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CHAOS)]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IORUSHBOSJ30.jpg|width=100%]]}}} || || '''{{{+5 {{{#FFFFFF [br] LIO RUSH}}}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리오러쉬프로필.png|width=100%]]}}} || || '''링네임''' || LI Green [br] Lennon Duffy [br] '''Lio Rush''' || || '''본명''' || Lionel Gerard Green [br] (리오넬 제라드 그린) || || '''생년월일''' || [[1994년]] [[11월 11일]] ([age(1994-11-11)]세) || || '''신장''' || 168cm (5' 6") || || '''체중''' || 72.5kg (161lbs) || || '''출생지'''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메릴랜드|메릴랜드주]] [[https://www.google.com/maps/place/%EB%AF%B8%EA%B5%AD+20706+%EB%A9%94%EB%A6%B4%EB%9E%9C%EB%93%9C+%EB%9E%9C%ED%96%84/@38.9700303,-76.8666375,16z/data=!4m15!1m8!3m7!1s0x89b7c1a2998f46ed:0x91b4cd2845dff6f7!2z66-46rWtIDIwNzA2IOuplOumtOuenOuTnCDrnpztloQ!3b1!8m2!3d38.9685112!4d-76.8620327!16zL20vMDI0cTJx!3m5!1s0x89b7c1a2998f46ed:0x91b4cd2845dff6f7!8m2!3d38.9685112!4d-76.8620327!16zL20vMDI0cTJx?entry=ttu|랜햄(Lanham)]] || || '''경기 스타일'''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하이 플라이어|하이 플라이어]]''' || || '''별명''' || Man of The Hour[* 이걸 앞자만 따와서 'MOTH'로 줄이는 경우도 있었다. MOTH가 영어로 '나방'이란 뜻을 가진 만큼 나방 컨셉의 링기어를 착용하기도 했다.] [br] '''[ruby(The Bad Child, ruby=ザ・バッド・チャイルド)]'''[* 2022년 11월, 본격적으로 신일본 참전을 시작할 즈음부터 변경한 별명.] || || '''[[피니시 무브]]''' || 러쉬 아워[* 스프링보드 스터너. 일반적인 스터너와 다르게 맨 하단의 서드 로프에 양 다리를 모은 상태에서 로프반동을 한 후, 그 반동을 이용해 스터너를 찍는다.] [br] '''[[프로그 스플래쉬|파이널 아워]]'''[* 스플릿 레기드 프로그 스플래쉬.] || || '''테마곡''' || [[https://www.youtube.com/watch?v=wCuJj4vhUOY|I Came to Collect]] (2017 - 2020.4)[* WWE 활동 당시 사용하던 테마곡.] [br] [[https://www.youtube.com/watch?v=RJilX5fANOw|Entrance (feat. Nick Brodeur)]] - 리오 러쉬 [br] (2021.11 - 2022.2)[* AEW 활동당시 사용하던 테마곡.] [br] [[https://www.youtube.com/watch?v=cm5ySiUWG0I|Best Thing Out]] - "[* 리오 러쉬 본인이 만든 곡. 2021년 5월 AEW 첫등장 때 사용하였으며,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미국 브랜드인 [[NJPW STRONG]]의 2021년 10월 방영분부터도 사용하였다.] [br] '''[[https://www.youtube.com/watch?v=fKXxwc3-vQc|Bad Child]] (feat. 