key 11개를 지급해준다.-- 볼짜 2 업데이트로 클래스 11~13이 추가되었다. 주의 사항으로, 이 클래스 체크 모드에선 노말모드의 배속 조절(+50, +100)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조심하자. === 클래스 13 === [[파일:external/p.eagate.573.jp/class_12.jpg]] || '''라운드''' || '''곡명''' || '''아티스트''' || '''채보''' || '''레벨''' || '''오브젝트 수''' || || '''1st''' || [[Let It Go(겨울왕국)|レット・イット・ゴー~ありのままで~]] || (松たか子) || {{{#green BASIC}}} || {{{#green 1}}} || {{{#green 52}}} || || '''2nd''' || [[シュガーソングとビターステップ]] || [[UNISON SQUARE GARDEN]] || {{{#green BASIC}}} || {{{#green 2}}} || {{{#green 96}}} || || '''Final''' || [[チルノのパーフェクトさんすう教室]] || [[ARM]]+夕野ヨシミ feat.miko || {{{#green BASIC}}} || {{{#green 2}}} || {{{#green 98}}} || === 클래스 12 === [[파일:external/p.eagate.573.jp/class_13.jpg]] || '''라운드''' || '''곡명''' || '''아티스트''' || '''채보''' || '''레벨''' || '''오브젝트 수''' || || '''1st''' || [[ハンガリー舞曲 第5番 ~Hungarian Dances No.5~]] || [[Rb. Conductor II]] || {{{#green BASIC}}} || {{{#green 2}}} || {{{#green 73}}} || || '''2nd''' || [[Journey]] || [[猫叉Master]] || {{{#green BASIC}}} || {{{#green 2}}} || {{{#green 70}}} || || '''Final''' || [[いーあるふぁんくらぶ]] || [[みきとP]] || {{{#green BASIC}}} || {{{#green 3}}} || {{{#green 107}}} || === 클래스 11 === [[파일:external/p.eagate.573.jp/class_14.jpg]] || '''라운드''' || '''곡명''' || '''아티스트''' || '''채보''' || '''레벨''' || '''오브젝트 수''' || || '''1st''' || [[ふ・れ・ん・ど・し・た・い]] || [[学園生活部]] || {{{#green BASIC}}} || {{{#green 3}}} || {{{#green 105}}} || || '''2nd''' || [[ロストワンの号哭]] || [[Neru]] || {{{#green BASIC}}} || {{{#green 3}}} || {{{#green 170}}} || || '''Final''' || [[激アツ☆マジヤバ☆チアガール]] || [[ 日向美ビタースイーツ♪]] || {{{#green BASIC}}} || {{{#green 4}}} || {{{#green 133}}} || === 클래스 10 === [[파일:external/p.eagate.573.jp/class_00.jpg]] || '''라운드''' || '''곡명''' || '''아티스트''' || '''채보''' || '''레벨''' || '''오브젝트 수''' || || '''1st''' || [[EZ DO DANCE]] || [[VENUS]] || {{{#green BASIC}}} || {{{#green 4}}} || {{{#green 142}}} || || '''2nd''' || [[放課後ストライド]] || [[Last Note.]] || {{{#green BASIC}}} || {{{#green 4}}} || {{{#green 187}}} || || '''Final''' || [[カラフルミニッツ]](R) || [[Qrispy Joybox]] feat.[[mao(가수)|mao]] || {{{#orange MEDIUM}}} || {{{#orange 5}}} || {{{#orange 175}}} || === 클래스 9 === [[파일:external/p.eagate.573.jp/class_01.jpg]] || '''라운드''' || '''곡명''' || '''아티스트''' || '''채보''' || '''레벨''' || '''오브젝트 수''' || || '''1st''' || [[カラフル]] || [[ClariS]] || {{{#orange MEDIUM}}} || {{{#orange 5}}} || {{{#orange 160}}} || || '''2nd''' || [[幻影ノ消失]] || [[Xceon]] feat. [[모리나가 마유미|Mayumi Morinaga]] || {{{#orange MEDIUM}}} || {{{#orange 5}}} || {{{#orange 210}}} || || '''Final''' || [[SigSig]](R) || [[kors k]] || {{{#orange MEDIUM}}} || {{{#orange 6}}} || {{{#orange 190}}} || === 클래스 8 === [[파일:external/p.eagate.573.jp/class_02.jpg]] || '''라운드''' || '''곡명''' || '''아티스트''' || '''채보''' || '''레벨''' || '''오브젝트 