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리키 스팀보트.jpg|width=100%]]|| ||<#FF0000><:> '''{{{+5 {{{#white RICKY STEAMBOAT}}} }}}'''|| [목차] == 프로필 == ||<-2> [[파일:Ricky_Steamboat_pro.png|width=300]] || ||<-2> [[NWA 명예의 전당|{{{#FFFFFF '''NWA 명예의 전당 헌액자'''}}}]] || ||
<-2> [[WWE 명예의 전당|{{{#e5b827 '''WWE 명예의 전당 헌액자'''}}}]] || || {{{#e5b827 '''본명'''}}} || 리처드 헨리 블러드 시니어[br]Richard Henry Blood Sr. || || {{{#e5b827 '''별칭'''}}} || '''The Dragon''' || || {{{#e5b827 '''출생일'''}}} || [[1953년]] [[2월 28일]] || || {{{#e5b827 '''출생지'''}}} || [[미국]] [[뉴욕 주]] 웨스트 포인트 || || {{{#e5b827 '''거주지'''}}} ||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노스캐롤라이나 주]] 무어스빌 || || {{{#e5b827 '''신장'''}}} || 178cm || || {{{#e5b827 '''체중'''}}} || 107kg || || {{{#e5b827 '''가족'''}}} || 배우자 클라우디아 소비스키, 슬하 [[리치 스팀보트|1남]] || || {{{#e5b827 '''피니시 무브'''}}} || '''다이빙 크로스바디''' || || {{{#e5b827 '''유형'''}}}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테크니션|테크니션]] || || {{{#e5b827 '''테마곡'''}}} || Opeining Ceremony[br]Sirius[br]Hercules[br]'''[[https://www.youtube.com/watch?v=sRzN6phUucs|Dragon]]'''[* 2003년에 1년 계약을 맺고 WWE에서 활동한 [[울티모 드래곤]]이 본인의 테마곡으로 쓴 적 있다. 2009년에 리키 스팀보트가 크리스 제리코를 상대하기 위해 잠시 WWE의 링에서 활동할 때 현역 시절의 테마곡 대신 이 곡을 사용했다.][br]Rydeen[br]Tong Poo || || {{{#e5b827 '''주요 커리어'''}}} ||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1회''' [br]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NWA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4회[br] WCW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 4회[BR]WCW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8회[BR][[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WWF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1회 || == 개요 == 전 [[WWE]], [[NWA(프로레슬링)|NWA]], [[WCW]] 소속의 [[프로레슬러]]. [[브렛 하트]]에 앞서 인기를 끌었던 체구 작은 슈퍼스타로, 브렛 하트의 공식 신장인 185cm보다 작은 178cm다. [[브렛 하트]]는 인터뷰에서 리키 스팀보트와 [[랜디 새비지|마초맨 랜디 새비지]]가 작은 체구의 선수들이 활약할 수 있게 기회를 만들어준 인물들로, 깊이 존경한다고 밝혔다. 현역 시절에 리키 스팀보트의 경기를 프로레슬링이 아닌 서커스라고 폄하하는 부류들도 있었다. [[21세기]]에도 [[WWE]] 밖의 경기들을 [[서커스]] 혹은 [[프로레슬링]]이 아니라며 폄하하는 부류들을 비판할 때 [[데이브 멜처]]는 리키 스팀보트의 사례를 들며 프로레슬링의 진화는 변화에서 온다고 말했다. [[릭 플레어]]는 리키 스팀보트가 경기력, 신체 능력, 인성 모두 훌륭하다면서 프로레슬링 역사상 [[http://wrestlinginc.com/wi/news/2018/0904/645491/ric-flair-on-who-is-the-greatest-babyface-of-all-time/|최고의 선역]]으로 꼽았다. 릭 플레어는 인터뷰에서 자신이 가졌던 최고의 대립으로 리키 스팀보트와의 퓨드를 언급하곤 한다.[* 보통 NWA에서 있었던 리키 스팀보트 vs 릭 플레어 2연전 경기나 WWE 레슬매니아 3에서 있었던 리키 스팀보트 vs 랜디 새비지 경기는 1980년대 최고의 경기로 꼽을 만한 명경기들이다.] == 커리어 == 본명은 리처드 헨리 블러드로, 미국인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1978년에는 보디빌딩 대회에서 우승할 정도로 보디빌딩에 열심이었고, 아마추어 레슬링에서도 두각을 드러냈다. 