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Reeve Aleutian Airways Flight 8 |||| {{{#fff '''항공사고 요약도'''}}} || || '''발생일''' ||[[1983년]] [[6월 8일]] || || '''유형''' ||[[프로펠러]] 탈락 || || '''발생 위치''' ||알래스카 콜드 베이 || || '''기종''' ||[[록히드]] [[L-188]] || || '''항공사''' ||리브 알류티안 || || '''기체 등록번호''' ||N1968R || || '''출발지''' ||알래스카 콜드 베이 공항 || || '''도착지''' ||[[워싱턴주]] [[시애틀 타코마 국제공항]] || ||<|2> '''{{{#black 탑승인원}}}''' ||승객: 10명 || ||승무원: 5명 || || '''생존자''' ||'''탑승객 15명 전원 생존''' || [목차] [clearfix] [[파일:n1968r.jpg|width=100%]] 사고 16년 '''후''' 콜드 베이 공항에서 == 개요 == 콜드 베이에서 [[시애틀]]로 가던 리브 알류티안 8편 록히드 [[L-188]]의 4번 [[프로펠러]]가 탈락해 [[비상착륙]]한 사고이다. == 사고 진행 == 사고기는 [[1959년]] [[콴타스]]에 인도되었고 [[1968년]] 리브 알류티안에 매각된다. [[1983년]] [[6월 8일]], 사고기가 이륙한 뒤부터 비정상적인 진동이 느껴졌다. 19,000피트에서 25,000 피트까지 상승하는 동안 엔지니어는 엔진을 확인하였으나 아무 이상이 없었고 승무원이 진동에 대해 대화를 하고 조종석에서 객실로 돌아온 그 순간 진동이 강해졌다. 승무원이 창밖을 본 순간 '''4번 엔진의 프로펠러가 앞쪽으로 탈락하더니 순식간에 기체 아래쪽으로 날라갔다.''' 탈락한 프로펠러는 동체 하부를 2m가량 갈랐고 기압이 낮아지면서 찌그러진 바닥에 엔진 출력 제어장치가 짖눌려 파손 되었다. '''즉 수동으로 비행기를 조종할 수 없게 됐다.''' 제임스 깁슨(James Gibson, 54) • 게리 린트너(Gary Lintner, 39) 조종사들은 다행히 멀쩡했던 [[오토파일럿]]으로 [[앵커리지]]로 회항할 수 있었다. 조종사들은 하강을 위해 2번 엔진을 끄고 기어를 올렸다 내리는 사투 끝에[* 사고 직후 고장났던 수동 조종 장치도 때마침 기적적으로 되살아났다.] [[앵커리지 테드 스티븐스 국제공항]]에 착륙한다. [[타이어]]가 파손되어 불이나고 도랑에 노즈기어가 빠지고 나서야 비행기가 멈췄고, 소방대가 출동해 화재를 진압했다.[[https://youtu.be/1AUhpx_ucxc|비상착륙 당시의 영상]] == 사고 원인 == [[프로펠러]]가 탈락하면서 갑압이 일어나면서 조종 계통 일부가 손상된 것은 확인했다. 그러나 근본적인 문제인 프로펠러는 드넓은 [[태평양]]에 떨어졌기에 찾을 수 없었고, 이 때문에 프로펠러가 떨어져나간 원인은 아직도 미상으로 남아있다. == 기타 == 깁슨 기장은 [[백악관]]에 초청되어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과 만나는 등 공적을 인정받았다. 사고기는 수리되어 업무에 복귀하였고 C-GHZI로 [[캐나다]]에 수출되어 현재도 소방용으로 쓰이고 있다. [[2020년]] 8월에는 [[캘리포니아 산불]] 진압을 위해 [[미국]]에 온 것이 확인되었다.--61년째 현역?-- 리브 알류티안은 [[1990년]]부터 재정문제에 시달리기 시작했고 [[2000년]] 운항을 중단한다. [[항공 사고 수사대]] 시즌 12에 방영되었다. [[분류:항공 사건사고]][[분류:1983년 항공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