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리원철산역'''}}} || ||<-3> [include(틀:지도, 장소=북한 리원역, 너비=100%, 높이=225px)]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Riwŏn Ch'ŏlsan || || [[한자]] ||<-2> 利原鐵山 || ||<-3> '''주소''' || ||<-3> [[함경남도]] [[리원군]] 활석로동자구 || ||<-3> '''관리역 등급''' || ||<-3> 불명[br](함흥철도총국) || ||<-3> '''운영 기관''' || || [[리원선]]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로고.svg|width=120px]]]] || ||<-3> '''개업일''' || || [[리원선]] ||<-2> 1929년 9월 20일 || ||<-3> '''철도거리표''' || || {{{#585858 {{{#!html
기점
}}}}}} || '''[[리원선]]'''[br]리원철산 || [[차호역|{{{#585858 {{{#!html
차호 방면
}}}}}}]][[라흥역|라 흥]][br] 3.0 ㎞ → || {{{+1 利原鐵山驛 / Riwŏn Ch'ŏlsan Station}}} == 개요 == [[리원선]]의 철도역. [[함경남도]] [[리원군]] 활석로동자구 소재. 활석이 많이 채취된다고 해서 활석로동자구이다. 하지만 라흥로동자구에 비해 마을이 작다 못해서 초라한 수준. 서쪽에 있는 삼봉에서부터 생긴 언덕 지형 때문에 마을이 모일 공간이 작아서 그렇다. 뭐 뭉쳐 봤자 라흥로동자구의 겨우 절반이 될까말까한 크기이긴 하지만. == 상세 == 서쪽의 언덕을 개간해서 일부분을 밭으로 쓰고 있기는 하지만 그 반대급부로 삼림이 모조리 깎여나가서 [[구글 어스]]상으로 보았을 때 상당히 보기가 흉하다. 삼림자원이 복구되려면 한 몇십 년 걸릴 듯. [[라흥역]]에서 3.0km 떨어져 있다. 1941년 발행된 조선열차시각표에서는 3.0km 떨어져 있다고 나와 있는데, 구글 어스상으로 측정하면 3.8km가 맞다. 다만 현재 이 역은 폐역되었을 가능성도 꽤 높으며, 상세한 사정은 [[리원선]] 문서를 참고할 것. [[분류:북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