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리암 로슨의 우승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 '''2016-17 뉴질랜드 F1600 챔피언십 시리즈 종합우승''' || || 2015-16[br][include(틀:국기, 국명=뉴질랜드, 출력= )]마이클 스콧 || → || '''2016-17[br][include(틀:국기, 국명=뉴질랜드, 출력= )]리암 로슨''' || → || 2017-18[br][include(틀:국기, 국명=뉴질랜드, 출력= )]칼럼 헷지 || ------ ||<-5> '''2019 토요타 레이싱 시리즈 종합우승''' || ||<-5><#000> [[파일:Toyota Racing Series logo.jpg|width=30%]] || || 2018[br][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출력= )]로베르트 슈와르츠만[br](M2 컴페티션) || → || '''2019[br][include(틀:국기, 국명=뉴질랜드, 출력= )]리암 로슨[br](M2 컴페티션)''' || → || 2020[br][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 출력= )]이고르 프라가[br](M2 컴페티션)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리암 로슨 슈퍼 포뮬러 프로필.webp|width=100%]]}}} || ||<-3> '''{{{#fff 팀}}} {{{#e51837 무겐 No. ''15''}}}''' || ||<-3> '''{{{#fff 스쿠데리아}}}''' {{{#fff 알파}}}'''{{{#fff 타우리 No. 40}}}''' || ||<-3> '''{{{#fff {{{+1 리암 로슨}}}}}}[br]{{{#fff Liam Lawson}}}''' || ||<-2> {{{#23395d '''출생'''}}} ||[[2002년]] [[2월 11일]] ([age(2002-02-11)]세) [br] {{{-1 [[뉴질랜드]] 헤이스팅스}}} || ||<-2> {{{#23395d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뉴질랜드)] || ||<-2> {{{#23395d '''신체'''}}} ||174cm || ||<|3> {{{#23395d '''소속'''}}} || {{{#23395d '''[[DTM]]'''}}} ||[[AF 코르세|레드불 AF 코르세]] (2021) || || {{{#23395d '''[[슈퍼 포뮬러]]'''}}} ||[[무겐 모터스포츠|팀 무겐]] (2023~) || || {{{#23395d '''[[포뮬러 1]]'''}}} ||[[오라클 레드불 레이싱]] (2022~^^테스트/리저브 드라이버^^)[br][[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 (2022~^^테스트/리저브 드라이버^^)[br][[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 (2023~)[* [[포뮬러 1/2023시즌/14R~18R|2023 네덜란드 그랑프리 FP2 세션]] 도중 3번 코너에서 충돌하여 중수골이 골절되는 부상을 입은 [[다니엘 리카도]] 대신 출전한다.] || ||<-2> {{{#23395d '''SNS'''}}} ||[[https://www.instagram.com/liamlawson30/|[[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LiamLawson30, 크기=24)] || ||<-3> {{{#23395d '''[[F1]] 커리어'''}}} || ||<-2> {{{#23395d '''레이스 엔트리'''}}} ||<|2>3경기 || ||<-2> {{{#23395d '''레이스 스타트'''}}} || ||<-2> {{{#23395d '''월드 챔피언'''}}} ||0회 || ||<-2> {{{#23395d '''그랑프리 우승'''}}} ||0회 || ||<-2> {{{#23395d '''포디움'''}}} ||0회 || ||<-2> {{{#23395d '''폴 포지션'''}}} ||0회 || ||<-2> {{{#23395d '''패스티스트 랩'''}}} ||0회 || ||<-2> {{{#23395d '''첫 경기'''}}} ||[[포뮬러 1/2023시즌/14R~18R#s-2|2023]] [[파크 잔드보르트 서킷|네덜란드 그랑프리]] || ||<-2> {{{#23395d '''첫 그랑프리 우승'''}}} ||없음 || [목차] [clearfix] == 개요 == [[뉴질랜드]] 국적의 [[포뮬러 1]] 드라이버. [[오라클 레드불 레이싱|레드불]] 주니어 드라이버 프로그램 출신으로, F1 하위 카테고리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보여주고 있는 드라이버이다. 