수''' || || '''1st''' || [[ウミユリ海底譚]] || n-buna || {{{#orange MEDIUM}}} || {{{#orange 6}}} || {{{#orange 267}}} || || '''2nd''' || [[凛として咲く花の如く ~ひなビタ♪edition~]] || [[日向美ビタースイーツ♪]] || {{{#orange MEDIUM}}} || {{{#orange 6}}} || {{{#orange 383}}} || || '''Final''' || [[Super Duper Racers]] || [[kors k]] & Numb'n'dub || {{{#orange MEDIUM}}} || {{{#orange 7}}} || {{{#orange 351}}} || === 클래스 7 === [[파일:external/p.eagate.573.jp/class_03.jpg]] || '''라운드''' || '''곡명''' || '''아티스트''' || '''채보''' || '''레벨''' || '''오브젝트 수''' || || '''1st''' || [[無頼ック自己ライザー]] || じーざす(ワンダフル☆オポチュニティ!)[BR] feat.[[kradness]] || {{{#orange MEDIUM}}} || {{{#orange 7}}} || {{{#orange 297}}} || || '''2nd''' || [[オタサー☆レボリューション]] || [[ARM(IOSYS)]] feat. [[miko]] & キム || {{{#orange MEDIUM}}} || {{{#orange 7}}} || {{{#orange 412}}} || || '''Final''' || [[Silence]](R) || [[猫叉Master]] || {{{#red HARD}}} || {{{#red 8}}} || {{{#red 368}}} || === 클래스 6 === [[파일:external/p.eagate.573.jp/class_04.jpg]] || '''라운드''' || '''곡명''' || '''아티스트''' || '''채보''' || '''레벨''' || '''오브젝트 수''' || || '''1st''' || [[ハピ恋☆らぶりぃタイム!!]] || [[DJ TOTTO]] feat.anporin || {{{#red HARD}}} || {{{#red 8}}} || {{{#red 401}}} || || '''2nd''' || [[Nigra Ludia]] || [[Akhuta]] || {{{#orange MEDIUM}}} || {{{#orange 8}}} || {{{#orange 368}}} || || '''Final''' || [[Survival Games]](R) || [[VENUS]] || {{{#red HARD}}} || {{{#red 9}}} || {{{#red 380}}} || [[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전작]]과 비교하면 [[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리플렉 도장#s-2.2.4|4단]] 정도의 난이도. 3라운드 과제곡인 [[Survival Games]]은 리뉴얼 이전 채보가 레벨 9 하위권으로 취급되던 것과 달리 리뉴얼 채보는 난이도가 상당히 올라갔기 때문에 클래스 6에 도전하기 전에 미리 플레이해보는 것을 권장한다. === 클래스 5 === [[파일:external/p.eagate.573.jp/class_05.jpg]] || '''라운드''' || '''곡명''' || '''아티스트''' || '''채보''' || '''레벨''' || '''오브젝트 수''' || || '''1st''' || [[ちくわパフェだよ☆CKP]](R) || [[日向美ビタースイーツ♪]] || {{{#red HARD}}} || {{{#red 9}}} || {{{#red 527}}} || || '''2nd''' || [[砂の雨は夜に]] || [[あさき|あさき]] || {{{#red HARD}}} || {{{#red 9}}} || {{{#red 394}}} || || '''Final''' || [[アヴァロンの丘]] || [[猫叉Master]] || {{{#red HARD}}} || {{{#red 10}}} || {{{#red 564}}} || [[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전작]]과 비교하면 [[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리플렉 도장#s-2.2.5|5단]]~[[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리플렉 도장#s-2.2.6|6단]] 정도의 난이도. 전작의 6단과 달리 2라운드의 과제곡이 레벨 9로 바뀌었기 때문에 기존에 6단을 획득했던 유저라면 어렵지 않게 클래스 5를 획득할 수 있다. 반면 5단 유저였다면 3라운드에서 폭사할 위험이 높아졌다. === 클래스 4 === [[파일:external/p.eagate.573.jp/class_06.jpg]] || '''라운드''' || '''곡명''' || '''아티스트''' || '''채보''' || '''레벨''' || '''오브젝트 수''' || || '''1st''' || [[梅雪夜]] || [[Qrispy Joybox]] feat.