리오 러쉬) - DRETT1 (2022.11 - )''' || || '''데뷔''' || 2014년 10월 11일 (19세) [br]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콜데이 [[https://www.google.com/maps/place/%EC%BD%9C%EB%8D%B0%EC%9D%B4+%EC%BD%A4%ED%94%8C%EB%A0%89%EC%8A%A4/@40.8206837,-75.9123442,17z/data=!3m1!4b1!4m6!3m5!1s0x89c5bbd4ce3ad69b:0xecea3039492c2556!8m2!3d40.8206837!4d-75.9097693!16s%2Fg%2F11qg5v8v30?entry=ttu|콜데이 컴플렉스]] [br] '''WXW C4'''[* World Xtreme Wrestling C4. [[아노아이 가문]]의 사무 아노아이와 사무의 동생인 [[아파 아노아이 주니어]] 소유의 단체.] Zoostock 2014 [br] vs 데인저 제임슨 || || '''SNS''' || [[https://www.youtube.com/@LioRushFeelTheRush|[[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https://www.facebook.com/li.green.75/|[[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iamliorush/|[[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iamliorush, 크기=24)] || || '''주요 경력''' || CZ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br]CZW 와이어드 챔피언 2회[br]MCW 태그팀 챔피언 1회[br]아이언맨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br]HOG 크라운 주얼 챔피언 1회[br]MLW 월드 미들웨이트 챔피언 1회[br]MCW 레이지 챔피언 1회[br]MCW 태그팀 챔피언 1회[br]NXT UK 챔피언십 인비테이셔널 토너먼트 우승(2018)[br][[NXT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NXT 크루저웨이트 챔피언]] 1회[br][[임팩트 X 디비전 챔피언십|임팩트 X 디비전 챔피언]] 1회[br]PWI 2020년 탑 500위 싱글 레슬러 랭킹 99위 || [목차] == 개요 == [youtube(j72Pm2A6jXQ)] 前 [[WWE]], [[올 엘리트 레슬링|AEW]] 소속이었고 현재는 프리랜서 신분의 경량급 프로레슬러. 수많은 단체에서 트러블메이커 취급을 받는 계기가 된 자타공인 [[유리멘탈]]에도 불구하고, 최상급 스피드를 기반으로 한 출중한 실력으로 경량급 프로레슬러가 모자라는 단체에서 군침을 흘리게 만드는 독이 든 성배같은 프로레슬러이다. == 커리어 == === 인디 시절 (2014~2017) === [[파일:10d6156c25f23f897f0e6994cfaf491adc7c9f21_hq.jpg|width=600]] 2014년 독립단체에서 데뷔한 리오 러쉬는 MCW에서 [[벨베틴 드림|패트릭 클락]]과 함께 서든 임팩트라는 태그팀을 결성하여 활동했고, 태그팀 챔피언십도 지낸 경력이 있다. 타이틀을 잃은 뒤로는 이볼브, [[PWG]]등 여러 단체를 돌아다니며 경력을 쌓았으며, [[CZW]]에서는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까지 획득했다. === [[WWE]] (2017~2020) === [[파일:Lio_Rush_stat--131b59f17b86fded18dab9965c7a04a5.png|width=180]] 2017년 9월, WWE와 계약을 맺고 [[NXT]]에 데뷔한다. 10월 TV에 첫 모습을 보였으며, 데뷔전의 상대는 [[알레이스터 블랙]]이였으나, [[벨베틴 드림]]의 습격으로 경기는 노 컨테스트 처리된다. 그 다음주 벨베틴 드림과 1:1 경기를 치루면서 데뷔전 상대는 드림이 되었다. 경기는 패배했다. 1년만인 2018년 6월, [[205 라이브]]에 등장하며 메인 로스터로 콜업된다. 9월에는 갓 턴힐한 [[바비 래쉴리]]의 매니저로 등장했으며, 이후로도 205와 RAW를 병행해서 출연중이다. RAW에서는 래쉴리 옆에서 어그로를 끄는 매니저 역할이지만, 205 라이브에서는 경기 위주의 레슬러로서 RAW에서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205에서는 루차 하우스 파티와 대립을 하고 있으며, 로얄럼블에서 펼쳐지는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출전권을 놓고 [[칼리스토(프로레슬러)|칼리스토]]와 경기를 펼쳤지만 아쉽게 패배했지만, 2주 뒤에는 린세 도라도를 상대로 승리하며 루차 하우스 파티에 어느정도 설욕했다. 2019년 2월 4일 RAW에서 원래 래쉴리가 [[핀 밸러]]를 상대해야 했지만 리오 러쉬가 대신 출전. 부상당한 밸러를 밀어붙이지만 파이널 아워 오폭 후에 쿠 데 그라를 맞고 패배했다. 