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 설명,설명=이 문서는 스타워즈 시리즈에서 리퍼블릭이라는 이름의 스타 디스트로이어에 대한 문서입니다.)] [include(틀:다른 뜻1,other1='은하 공화국'에서 사용한 스타 디스트로이어,rd1=베나터급 스타 디스트로이어)] [[이미지:캡처_2022_06_26_18_40_41_338.png]] '''[[http://starwars.wikia.com/wiki/Republic-class_Star_Destroyer| Republic-class Star Destroyer]]''' |||| '''제원''' || || 전장 || 1.2km || || 무장 || 2연장 [[터보레이저]] 40문, 단장 터보레이저 40문, 이온 캐논 20문 || || 승조원 || 약 8000여명 || || 함재기 || 36기 || || 초공간 도약 장치 || 2등급 하이퍼드라이브 || [[스타워즈 시리즈]]에 등장하는 함선. [[스타 디스트로이어]] 시리즈 중 하나로, [[스타워즈 레전드]]에서 등장하는 스타 디스트로이어이다. [목차] == 요약 == [[은하 제국]]이 엔도 전투에서 패퇴하고 신 공화국이 세워지자, 신 공화국의 군부가 된 [[저항 연합]]은 저항군 시절보다 당연히 많은 군사력을 필요로 했는데, 이에 따라 소형함 뿐 아니라 대형함 역시 많은 숫자의 소요가 제기되었다. 하지만 이미 [[네뷸론 B 프리깃]], [[코렐리안 코르벳]] 등의 걸작 함선이 다수 개발되어 있어서 신규 전력 확충에도 별 문제점이 없던 소형함들과 달리, 대형함 전력 확충에는 심각한 문제가 하나 있었는데, 그것은 기존의 주력 대형 함선인 [[몬 칼라마리 스타 크루저]]가 너무 비싸고 제식화 수준이 낮아서 양산하기에는 문제점이 심각하다는 것이었다.[* 저항 연합 당시의 몬 칼라마리 스타 크루저들은 모두 기존의 여객선을 개수한 것이었고, 신규 건조보다는 당연히 돈이 덜 들어갔기 때문에 비교적 적은 숫자의 함선을 요구했던 저항 연합은 필요한 모든 스타크루저를 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신공화국 때에는 이야기가 달라진다.] 이에 따라 신공화국은 [[함대 신식화 프로그램|신형함 개발 계획]]을 수립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빅토리급 스타 디스트로이어]]의 개발사였던 [[렌딜리 스타드라이브]]에 신형함 개발을 의뢰하게되고, 그 결과물이 바로 리퍼블릭 스타디스트로이어이다. 전체적으로 [[스타 디스트로이어]] 특유의 삼각형 모양이면서도 몬 칼라마리 스타 크루저와 비슷한 둥글둥글한 모양새를 하고 있는 독특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어서 나름 매력이 있다. 함체에 [[함교]]가 딱 붙어있는 것도 특징적이라면 특징적인 부분. 전체적으로는 이후 개발된 [[네뷸라 스타 디스트로이어]]와 비슷한 수준의 무장을 하고 있지만, 미사일 포드가 없어서 대공 능력은 밀리고 하이퍼 드라이브 역시 밀리며[* 네뷸라급은 무려 1등급이다.] 함재기 숫자도 적은 등 크기는 약간 더 큰데도 전체적인 스펙은 크게 밀리는 편이다. 하지만 리퍼블릭급도 나쁜 수준의 화력을 갖춘 건 아니었고 신공화국의 주력 함선으로 활약하기에는 충분한 스펙이었다.[* 애초에 이 정도 스펙으로도 임페리얼 급 하고도 충분히 붙을수 있다.] == 그 외 == 악재를 겪으면서도 제법 많은 숫자의 리퍼블릭급이 생산되었다고 하니, 유우잔 봉 전쟁 시기에도 단 '''20척'''밖에 생산되지 못한 네뷸라급과 달리 공화국군의 주력 함선으로 자리잡는 데는 성공한 것 같다. [[분류:스타워즈 레전드]] [[분류:스타 디스트로이어]] [include(틀:포크됨2, title=리퍼블릭 스타 디스트로이어, d=2022-07-06 22:2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