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리코리스구라미속]] ||<-2> '''{{{#fff {{{+1 리코리스 구라미}}}[br]Parosphromenu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rosphromenus.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Parosphromenus'' '''[br]Bleeker, 1877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조기어강]](Actinopterygii)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등목어목]](Anabant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버들붕어과]](Osphronemidae) || || [[생물 분류 단계#아과|{{{#000 '''아과'''}}}]] ||[[버들붕어아과]](Macropodusin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리코리스구라미속(''Parosphromenus'') || [목차] [clearfix] == 개요 == 버들붕어과 리코리스구라미속에 속하는 소형종 구라미. 속 내에 총 23종이 있으며, 그외에 여러 아종들이 있다. 커먼네임인 리코리스 구라미에서 리코리스는 [[감초]]를 의미하는데, 이 종들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다. == 종류 == *''Parosphromenus alfredi''([[알프레디 리코리스 구라미]]) *''Parosphromenus allani''([[알라니 리코리스 구라미]]) *''Parosphromenus anjunganensis''([[안윤가넨시스 리코리스 구라미]]) *''Parosphromenus barbarae''([[바르바라이 리코리스 구라미]]) *''Parosphromenus bintan''([[빈탄 리코리스 구라미]]) *''Parosphromenus deissneri''([[데이스네리 리코리스 구라미]]) *''Parosphromenus filamentosus'' ([[필라멘토수스 리코리스 구라미]]) *''Parosphromenus gunawani'' ([[구나와니 리코리스 구라미]]) *''Parosphromenus harveyi'' ([[하르베이 리코리스 구라미]]) *''Parosphromenus juelinae'' ([[유엘리나이 리코리스 구라미]]) *''Parosphromenus kishii'' ([[키시 리코리스 구라미]]) *''Parosphromenus linkei'' ([[링케이 리코리스 구라미]]) *''Parosphromenus nagyi'' ([[나기 리코리스 구라미]]) *''Parosphromenus opallios'' ([[오팔리오스 리코리스 구라미]]) *''Parosphromenus ornaticauda'' ([[오르나티카우다 리코리스 구라미]]) *''Parosphromenus pahuensis'' ([[파후엔시스 리코리스 구라미]]) *''Parosphromenus paludicola'' ([[팔루디콜라 리코리스 구라미]]) *''Parosphromenus parvulus''([[파르불루스 리코리스 구라미]]) *''Parosphromenus phoenicurus'' ([[포이니쿠루스 리코리스 구라미]]) *''Parosphromenus quindecim''([[퀸데킴 리코리스 구라미]]) *''Parosphromenus rubrimontis''([[루브리몬티스 리코리스 구라미]]) *''Parosphromenus sumatranus'' ([[수마트라누스 리코리스 구라미]]) *''Parosphromenus tweediei'' ([[트웨디에이 리코리스 구라미]]) == 생태 == === 서식지 === 리코리스구라미의 자연 서식지는 보통 블랙워터가 진하고 바닥은 낙엽과 이끼가 퇴적된 상태의 정수역과 같은 환경인데, 이러한 환경 외에도 흰모래에 크립토코리네가 빽빽하게 자란 유수역에도 서식한다. 블랙워터와 클리어워터 모두 맑은 물, 거기다 물살이 약간 있는 지역에 서식하기에 라비린스기관에 의존하는 정도가 덜한 편이다. == 사육 == 리코리스 구라미의 사육은 기본적으로 [[야생베타]]의 사육법과 굉장히 유사하다. 특히 먹이, 수질[* 야생베타 중 산성 선호종의 경우] 등의 부분은 야생베타와 거의 같다고 봐도 무방하다. === 구할 수 있는 루트 === 사실상 '''운에 맡겨야 한다.''' 수입이 그나마 자주 이루어지는 아종인 sp. 센탕을 제외하면 정기적으로 수입이 들어오는 종은 거의 없다. 수입이 들어온다고 하더라도 대부분 종이 혼동되어 들어오는 경우가 많아 업체를 골치아프게 한다. 열대어 공동구매에도 거의 올라오지 않는 품목이라 구하기가 어렵다. 초기 관리가 어려워 업체에서 쉽게 도전하지 않는 것도 하나의 큰 이유다. 최근 링케이, 오르나티카우다, 빈탄, 구나와니 등의 종들이 다른 종들에 비해 자주 수입되고 있고, 안윤가넨시스, 파르불루스 역시 수입되었었다. 독일 아쿠아리움 글래셔의 열대어 공동구매 리스트에 팔루디콜라, 안윤가넨시스, 데이스네리가 올라오는 경우가 있지만 흔치 않고, 대부분 구나와니나 빈탄이 올라올 뿐만 아니라 그마저도 누락인 경우가 더 많다. == 번식 == 수중에 거품집을 만들어 번식하는 버블네스터이다. 수면보다는 수중의 구조물이나 잎이 넓은 수초에 거품집을 짓는 것을 선호한다. [[야생베타 #s-3|코키나 그룹]]의 베타들과 꽤나 유사한 번식 방법을 가지고 있다. [* 굳이 차이점을 찾자면, 리코리스 구라미 중에는 마우스브루딩을 하는 종이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