그러다 [[번 가니에]]의 훈련을 받고 [[AWA]]에서 본명인 릭 블러드로 프로레슬링에 데뷔했다. 그러나 에디 그레이엄의 권유로 다소 악역같은 이름의 릭 블러드가 아닌 리키 스팀보트[* 하와이 프로레슬러인 새미 스팀보트와 흡사하게 생겨서 붙은 이름]를 링네임으로 사용했다. 그리고 NWA에서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전반까지 본인처럼 떠오르는 유망주였던 릭 플레어와의 라이벌리를 구축한다. 1985년, WWF에 데뷔할 때 어머니의 혈통 덕에 동양인 같은 외모를 가지고 있어 무술가 기믹의 '''더 드래곤'''이란 별칭을 얻었다. 그리고 [[미스터 푸지]][* 훗날 [[요코주나]]의 매니저가 되는 프로레슬러]나 허큘리즈, [[제이크 로버츠|제이크 더 스네이크 로버츠]] 등과 대립하다가 [[랜디 새비지|마초맨 랜디 새비지]]와 [[WWF 레슬매니아 3]]에서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WWF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매치를 가져 '''명경기를 만들며''' 조지 "디 애니멀" 스틸의 도움으로 승리해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이 된다. 역대 최초로 레슬매니아에서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이 바뀌었으며, 당일 메인 이벤트인 [[헐크 호건]] 대 [[앙드레 더 자이언트]]를 뛰어넘는 평가를 받았다.[* WWE선정 죽기 전에 꼭 봐야할 경기 100선 3위이자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1987년 올해의 경기'''다. 헐크 호건 vs 앙드레 더 자이언트의 경기에서 헐크 호건이 앙드레 더 자이언트를 바디슬램으로 링에 메치는 장면은 역사적인 장면으로 회자되지만 데이브 멜처가 이 경기에 마이너스 4성을 줬을 정도로 전체적인 경기를 보면 좋은 평은 안 나오는 편이다. 레슬매니아 3 뒤풀이 때 있었던 일을 리키 스팀보트가 회고하길, WWF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경기를 뛴 두 선수에겐 축하 인사가 끊이질 않았지만 헐크 호건 쪽 자리엔 아무도 관심이 없었다고 한다.] 그 후 3개월 뒤 [[홍키 통크 맨]] 에게 WWF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을 빼았겼고 WWF를 떠나 NWA로 돌아갔다. [[NWA(프로레슬링)|NWA-WCW]]로 돌아가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에 등극하지만 1989년 한 해만 활동한 후 [[신일본 프로레슬링]]을 거쳐 다시 WWF로 돌아갔다. 그리고 다시 WCW로 가서 1994년에 은퇴했다. [[릭 플레어]]와의 라이벌리를 다시금 불태운 1989년에는 5성 경기를 세 번 만든 한편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1989년 올해의 경기 1위~3위를 독식했다. 그 과정에서 1989년 4월 2일엔 [[NWA-WCW 클래쉬 오브 챔피언스 6 : 레이징 카준]]에서 릭 플레어를 더블 암 치킨 윙으로 항복시켜 그때 기준으로 '''유일하게 릭 플레어를 항복시킨 사나이'''라는 영예도 거머쥐었다. WWE 선정 죽기 전에 꼭 봐야할 경기 100선 4위에 이름을 올렸으며,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1989년 올해의 경기다. 후에 도미니언 2017에서 [[케니 오메가]] 대 [[오카다 카즈치카]]의 경기에 데이브 멜처가 6.25성을 준 뒤 1989년 3월 18일에 메릴랜드에서 NWA가 개최한 하우스쇼에서 있었던 리키 스팀보트 대 릭 플레어는 5.5성~6성을 받아야된다고 언급했다. 그리고 케이지매치넷에서는 [[https://www.cagematch.net/?id=111&nr=5057|데이브 멜처가 6성을 줬다]]고 등록하면서 리키 스팀보트와 릭 플레어가 역사상 최초로 데이브 멜처 기준 5성 만점을 초과한 경기를 만든 것으로 기록되었다. 