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영단어 == Recovery. '회복'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는 명사다. 회복이라는 의미 때문인지 판타지 세계나 히어로물에서 회복기나 회복능력을 지닌 히어로에게 이런 이름이 붙는 경우가 많다. [[리커버리 걸]], [[리커버리 소서러]], [[마나 리커버리]], [[링크 리커버리]]가 대표적인 예. 민법상으로는 ‘원상회복’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는 취소(voidance)로 인한 급부부당이익반환과는 조금 다른 개념이다. Recovery는 해제(reacission)의 결과이다. 전자로 인한 부당이익 반환은 선의일 경우, 잔존가치의 한도 안에서만 반환하고 악의일 경우 전부 다 (+ 이자) 반환해야 한다. 후자로 인한 recovery는 선의, 악의에 불문하고 전부 다 (+ 이자)인 경우를 말한다. --[[랜섬웨어]]에 걸리면 이 단어가 이름에 들어간 파일을 오질나게 볼 수 있다-- ==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의 복구모드 == 정확한 명칭은 [[안드로이드 리커버리]] 이며 주로 공장 초기화[*주의 최신 디바이스의 경우 별도의 설정을 하지 않고 이 곳에서 공장 초기화를 진행할 경우 FRP(Factory Reset Protection) 기능에 의해 초기 설정시 이전에 로그인했던 구글 계정이 강제된다. 개발자 옵션에 들어가서 따로 OEM 잠금해제 조치를 하거나 초기화 전 구글 계정을 삭제해야하는 조치가 필요하다.]및 커스텀 리커버리를 통한 루팅 바이너리 설치나 커스텀 롬 설치에 사용된다. 안드로이드의 순정 복구모드는 소프트웨어 OTA 업데이트를 위한 기능이 주가 되며, OTA 파일의 검증 기능 때문에 임의 수정된 zip 파일을 올릴 수 없어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사용 할 수 있는 기능은 기기 초기화나 캐시 삭제 정도의 간단한 기능 뿐이다. 그래서 탄생한 것이 커스텀 리커버리인데, 이 커스텀 리커버리는 풀와잎[* 기기 초기화, 달빅 캐시 삭제, 캐시 삭제등을 통칭하는 것이다.]는 물론 커스텀 롬이나 루팅 펌웨어를 플래싱하여 루팅을 할 수 있다. 예전엔 테마나 앱을 바꾸는 데도 커스텀 리커버리가 쓰였다. 종류는 [[안드로이드 리커버리#s-3.1|CWM]], [[TWRP]], [[안드로이드 리커버리#s-3.2|Philz Touch]]가 있으며, CWM 기반 커스텀 리커버리는 현재 업데이트가 끊긴지 오래라 주로 TWRP가 쓰이는 편. 삼성 기기의 경우 커스텀 리커버리를 올리면 [[삼성 KNOX]]가 깨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다른 제조사의 기기도 부트로더 언락이 되어 있지 않다면 커스텀 리커버리 플래싱이 불가능 하거나 언락후 플래싱 하더라도 해당 기기의 보증이 무효화 될 수 있다. == [[에미넴]]의 7번째 정규 앨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Recovery)] == [[슬레이어즈]]의 마법 == 일단은 초급 백마법으로 분류가 되긴 하지만, 작가에 따르면 실제로는 정령마법이다.[* 사실 백마법 자체가 뭔가 좀 정화, 치유계의 정령마법들을 연구해 만들어진 마법이니 그럴 수밖에...--신성마법 대체용이기도 하고--] 엄청나게 기본적인 마법으로 누구나 주문만 외우면 쓸수 있다. 신전에 가서 돈 내면 가르쳐 준다. 그 때문에 신관들은 물론 웬만한 여행자들은 거의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마도사 협회에서 더 잘 알테지만 왠지 신전에서 가르쳐준다고 한다. 그 이유로 추정해 볼 수 있는건, 대부분의 회복계마법은 마도사 협회에서 만들어내서 신전에 입막음비 포함해서 ~~신도 모집용으로~~ 거액에 팔아넘기고 있기 때문에, 의리상 제자가 아닌 일반 손님에게는 리커버리를 가르쳐주지 않는 모양. 