[[mao(가수)|mao]] || {{{#red HARD}}} || {{{#red 10}}} || {{{#red 640}}} || || '''2nd''' || [[Northern Lights]] || [[Hommarju]] || {{{#red HARD}}} || {{{#red 10}}} || {{{#red 611}}} || || '''Final''' || [[鬼天]] || [[DJ TOTTO|兎々]] || {{{#red HARD}}} || {{{#red 10}}} || {{{#red 586}}} || [[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전작]]과 비교하면 [[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리플렉 도장#s-2.2.7|7단]] 정도의 난이도. 전작의 7단 취득을 어렵게 만들었던 [[THE SAFARI#s-2.2|사파리]]가 ~~7단이 아니라서~~ 빠졌으나 그 대신 들어온 곡이 레벨 10 [[불렙곡]]으로 취급되는 [[鬼天]]이라 클래스 체크 모드의 커트라인이 전작보다 완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합격은 오히려 더 어려워졌다. === 클래스 3 === [[파일:external/p.eagate.573.jp/class_07.jpg]] || '''라운드''' || '''곡명''' || '''아티스트''' || '''채보''' || '''레벨''' || '''오브젝트 수''' || || '''1st''' || [[SCHWARZSCHILD FIELD]] || [[L.E.D.]] || {{{#red HARD}}} || {{{#red 10}}} || {{{#red 527}}} || || '''2nd''' || [[Chronoxia]] || [[DJ TOTTO|DJ Totoriott]] || {{{#red HARD}}} || {{{#red 11}}} || {{{#red 747}}} || || '''Final''' || [[quaver♪]] || [[dj TAKA|Risk Junk]] || {{{#red HARD}}} || {{{#red 11}}} || {{{#red 733}}} || [[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전작]]과 비교하면 [[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리플렉 도장#s-2.2.8|8단]] 정도의 난이도. 슈바르츠실트 필드의 24비트 트릴과 크로녹시아의 높은 밀도, 그리고 퀘이버의 체력형 패턴이 겹쳐서 상당히 까다로운 편. 다만 세 곡들 모두 다 게이지를 깎아먹기 좋은 구간이 정해져있는 경향이 있기때문에 이런 구간들을 숙지해서 돌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클래스 2 === [[파일:external/p.eagate.573.jp/class_08.jpg]] || '''라운드''' || '''곡명''' || '''아티스트''' || '''채보''' || '''레벨''' || '''오브젝트 수''' || || '''1st''' || [[∞(VOCALOID 오리지널 곡)|∞=Inftrumental=]] || [[cosMo@폭주P]] || {{{#red HARD}}} || {{{#red 11}}} || {{{#red 690}}} || || '''2nd''' || [[Like+it!]] || [[Ryu☆]] || {{{#red HARD}}} || {{{#red 11}}} || {{{#red 702}}} || || '''Final''' || [[DEADLOCK(BEMANI 시리즈)|DEADLOCK]] || [[Qrispy Joybox|MAX MAXIMIZER]] || {{{#red HARD}}} || {{{#red 11}}} || {{{#red 676}}} || [[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전작]]과 비교하면 [[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리플렉 도장#s-2.3.1|대리사범]] 정도의 난이도이며 2, 3라운드는 과제곡마저 동일. 다만, 첫 라운드의 [[∞=Inftrumental=]] 는 VOLZZA 신곡이므로 슬라이드 오브젝트에서 당황하여 게이지가 주르륵 까지지 않도록 주의. 2라운드인 [[Like+it!]]이 고비로 평가받는다. 워낙 개인차를 많이 타는 채보이기 때문. 약간의 팁을 주자면, 1라운드에서 게이지를 90% 이상 남겼을 경우 [[Like+it!]] A.R 79~80%정도로도 아슬아슬하게 2라운드를 버텨낼 수 있다.[* 물론 100% 클리어를 보장할 A.R은 아니다. 2라운드를 넘기기 위한 최소 A.R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각 라운드가 끝나고 주어지는 회복량이 게이지가 낮을 수록 높아지기 때문에 한 자리 대까지 떨어지더라도 20~30%까지 회복되므로 [[DEADLOCK(BEMANI 시리즈)|DEADLOCK]]의 회복구간에서 최대한 회복해가면서 플레이하면 합격은 가능하다. 