그 결과, 2023년 8월 27일 F1 네덜란드 GP에 부상을 당한 [[다니엘 리카도]]를 대신하여 F1에 데뷔하게 되었다. == 선수 경력 == === [[레이싱 카트|카트]] 선수 시절 === 7살 무렵에 처음으로 카트 커리어를 시작하였다. 어린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주니어 클래스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어나가기 시작했으며, 12살이 된 2014년엔 2개의 국내 카트 챔피언 타이틀도 석권하였다. === [[포뮬러 3]] 진출 이전 === 13살이 된 2015년에 국내 포뮬러 시리즈에 데뷔를 하게 되었다. 데뷔 첫 해부터 레이스 우승을 달성함과 동시에 10번의 포디움에 오르며 챔피언십 준우승을 차지하였고, 몇 달 뒤엔 뉴질랜드 포뮬러 퍼스트 챔피언십에 출전해 1승 3포디움을 차지하며 신인상을 획득하였다. 그리고 다음 시즌인 2016-17 시즌엔 F1600 시리즈에 출전해 15전 14승으로 대회를 휩쓸며 처음으로 챔피언 타이틀을 얻게 되었다. 2017년에는 옆 나라인 [[호주]]로 건너가 [[포뮬러 4]] 대회에 출전했다. 그리고 이 대회에서 별다른 적응 기간 없이 바로 5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챔피언십 준우승에 오르게 된다. 연이어 좋은 실력을 선보인 끝에 로슨은 [[오세아니아]] 대륙을 벗어나 유럽에 진출하였고, 2018년 독일의 [[ADAC F4 챔피언십]]에 데뷔하게 되었다. 여기서도 3번의 우승과 3번의 폴 포지션, 9번의 포디움에 오르며 또 한 번 챔피언십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연이어 좋은 성적을 거둠으로써, 로슨은 [[포뮬러 1]]의 [[오라클 레드불 레이싱|레드불]]로부터 눈길을 끌기 시작했다. 당시 인재풀을 넓힐 필요성을 느낀 레드불은 로슨에게 주니어 프로그램 계약서를 내밀었고, 마침내 로슨은 2019년 2월에 레드불과 주니어 드라이버 계약을 체결하였다. 다음으로 참가하게 될 [[포뮬러 3]]에서는 레드불 리버리와 함께 참여하게 되었다. === [[포뮬러 3]] === 리암 로슨은 2018년, Pinnacle motorsports 소속으로 F3 아시아 챔피언쉽에 참가하여 8위로 마쳤다. 그리고 이후 다음해인 2019년, MP 모터스포츠 소속으로 [[포뮬러 3|FIA 포뮬러 3 챔피언쉽]]에 참가하여 2019시즌을 11위로 마쳤다. 2020년에는 하이테크 그랑프리 소속으로 다시 한번 포뮬러 3에 참여하여 143점, 5위로 시즌을 마쳤다. === [[DTM]] === 2021년, 리암 로슨은 그의 [[포뮬러 2]] 첫 시즌에 참여하였으며 그 해에 [[DTM]]에도 참여하였다. 그는 [[오라클 레드불 레이싱|레드불]]이 후원하는 [[AF 코르세]]에 [[알렉산더 알본]]과 함께 참여하였다. 그리고 [[국립 몬차 자동차 경주장|몬자]], [[레드불링]]에서 우승하는 등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2위와 16포인트 차로 시즌 챔피언을 눈앞에 두고 있었다. 그러나 최종전에서 기묘한 사고와, 메르세데스의 컨스트럭터 몰아주기가 겹치며 리타이어, 시즌 2위로 마무리하고 만다. 이 때문인지 더이상 DTM에는 참여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히며 커리어를 마무리지었다. === [[포뮬러 2]] === 리암 로슨은 2021년, [[DTM]]에 참가함과 동시에 [[포뮬러 2|FIA 포뮬러 2 챔피언쉽]]에 참여하였다. 소속팀은 포뮬러 3에 이어 하이테크 그랑프리에서 레이스를 참여하였으며, 2021시즌을 9위로 마무리지었다. 