또 데이브 멜처는 이 6성 경기를 언급하는 동시에 1989년 3월 27일에 필라델피아에서 NWA가 개최한 하우스쇼에서 있었던 리키 스팀보트 대 릭 플레어는 9일 전보다는 못했지만 그래도 훌륭한 경기였다며 4.75성을 주면서 릭 플레어와 리키 스팀보트의 라이벌리가 전설적인 퓨드임을 다시금 입증했다. [[ROH]]에선 [[CM 펑크]]의 멘토를 맡은 이후 2005년에 다시 WWE로 복귀한다. 2009년에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한편[* 헌액자는 평생의 라이벌이었던 [[릭 플레어]]였다.] [[WWE 레슬매니아 25]]에서 [[크리스 제리코]]와 맞서 싸우는 레전드 프로레슬러 중 한 명으로 등장해 50이 훌쩍 넘은 나이에 공중기까지 시전했으며, [[지미 스누카]]와 [[로디 파이퍼]]가 초반에 제거되면서 사실상 1:1로 크리스 제리코를 상대해 분전했다. [[WWE 백 래쉬(2009)]]에서는 크리스 제리코와 1:1로 10분이 넘는 경기를 소화했다. 이 시기 [[하우스쇼]]에서도 경기 상대로 나섰던 크리스 제리코는 인터뷰에서 리키 스팀보트가 웬만한 현역 프로레슬러 85%보다 경기력이 뛰어나다며 존경심을 표했다. 2010년에 뇌출혈로 쓰러진 후 80% 정도까지 회복했지만 기존처럼 링 위에서 WWE의 산하단체 선수들을 상대로 낙법을 취하는 대신 링 밖에서 조언을 하며 가르친다. [[FCW]]가 [[NXT]]로 개편된 후엔 RAW와 스맥다운의 프로듀서로 근무한다. == 주 기술 == ||[[파일:스팀보트기술1.gif|width=400]]||[[파일:스팀보트기술2.gif|width=400]]|| 빅맨들이 활개치던 80년대 프로레슬링에서 [[랜디 새비지]]와 함께 작은 체구로 화려하고 깔끔한 기술을 사용했던 테크니션이었다. ||[[파일:다이빙크로스바디.gif|width=300]]|| [[피니쉬 무브]] 다이빙 크로스바디. 80년대 레슬러들 기술이 다 그렇듯이 지금으로 보면 단순한 기술이지만 공중기가 많이 없던 당시 프로레슬링계에서 [[마초맨 랜디 새비지|마초맨]]의 [[엘보 드롭]]과 함께 테크니션한 공중기를 책임지던 기술이었다. == 둘러보기 == ||
<:><#000000>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 || || '''1996년 레슬링 옵저버 명예의 전당 헌액자'''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WEHOF.jpg|width=100%]]}}} || ||||||||||<:><#1054b5> {{{#e5b827 '''[[2009년|{{{#e5b827 2009년}}}]] [[WWE 명예의 전당|{{{#e5b827 WWE 명예의 전당}}}]] 헌액자'''}}} || ||
<:> [[파일:NWA 명예의 전당.jpg]] || ||<:>'''2012년 [[NWA 명예의 전당]] 헌액자'''|| ||
<:> [[파일:프로레슬링 명예의 전당.jpg]] || ||<:>'''2002년 프로레슬링 명예의 전당 헌액자'''|| ||||||||||
<:><#000000>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 {{{#FFFFFF '''레슬링 옵저버 선정 올해의 태그팀'''}}}|| ||<:> [[스탠 핸슨]][br]올리 앤더슨[br](1982) ||<:> {{{+1 → }}} ||<:><#FFFFA1>'''{{{#000000 리키 스팀보트[BR]제이 영블러드[br](1983)}}}'''||<:> {{{+1 → }}} ||<:> [[로드 워리어즈]][br](1984) || ||<-4>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br]{{{#ffffff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올해의 경기'''}}} [*★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 || '''1983년''' [br] 3월 12일 || MACW/[[NWA(프로레슬링)|NWA]][br]더 파이널 컨플릭트 || [[NWA(프로레슬링)|NWA]]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스틸 케이지 매치[br]돈 커노들(X) & [[서전 슬로터]](C) vs ___제이 영블러드___(O) & ___'''리키 스팀보트'''___ || || || '''1987년''' [br] 3월 29일 || [[WWE|WWF]][br][[WWF 레슬매니아 III|레슬매니아 III]] ||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WWF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br][[랜디 새비지]](C) vs ___'''리키 스팀보트'''___ || {{{#0000ff,#bbccff ****½}}} || || '''1989년''' [br] 4월 2일 || [[NWA(프로레슬링)|NWA]]/[[WCW]][br][[NWA-WCW 클래쉬 오브 챔피언스 6 : 레이징 카준|클래시 오브 챔피언스 6]] || [[NWA(프로레슬링)|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3판 2선승 매치[br][[릭 플레어]] vs ___'''리키 스팀보트'''___(C) || {{{#0000ff,#bbccff *****}}} || ||||||