다음날 205 라이브에도 출연. [[엘리미네이션 챔버 2019]]에서 [[버디 머피]]의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도전자를 결정짓는 4자간 제거 경기에 참가했지만 제일 먼저 제거당했다. 엘리미네이션 2019에서 바비 래쉴리와 태그를 맺고, 핀 밸러를 상대. 경기가 유리해지자 다소 이기적인 태그를 하며, 경기를 하다 핀 밸러의 한 수위 실력에 밀리고, 마무리 쿠 드 그라를 맞고 패배 바비가 챔피언십을 잃게 만든다. 경기 후 바비는 바로 리오 러쉬를 공격하며, 바비와의 동행도 해체된거 같았으나, 다음 날 멀쩡히 같이 출연해 다시 태그를 맺고 경기를 가졌지만, 이번에도 본인이 핀을 당하고 패배한다. 바비는 그냥 먼저 나가버린다. 그 다음 주에는 [[알렉사 블리스]]가 호스트인 모멘트 오브 블리스에 난입해, 밸러에게 인터컨티넨탈 챔피언 자격이 없으며, 자격은 래쉴리에게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밸러가 역으로 리오 러쉬를 도발하고, 옆의 알렉사 블리스까지 거들자 리오 러쉬는 도발에 넘어가 밸러의 IC 챔피언십에 도전하지만, 또 다시 패배한다. 3월 11일 안보이다가 갑자기 나타나서는 핀 밸러의 시선을 끌었고, 그가 패배하게 하는데 일조하여, 바비의 타이틀을 되찾게 한다. 4월 7일 [[레슬매니아 35]]에서 래쉴리와 코너에 섰지만, 데몬 킹 기믹으로 돌아온 밸러에게 트라우마가 생겼는지 도움을 주지 못하고 결국 래쉴리가 무력하게 패배하는 것을 지켜보기만 했다. 그 이후로는 잘 등장하지 않고 있는데, 최근 백스테이지에서 거만에 찬 태도 때문에 구설수를 일으켜 곧 RAW에서 방출될 것이라는 뉴스 기사가 나왔다. 그리고는 전혀 등장하지 않는걸보니 사실상 퇴출 수순을 밟고 있는 듯 했지만 2019년 9월 18일에 방영된 NXT를 통해 복귀하면서 [[오니 로컨]]을 상대로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넘버원 컨텐더 매치에서 승리를 거두면서 10월 9일에 방영된 NXT에서 [[드류 굴락]]과 격돌, 승리를 거두며 새로운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에 등극한다. 토니 니스와 마찰이 벌어지는 상황에 NXT에서는 [[엔젤 가르자]]와 대립이 진행되면서 토니 니스를 이기고 도전자가 된 엔젤 가르자와의 경기에서 승리를 거둔다. [[서바이버 시리즈 2019]]에서 [[토자와 아키라]] & 칼리스토를 상대로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트리플 쓰렛 매치에서 승리를 거두며 NXT에 첫 승점을 안겼다. 엔젤 가르자와의 대립이 계속되면서 12월 11일에 방영된 NXT에서 타이틀을 걸고 재격돌하지만 패배하면서 챔피언 벨트를 잃었다. 2주 후 크리스마스 특집 때 [[키스 리]]와 팀을 이뤄 [[토니 니스]] & [[데미안 프리스트]]를 상대로 승리한다. 그러나 그 이후 크루저웨이트 전선에서 멀어지면서 몇 차례 경기만 뛰다가 205 라이브에서 새 크루저 웨이트 챔피언 [[조던 데블린]]에게 패한다. 2월 12일 NXT에서 엔젤 가르자를 꺾고 크루져웨이트 챔피언십 도전권을 차지하면서 19일에 조던 데블린을 상대로 타이틀전을 치루지만 패배하면서 챔피언 등극에 실패한다. 205에서 자신이 이끄는 팀 멤버들([[오니 로컨]] & [[대니 버치]] & [[아이재이아 스캇]] & [[타일러 브리즈]])과 토니 니스가 이끄는 팀 멤버들([[마이크 카넬리스]] & [[브라이언 켄드릭]] & [[아리야 디바리]] & [[잭 갤러허]])이 격돌하게 될 예정이었지만 리오 러쉬가 우울증으로 잠시 활동을 중단하면서 빠지게 된다. 2020년 4월에 해고러쉬 명단에 포함돼 WWE에서 방출된다. === 방출 후와 1차 은퇴 === 방출 후 프로레슬링 은퇴에 대해 시사했으며, 인터넷에 자신이 레슬러 시절 입던 복장까지 중고 매물로 올려놓았다. 확실히 은퇴할 생각을 굳힌 듯.[* 그리고 최근 힙합 경력에 대한 트윗을 많이 올렸는데 이로 인해 힙합 가수로 전직하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그런데, [[조이 자넬라]]의 GCW에 깜짝등장하였다! 추측컨데, 훼이크였거나. 아니면 자넬라가 설득한 것으로 보인다. === [[NJPW STRONG]] === 이후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미국 무관중 대회인 [[슈퍼 J컵 2020]]에 출전한다. 