그 다음해인 2022년에는 [[로건 사전트]]와 함께 칼린 모터스포츠 소속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2022시즌은 4승, 6번의 포디움 피니쉬로 149점, 3위라는 좋은 성적으로 마무리지었다. === [[슈퍼 포뮬러]] === 리암 로슨은 2023년, [[무겐 모터스포츠|팀 무겐]] 소속으로 [[슈퍼 포뮬러]]에 참여하였으며, 현재 챔피언쉽에서는 2위를 유지하고 있다. === [[포뮬러 1]] === 리암 로슨은 2022년부터 [[오라클 레드불 레이싱]], [[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 소속의 테스트/리저브 드라이버로 활동하고 있다. 2022년에는 알파타우리 소속으로 2022 멕시코 그랑프리 프랙티스 1 세션에, 레드불 소속으로 아부다비 그랑프리 프랙티스 1 세션, 포스트 시즌 테스트 등에 참여하였다. 그리고 [[포뮬러 1/2023시즌/14R~18R|2023 네덜란드 그랑프리]] 프랙티스 2 세션 도중, 알파타우리 소속의 드라이버 [[다니엘 리카도]]가 3번 존 후겐홀츠 코너에서 배리어에 충돌한 후 중수골이 골절되는 부상을 입으면서, 네덜란드 그랑프리 프랙티스 3부터 리카도를 대신하여 알파타우리 소속으로 첫 포뮬러 원 그랑프리에 출전하게 되었다. ==== [[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 ==== ===== [[포뮬러 1/2023시즌|2023 시즌]] ===== 14R 네덜란드 GP에서 프랙티스 세션 중 부상을 당한 [[다니엘 리카도]] 대신 출전하여 데뷔전을 치르게 되었다. 퀄리파잉에선 차량이나 트랙에 잘 적응을 못한 탓인지 20위를 기록하였으나, 레이스에선 웻 컨디션과 드라이 컨디션이 오가는 상황에서 리타이어하지 않고[* 처음부터 이번 레이스의 목표가 완주라고 인터뷰에서 이야기했다.] [[샤를 르클레르]]를 추월하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단 [[샤를 르클레르]]는 프런트 윙 손상으로 퍼포먼스가 떨어져 있었으며 이후 리타이어하였다.] 안정적으로 14위를 기록했으나 13위로 피니시한 팀메이트인 [[츠노다 유키]]가 5초 페널티를 받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13위로 기록되었다. 15R 이탈리아 GP에서 퀄리파잉 12위를 기록하고 레이스에서 11위를 기록하며[* 13위로 결승선을 통과했으나, 11위의 [[오스카 피아스트리]]와 12위의 [[로건 사전트]]가 각각 5초 페널티를 받아서 11위로 올라섰다.] 커리어 처음으로 프랙티스부터 레이스까지 참여한 그랑프리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16R 싱가포르 GP 퀄리파잉에서 [[막스 베르스타펜]]을 Q2에서 탈락시키며 Q3에 진출하였다! 퀄리파잉 순위는 10위를 기록하였으며 여러 억까를 당한 15위로 퀄리파잉을 마친 팀메이트 [[츠노다 유키]]보다 더 좋은 성적을 기록하였다. 그리고 포뮬러 1에 데뷔한 지 3경기만에 9위를 기록하며 포인트 피니시를 해냈다! 17R 일본 GP에서는 레이스에서 11위로 마쳐 아쉽게 포인트 획득에 실패했다. 18R 카타르 GP는 17위로 아쉬운 부진을 보였다. [[다니엘 리카도]]가 부상에서 복귀하게 되면서 카타르 GP가 이번 시즌의 마지막 레이스가 될 듯 하다. 18R 카타르 GP 주말 내내 고군분투하였지만 스프린트에서 스핀하였고 레이스에서는 마지막 순위인 17위로 완주했다. 이후 미국 GP에서는 [[다니엘 리카도]]가 회복함에 따라 리저브 드라이버로 다시 복귀했다. == 연도별 성적 == || '''{{{#ffffff 시즌}}}''' || '''{{{#ffffff 시리즈}}}''' || '''{{{#ffffff 팀}}}''' || '''{{{#ffffff 경기}}}''' || '''{{{#ffffff 우승}}}''' || '''{{{#ffffff 폴포지션}}}''' || '''{{{#ffffff 패스티스트 랩}}}''' || '''{{{#ffffff 포디움}}}''' || '''{{{#ffffff 포인트}}}''' || '''{{{#ffffff 순위}}}''' || || 2015 || 포뮬러 퍼스트 맨필드 윈터 시리즈 ||<|2> 사브르 모터스포트 || 12 || 1 || 1 || 1 || 10 || 631 ||<#cac4ce> '''2위''' || || 2015-16 || 뉴질랜드 포뮬러 퍼스트 챔피언십 || 24 || 1 || 0 || 1 || 3 || 1028 || 6위 || || 2016-17 || 뉴질랜드 F1600 챔피언십 시리즈 || 개인 출전 || 15 || 14 || 5 || 12 || 15 || 605 ||<#ffd700> '''1위''' || ||<|2> 