간단히 설명하면 개인의 재생력을 극대화시키는 주문이다. 덕분에 상처가 곧바로 재생된다. 그러나 문제는 이건 술자 등 외부에서 공급되는 기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피술자의 체력을 재생력으로 전환하는 것이라, 체력이 떨어진 상황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탈진 할 수 있고, 중상을 이 주문으로 치료할 경우 며칠간 움직이지 못하게 되거나 심지어 그대로 죽을 수도 있다. 그래서 파티에서 유일하게 고급 백마법을 쓸 줄 아는 아멜리아가 중상으로 뻗어 있을 때, 리커버리 밖에 쓸 줄 모르는 리나는 발만 동동 구를 수 밖에 없었다. 또한 병도 치료 불가능하다. 썼다가는 오히려 병균의 재생력을 극대화시켜서 더욱 병을 활성화시키게 되기 때문이다(…). --암환자에게 써도 안 될것 같다-- 실제로 [[리나 인버스]]는 감기에 걸린 언니에게 자랑스레 리커버리를 걸었다가, 순식간에 폐렴으로 발전시켜 죽도록 맞았던 과거가 있다. 애니판에선 리나의 [[축복의 검]]에 중상을 입고 [[플라군]]에 박혀버린 복제레조에게 [[실피르]]가 이 주문을 걸어 결국 최후를 맞이하게 했다.[* 실피르는 이 주문의 상위호환인 레저렉션을 쓸 수 있었는데도 플라군에게 리커버리를 걸었는데, 그 이유는 플라군이 상처를 입은 상태에서 회복을 시도하기 위해 주변의 독기를 흡수하려든다는 특성을 지닌 것을 노린 것이다. 그래서 상처입은 플라군의 몸체에 복제 레조가 접촉한 상태에서 (정확히 복제 레조는 축복의 검에 꿰였고 그 축복의 검이 플라군에게 박힌 것.) 리커버리를 걸어버리자 플라군은 자기치유를 하겠답시고 '''가장 가까이에 있는 독기 덩어리인''' 복제 레조의 기를 --흡성대공-- 빨아들이기 시작했다.] 상위주문은 [[레저렉션]]. 이쪽은 리커버리와 달리 중상도 치료 가능. == [[이세계는 스마트폰과 함께]]의 마법 == [[파일:recovery111.jpg]] 주인공 [[모치즈키 토야]]가 사용하는 무속성 마법으로 원래 사용자는 스우의 외할아버지인 에드워드. 모든 상태이상계 변화나 몸의 이상을 치유할 수 있다. 어떤 병원체의 원인으로 인한 후유증도 치료가능. 어지간한 [[불치병]]이나 독, 상처, 심지어 장애마저도 간단히, 그것도 노 코스트로 치유하는 사기로 떡칠된 마법. 다만 감기 등의 일부 질병이나 뱃멀미, 생리 등은 효과 범위에 안 들어간다. 아무런 복선도 없이 갑자기 초반부터 주인공이 사용하는데다가, 눈이 보이지 않는 사람이나, 다 죽어가는 사람마저 살려내는 [[무안단물]]급 어처구니없음에 네타화되었다. 독에 걸려 사경을 헤메던 벨파스트 국왕을 단숨에 완쾌시키고, 눈이 멀어버린 알프레드 아내가 한번에 눈을 뜨는[* 알프레드의 딸 스우시는 이 마법을 해명해 습득하려고 여행까지 떠났는데 토야때문에 완전히 삽질이 되어버렸다.] [[기적]]을 마치 상점에서 돈 주고 물건사듯 쓰는걸 [[http://web.humoruniv.com/board/humor/read.html?table=thema2&number=891612|보면 할 말이]] [[http://www.dogdrip.net/161167504|없을 지경]]. 전혀 거룩함이나 신비함이 느껴지지 않는 썰렁하기 짝이 없는 싸구려 연출은 덤. 워낙에 유명세가 컸던지라 다른 판타지 매체의 리커버리를 간단히 묻어버릴 정도가 되었으며, [[이세계물]]에서 주인공이 손쉽게 [[데스마치에서 시작되는 이세계 광상곡/평가|사람을 치유]]하거나 살리는 장면이 나오면 리커버리 짤방이 올라올 정도로 유명해졌다. 주인공 [[편의주의]]밖에 없는 현재의 이세계물의 막장성을 함축적으로 상징하는 마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게다가 이세계 [[스마트폰]]이라면서 2항목의 리커버리하고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세계는 스마트폰과 함께, version=869)] [[분류:동음이의어]][[분류:슬레이어즈/마법]][[분류:이세계는 스마트폰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