그리고 멋진 프로모와 함께 기대를 모았으나, 2019년 우승자인 [[엘 판타즈모]]와 1회전에서 붙어, 패배하며 허무하게 광탈한다. 이후 판타즈모와 대립하였고, 2021년에 뉴 재팬 컵 USA 2021에 출전하기 위한 예선 경기를 치룬다. AEW에서 열린 [[더블 오어 나씽 2021]]에 벌어진 카지노 배틀 로얄의 마지막 참가자 조커로써 미스터리 인물로 등장하지만 [[매트 하디]]에게 탈락된다. === 2차 은퇴 === 6월 8일 본인의 트위터를 심각한 부상으로 인해 일상에 불편함이 있다며, 은퇴 선언을 했다. 그러나 6월 20일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8월 14일 개최 예정인 이벤트 출전자 명단에 리오 러쉬의 이름이 들어갔다고 한다. 리오 본인이 밝히길 은퇴 선언 이전에 참여하겠다고 약속을 했었기 때문에, 약속한 경기는 참가하겠다고 말했다. === 번복, AEW행 === 9월 29일 다이너마이트에 데뷔하면서 은퇴를 또 한번 번복했다. 이후 AEW 트위터에 정식 계약이 [[https://twitter.com/AEW/status/1443384287236136960|발표되었다]]. 떠오르는 신성 단테 마틴의 에이전트를 자처하면서 붙어다니지만 단테 마틴 본인은 반신반의하는 눈빛으로 바라보는 중. 그러나 2022년 [[빅 스월]]의 개소리에 동조하면서 평판을 깎아먹었다.[[https://m.dcinside.com/board/wwe/2153680|#]][[https://m.dcinside.com/board/wwe/2154105|#]] 이 때문인지 1월 12일 다이너마이트에서 단테 마틴이랑 같이 출연하지 못했다. 특히 해당 방영분에서 [[제이 리썰]]이 단테 마틴을 도와주러 나오면서 사실상 로스터에서 배제되었다. 이후 토니 칸과 잘이야기 하여 빅스월 관련 이야기는 어찌 잘 풀어나갔다지만[[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wwe&no=2164894|#]] 재계약에서는 배재되었는지 2월 14일부로 계약이 만료되었다.[[https://twitter.com/IamLioRush/status/1484908157428113408?s=20|#]] === 또 다시 은퇴? 가 아닌 신일본 === 결국 또 은퇴하겠다는 듯이 간을 보더니 신일본 워싱턴 대회에 등장해 신일본 주니어를 제패하겠다는 포부를 내놨다. 그리고 10월 말에 펼쳐진 신일본 뉴욕 대회에서 [[하우스 오브 토쳐]]에게 공격당하는 [[YOH]]를 구출하며 본격적으로 모습을 드러냈고 CHAOS에 가입. YOH와 태그를 결성하여 예전 SHO와 YOH의 태그 피니셔인 3K까지 그대로 사용한다. 이후 [[히스토릭 크로스오버]]를 통해 커리어 첫 일본에서 경기를 가졌고 이어지는 [[슈퍼 주니어 태그 리그 2022]]에 YOH와 함께 출전한다. [[멀티버스 유나이티드 2023]]에서 [[KUSHIDA]]와의 경기가 확정되지만 패한다. 6월에 [[임팩트 레슬링]]에 등장한 리오 러쉬는 [[잭 프라이스]]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고 [[크리스 세이빈]]을 공격하면서 X 디비전 챔피언 자리를 노리는 모습을 보이면서 [[슬래미버서리 2023]]에서 크리스 세이빈과 X 디비전 챔피언십 매치로 맞붙어 승리를 거두며 새로운 X 디비전 챔피언에 등극한다. [[멀티버스 유나이티드 2]]에서 [[트레이 미겔]]과 팀을 이뤄 [[마이크 베일리]] & [[타카하시 히로무]]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고, [[이머전스 2023]]에서는 [[불리 레이]] & [[무스(프로레슬러)|무스]] & [[브라이언 마이어스]]와 팀을 이뤄 조쉬 알렉산더 & 모터 시티 머신건즈 & 쿠시다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빅토리 로드 2023]]에서는 X 디비전 챔피언십 도전권한을 가진 쿠시다를 상대로 X 디비전 챔피언십 매치를 벌여 이번에도 승리를 거둬 챔피언 자리를 방어했고, 9월 14일 임팩트 레슬링 1000회 특집에서 크리스 세이빈을 상대로 챔피언십 대진이 잡히면서 맞붙지만 패하면서 챔피언 자리를 잃는다. 