<:><#000000>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FFFFFF '''레슬링 옵저버 선정 5성 경기'''}}}|| || 1989년 || 2월 20일[br][[NWA(프로레슬링)|NWA]] || [[NWA(프로레슬링)|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br][[릭 플레어]] vs '''리키 스팀보트''' || || 1989년 || 4월 2일[br]클래시 오브 챔피언스 VI || [[NWA(프로레슬링)|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br][[릭 플레어]] vs '''리키 스팀보트''' || || 1989년 || 5월 7일[br][[NWA-WCW 레슬워(1989)|레슬워]] || [[NWA(프로레슬링)|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br][[릭 플레어]] vs '''리키 스팀보트''' || || 1992년 || 5월 17일[br][[WCW 레슬워(1992)|WCW 레슬워 1992]] || 워 게임스 매치[br][[안 앤더슨]] & 뷰티풀 바비 & 래리 즈비스코 & [[릭 루드]] & [[스티브 오스틴]] vs '''[[배리 윈덤]] & [[더스틴 로즈]] & 니키타 콜로프 & [[스팅(프로레슬러)|스팅]] & 리키 스팀보트''' || ||<-3>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ffffff '''레슬링 옵저버 선정 6성 경기''' [* 레슬링 옵저버 최초 5성 초과 별점 경기.]}}} || || 1989년 || 3월 18일[br][[NWA(프로레슬링)|NWA]] [[WCW|월드 챔피언십 레슬링]] || [[NWA(프로레슬링)|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br][[릭 플레어]] vs '''리키 스팀보트''' || ||||||||||
<:><#000000> [[파일:PWI 로고.png|width=130]] {{{#FFFFFF '''PWI 선정 올해의 태그팀'''}}}|| ||<:> 진 & 올리 앤더슨[br](1977) ||<:> {{{+1 → }}} ||<:><#FFFFA1>'''{{{#000000 리키 스팀보트[BR]폴 존스[br](1978)}}}'''||<:> {{{+1 → }}} ||<:> 이반 푸츠키[BR][[티토 산타나]][br](1979) || ||||||||||<:><#000000> [[파일:PWI 로고.png|width=130]] {{{#FFFFFF '''PWI 선정 올해의 감동을 준 레슬러'''}}} || ||<:> [[릭 플레어]][br](2008) ||<:>{{{+1 → }}} ||<#FFFFA1><:>'''{{{#000000 리키 스팀보트[br](2009)}}}'''||<:>{{{+1 → }}} ||<:> [[숀 마이클스]][br](2010) || ||||||||||<:><#000000> [[파일:PWI 로고.png|width=130]] {{{#FFFFFF '''PWI 선정 올해의 신인'''}}} || ||<:> [[밥 백런드]][br](1976) ||<:>{{{+1 → }}} ||<#FFFFA1><:>'''{{{#000000 리키 스팀보트[br](1977)}}}'''||<:>{{{+1 → }}} ||<:> 타미 리치[br](1978) || ||||||
<:><#000000> [[파일:PWI 로고.png|width=130]] {{{#FFFFFF '''PWI 선정 올해의 경기'''}}} || || 1987년 || 3월 29일[br][[WWF 레슬매니아 III|레슬매니아 III]] ||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WWF 인터컨티넨탈 헤비웨이트 챔피언십]][br][[랜디 새비지]] vs '''리키 스팀보트''' || || 1989년 || 5월 7일[br][[NWA-WCW 레슬워(1989)|레슬워]] || [[NWA(프로레슬링)|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br][[릭 플레어]] vs '''리키 스팀보트''' || ||||
<:>'''{{{#white 역대 스타케이드 메인이벤트}}}'''[*★ 밑줄이 우승자] || || '''1991.12.29''' || 배틀보울 매치[br]'''우승자: __[[스팅(프로레슬러)|스팅]]__''' || [[분류:1953년 출생]][[분류:웨스트포인트(뉴욕) 출신 인물]][[분류: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일본계 미국인]][[분류:1976년 데뷔]][[분류:1994년 은퇴]][[분류:WWE 명예의 전당 헌액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