다만 방심은 금물인 것이, 데드락이 어디까지나 할만한 구성인거지 쉬운곡이 절대 아니다. === 클래스 1 === [[파일:external/p.eagate.573.jp/class_09.jpg]] || '''라운드''' || '''곡명''' || '''아티스트''' || '''채보''' || '''레벨''' || '''오브젝트 수''' || || '''1st''' || [[Gale Rider]] || [[P*Light]] || {{{#red HARD}}} || {{{#red 11}}} || {{{#red 818}}} || || '''2nd''' || [[ZZ(BEMANI 시리즈)|ZZ]] || [[dj TAKA|D.J Amuro]] || {{{#red HARD}}} || {{{#red 11}}} || {{{#red 813}}} || || '''Final''' || [[fallen leaves]] || [[猫叉Master]] || {{{#red HARD}}} || {{{#red 11}}} || {{{#red 653}}} || [[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전작]]과 비교하면 대략 [[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리플렉 도장#s-2.3.2|사범]] 정도의 난이도. 1번곡을 제외하고 코스의 구성이 같다. Gale Rider의 전체살인형 패턴에서 게이지를 아끼고, ZZ 초반에서 회복한 뒤 후살을 주의하면 어느정도 해볼만하다. ZZ에서 5~60퍼만 남겨도 fallen leaves에서 압살구간까지 풀피로 회복이 가능하니 버릴거 버리더라도 체력을 덜 까이게 버티기만 해보자 === 클래스 零[* 떨어질 령 으로 일본어로는 0을 표기할때 쓰는 한자이다. 보통 레이 라고 읽는다.] === [[파일:external/p.eagate.573.jp/class_10.jpg]] || '''라운드''' || '''곡명''' || '''아티스트''' || '''채보''' || '''레벨''' || '''오브젝트 수''' || || '''1st''' || [[SERVI]] || [[Des-ROW]] || {{{#red HARD}}} || {{{#red 12}}} || {{{#red 613}}} || || '''2nd''' || [[海神]] || [[DJ TOTTO|兎々]] || {{{#red HARD}}} || {{{#red 12}}} || {{{#red 900}}} || || '''Final''' || [[HAERETICUS]] || [[dj TAKA|D.J.Amuro]] Vs [[Qrispy Joybox|MAX MAXIMIZER]] || {{{#red HARD}}} || {{{#red 12}}} || {{{#red 809}}} || 2015년 12월 11일 업데이트되었다. 전작의 명예사범에 해당하는 난이도이다. 1스테이지가 [[SERVI]]로 변경되었다. SERVI에서의 핵심이 동시치기와 슬라이드를 어떻게 조치하냐인데, 명예사범급의 곡은 아닌지라 이번에도 밸런스 조절에 실패했다는 의견이 있다. 이후의 곡은 그루빈과 차이가 없으며 시스템적 변화로 인해 전체적으로 전작보다 조금 쉬워진 수준. 다만 2스테이지의 곡이 전작의 명예사범과는 달리 [[海神]]으로 고정되었다. === 極[* 극진할 극] === [[파일:external/p.eagate.573.jp/class_11.jpg]] ||'''라운드'''||'''곡명'''|| '''아티스트''' ||'''채보'''||'''레벨'''||'''오브젝트 수'''|| ||'''1st'''||[[Hollywood Galaxy]]|| [[dj TAKA]] ||{{{#08AFDB SPECIAL}}}||{{{#08AFDB 12}}}||{{{#08AFDB 923}}}|| ||'''2nd'''||[[CLAMARE]]|| [[MAX MAXIMIZER]] ||{{{#red HARD}}}||{{{#red 12}}}||{{{#red 830}}}|| ||'''Final'''||[[伐折羅-vajra-]]|| [[DJ TOTTO|DJ TOTTO VS 兎々]] ||{{{#red HARD}}}||{{{#red 12}}}||{{{#red 999}}}|| 2016년 2월 17일 추가된 등급. 전작의 최고사범에 해당하는 난이도. 마찬가지로 클래스 零을 취득한 이후 도전할 수 있다. 타 클래스와는 달리 CLASS X 식으로 표기하지 않는다. 전작의 최고사범과 같이 데미지 배율 1.5배가 적용된다.[* JUST +0.1% GREAT ±0% GOOD -1.5% MISS, JUST REFLEC MISS -3.75% ] [[The 5th KAC]]의 결승곡인 [[Rebellio]] 가 실릴지도 모른다는 예상과 달리 [[dj TAKA]]의 [[Hollywood Galaxy]] 스페셜이 수록되었다. 이번 클래스 체크모드의 첫 스페셜 보면의 수록이다. 비록 Rebellio는 실리지 않았지만 '극' 답게 엄청난 난이도를 보여주고 있는데, 특히 1스테이지가 전작의 최고사범에 비해 매우 어려워졌다. 전작의 [[Bad Maniacs]] 스페셜의 경우 최고사범 클리어를 노려볼 수준이라면 (개인차는 있지만) 대체로 넘어가는 스테이지 취급이었다면, 이번에는 1스테이지 롱잡 후살의 특성상 미스가 나기 매우 쉬운데다 롱노트를 통째로 흘리면 게이지가 7.5%나 깎인다는 점도 있어 게이지를 유지하기 매우 어렵다. 그리고 2-3 스테이지는 당연하게도 12렙 끝판왕 [[CLAMARE|두]] [[伐折羅-vajra-|곡]]이 자리잡고 있다. CLAMARE의 초반부를 제외하면 쉽다 할만한 구간이 전혀 없기 때문에 1스테이지 후살에서 깎인 게이지를 만회하기 어려운 구성. 어찌어찌 버티더라도 3스테이지 바즈라의 후살은 말할 필요가 없다. 때문에 전작에 비해 시스템적으로는 꽤 편해진 이번 클래스 체크 모드이지만 체감 난이도는 최고사범과 비슷하거나 그 이상이라는 평이 많다. [[https://twitter.com/reflecbeat573/status/699778061852499968|참고로 DJ TOTTO는 이미 달성한 클래스.]] [[분류:리플렉 비트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