마이크 베일리가 타카하시 히로무의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에 도전할 도전자로 지명된 상황에 멀티버스 유나이티드 2에서 리오 러쉬가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자리에 대한 도전의사를 밝히며 [[디스트럭션 in 료고쿠 2023]]에서 벌어질 챔피언십 매치는 트리플 쓰렛 매치로 벌어질 예정이었지만 리오 러쉬는 컨디션 상태가 좋지 않아 불참하면서 리오 러쉬 자리는 [[YOH]]로 변경된다. == 여담 == [[파일:liorushmarried.jpg|width=600]] * 2018년 12월에 사귀던 여자친구와 결혼식을 올렸으며 슬하에 3남을 두고 있다. 3명이나 되는 아이의 육아 경험이 있어서인지, 2023년 [[베스트 오브 더 슈퍼 주니어 30]] 기간 도중 5월 16일 메인이벤트 [[이시모리 타이지]] 전에서 승리한 후, 관중석 맨 앞의 아이 둘과 함께 온 관중에게 팬 서비스를 해주며 관중의 갓난아이를 능숙하게 다루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아내가 NXT에서 관중석에서 모습을 드러내기도 했는데, 이때 상대인 [[엔젤 가르자]]가 바지를 앞에서 찢어서 내던지는 퍼포먼스로 조롱하였고 리오 러쉬는 분노하여 가르자를 공격했다. 결국 가르자는 패배했고, 카메라가 꺼진 이후 리오 러쉬의 아내와 말다툼을 벌이다가 욕과 함께 키스를 후 부는 것으로 조롱하곤 퇴장해버렸다. 이후 결국 가르자는 리오 러쉬를 상대로 [[NXT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벨트를 빼앗아 온다.[* 아이러니하게도 가르자는 챔피언에 등극한 이후, 자신의 여자친구에게 청혼하여 가정을 꾸렸다. 스토리상 남의 아내를 조롱하며 챔피언이 된 후 자신은 아내를 얻은 셈.] * 자신의 배에 문신으로 새겨놓은 구절들은 리오의 어머니가 일찍이 세상을 뜬 리오의 형, 로렌조를 위해 쓴 시이다. 리오는 자신에게 형이 있었다는 사실을 고등학교 입학일에 어머니가 말해줘서 알게 되었다고 한다. * 랩에 대한 열정은 상당한 편. 크게 히트한 곡은 없지만 자신이 직접 만든 랩을 자신의 테마곡으로 삼고, 스스로 곡을 만드는 걸 넘어 다른 아티스트들과 협업하는 등 활동을 계속해오고 있다. 이 때문인지 본인이 랩 하는 것을 좋아한다는 비슷한 공통점을 가진 신일본 해외 메인 부커 [[록키 로메로]], 그리고 종합적으로 예술욕이 있는 [[YOH]]와 사이가 좋아진 것으로 보인다. * 잦은 은퇴 후 번복부터, 노 셀링 문제를 일으킨 적도 있는 등 행실 문제가 많이 나오는 편으로, 항상 워크 에씩이 마이너스 수준으로 꼽히는 선수다. == 둘러보기 == ||<-5> [[파일:K_ymJtlw.jpg|width=200]] || ||<-5> '''MCW 샘락 컵 토너먼트 우승자''' || || 드로릭스[br](2014) || → || '''리오 러쉬[br](2015 ~ 2016)''' || → || 조이 매튜스[br](2017) || ||<-5> [[파일:ROH-Top-Prospect-Tournament-645x348.jpg|width=300]] || ||<-5> '''ROH 탑 프로스펙트 토너먼트 우승자''' || || [[도미닉 다이자코빅|도노반 다이작]][br](2015) || → || '''리오 러쉬[br](2016)''' || → || [[조쉬 우즈]][br](2017) || ||<-5>
[[파일:신일본 프로레슬링 로고.svg|width=20]] {{{#white '''역대 [[슈퍼 주니어 태그 리그|{{{#white 슈퍼 주니어 태그 리그}}}]] 우승자'''}}} || || [[슈퍼 주니어 태그 리그 2021|{{{#000000 '''2021'''}}}]] || {{{#000000 →}}} || [[슈퍼 주니어 태그 리그 2022|{{{#000000 '''2022'''}}}]] || {{{#000000 →}}} || [[슈퍼 주니어 태그 리그 2023|{{{#000000 '''2023'''}}}]] || || [[스즈키군|{{{#000000 스즈키군}}}]] [br] [[엘 데스페라도|{{{#000000 엘 데스페라도}}}]] & [[카네마루 요시노부|{{{#000000 카네마루 요시노부}}}]] || {{{#000000 →}}} || '''{{{#000000 YOH}}} & [[리오 러쉬|{{{#000000 리오 러쉬}}}]]''' || {{{#000000 →}}} || [[UNITED EMPIRE |{{{#000000 Catch 2/2}}}]] [br] [[TJP|{{{#000000 TJP}}}]] & [[프란시스코 아키라|{{{#000000 프란시스코 아키라}}}]] || [[분류: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1994년 출생]][[분류:프린스조지스 카운티 출신 인물]][[분류:2014년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