2017 || 호주 포뮬러 4 챔피언십 || 팀 BRM || 21 || 5 || 1 || 1 || 12 || 300 ||<#cac4ce> '''2위''' || || 빅토리안 포뮬러 비 챔피언십 || JRD || 3 || 0 || 0 || 0 || 1 || 60 || 15위 || ||<|2> 2018 || [[ADAC F4 챔피언십]] || 판 아머스푸르트 레이싱 || 20 || 3 || 3 || 0 || 9 || 234 ||<#cac4ce> '''2위''' || || F3 아시아 챔피언십 || 피너클 모터스포트 || 3 || 3 || 2 || 3 || 3 || 75 || 8위 || ||<|4> 2019 || [[포뮬러 3]] ||<|2> MP 모터스포츠 || 16 || 0 || 0 || 0 || 2 || 41 || 11위 || || [[마카오 그랑프리]] || 1 || 0 || 0 || 0 || 0 || - || 7위 || || 유로 포뮬러 오픈 챔피언십 || 모토파크 || 14 || 4 || 2 || 1 || 7 || 179 ||<#cac4ce> '''2위''' || || 토요타 레이싱 시리즈 || M2 컴페티션 || 15 || 5 || 4 || 5 || 11 || 356 ||<#ffd700> '''1위''' || ||<|2> 2020 || [[포뮬러 3]] || 하이테크 그랑프리 || 18 || 3 || 1 || 1 || 6 || 143 || 5위 || || 토요타 레이싱 시리즈 || M2 컴페티션 || 15 || 5 || 4 || 7 || 10 || 356 ||<#cac4ce> '''2위''' || ||<|2> 2021 || [[포뮬러 2]] || 하이테크 그랑프리 || 23 || 1 || 1 || 2 || 3 || 103 || 9위 || || [[DTM]] || [[오라클 레드불 레이싱|레드불]] [[AF 코르세]] || 16 || 3 || 4 || 1 || 10 || 149 ||<#cd7f32> '''3위''' || || 2022 || [[포뮬러 2]] || 칼린 모터스포츠 || 28 || 4 || 0 || 3 || 10 || 149 ||<#cd7f32> '''3위''' || ||<|2> 2023 || [[슈퍼 포뮬러]] || [[무겐 모터스포츠|팀 무겐]] || 9 || 3 || 1 || 2 || 4 || 106.5 ||<#cac4ce> '''2위''' || || [[포뮬러 1]] || [[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 || 5 || 0 || 0 || 0 || 0 || 2 || 20위 || == 여담 == [[분류:포뮬러 1 드라이버]][[분류:뉴질랜드의 인물]][[분류:2002년 출생]][[분류:2023년 데뷔]][[분류: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현역]] * 일본의 편의점 [[로손]]과 철자가 같다. 이로 인해 몇몇 커뮤니티에선 편의점이라고도 불린다(...) 그리고 일본에 처음 방문했을 때 'Apparently I own a store here' 라며 드립을 쳤다. * 알파타우리로 F1 데뷔 직전, 레드불의 테스트 드라이버 신분으로 [[carwow]]에 출연하여 [[레드불 RB8]]을 타고 [[리막 네베라]]와 맥머트리 스피어링[* [[굿우드 페스티벌 오브 스피드 2022]]에 출전하여 힐클라임 역대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고, carwow 비공식 쿼터마일 신기록을 보유한 차량이다.]과 함께 드래그 레이스에 참여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PCzCqqVGQYE|#]] * 뉴질랜드의 상징인 은빛 고사리, 남십자성 그리고 키위새가 포함된 헬멧 디자인을 사용한다. * 어릴 적 우상은 [[루이스 해밀턴]]이었고 그에 관련된 책도 읽을 정도로 좋아했다고 한다. 다만 성장하면서 GP2, GP3 등 하위 리그에 관심을 갖게되었고, 같은 뉴질랜드 드라이버인 리치 스탠어웨이[* 현재 GT 월드 챌린지 오스트레일리아에 참여중이다.], [[미치 에반스]]와 [[닉 캐시디]]를 좋아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 중 캐시디와는 친한 사이가 되었다. * 멋진 헤어스타일을 유지하는 비결을 묻는 팬의 질문에 머리를 3일 정도 감지 않으면 헝클어지고 뜨는게 나아진다고 대답한 적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