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리 신)]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스킨)] [목차] == 개요 == 인기 챔피언답게 스킨 갯수는 매우 많지만, 폴리곤이 구겨지는 모델링과 흐느적거리는 모션 때문에 아무리 이펙트와 디자인을 잘 뽑아놔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해서 모션과 모델링 모두 새롭게 뜯어고친 무에타이, 신의 권, 폭풍룡을 제외하면 대부분 찬밥 신세이다. 그나마 과거부터 근본 취급이었던 수영장 파티와 용의 권, 발차기가 전부 펀치로 바뀌는 K.O 펀치가 간간히 쓰이는 정도. 비주얼 업데이트가 매우 시급한 챔피언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으며, 상기한 두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지 못하는 이상 아무리 잘 뽑아놔도 평가절하되며 버림받는 일을 피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사실 이러한 문제점을 가진 챔피언은 비단 리 신 뿐만이 아니라 리 신 전후로 출시된 옛날 챔피언들 다수가 동일하게 겪고 있는 문제점이다. 퀄리티 자체의 문제라기보단 리그 오브 레전드가 서비스 10년차를 넘기면서 점차 신규 챔피언들의 퀄리티가 상향 평준화 되어가면서 상대적으로 밀려난 것이다.] 그래도 VFX 업데이트나 대사 변경 등 느리게나마 낡은 부분을 새롭게 교체하는 움직임이 점점 보이고 있고, 최근에 [[티모(리그 오브 레전드)|티모]]와 함께 비주얼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 기본 스킨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eSin_Classic.jpg|width=100%]]}}}|| || '''가격''' || 4800BE / 880RP || '''동영상''' || [[http://youtu.be/e6SleHuJjLo|#]] || ||<-2> '''구 일러스트''' ||<-2> [[http://img1.wikia.nocookie.net/__cb20110404223742/leagueoflegends/images/d/d2/Lee_Sin_OriginalSkin_old.jpg|#]] || 최초 공개일이 [[만우절]]이었는데, 이 때 기본 스킨 일러스트 한 쪽에 [[우르프]]가 그려져 있었다.(구 기본 스킨 기준) 일러스트가 새로 바뀔 당시 반응은 상당히 안 좋았다. 기존 일러스트의 경우 준수한 편이었던데다 그 바뀐 일러스트의 인체 비율이 우스꽝스러웠기 때문이었다. '성능을 너프하는 것도 모자라서 이젠 애꿎은 일러스트까지 너프시키냐'는 불만이 나올 정도였다. [[파일:external/4.bp.blogspot.com/LeeSin_Square_0.png]] 특히 공개 초기에는 인게임 화면에 사용될 초상화가 마치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775&l=61413|따봉한 엄지손가락에다]]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775&l=62426|그림을 그리고 장식한 것]]처럼 보여서 놀림거리가 되기도 했다. 꽤 우스꽝스럽다는 것을 알았는지 ~~브라움 급의 빵빵한 가슴 근육을 삭제하는 걸로~~ 수정되었다. 그럼에도 계속 어색해 각도를 바꾸고 얼굴형을 손보는 등 PBE에서 수도 없이 수정되었다. 8.19 패치에서 리 신의 기본 공격 및 스킬 시전 시 시각 효과가 업데이트되었다. [[https://youtu.be/fd_d99TsDaw?t=3m5s|참고 바람]] 여담으로, 구도가 [[근육맨]]의 등장인물 [[몽골맨]]이 [[미스터 카멘]]을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kinnikuman&no=8281&page=1|래그 래리어트로 쓰러트릴 때의 자세와 상당히 흡사]]한데, 자료 조사 과정에서 쓸만한 것을 찾아서 [[트레이싱]]한 것으로 보인다. == 보유 스킨 == === (구) 리 신(Traditional Lee Sin)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20817, #1F73F9, #1F73F9, #020817)"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구 아이콘.png|width=50]][br]'''{{{#D29D46 초기 업데이트 스킨 시리즈}}}'''}}} || || '''(구) 리 신''' || {{{+1 → }}} || [[카르마(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3|(구) 카르마]]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eSin_Traditional.jpg|width=100%]]}}}|| || '''가격''' || 520RP || '''동영상''' || [[https://youtu.be/-fH_BGIg0RE|#]] || ||<-2> '''구 일러스트''' ||<-2> [[http://lolwp.com/wp-content/uploads/BlindMonk_Splash_1.jpg|#]] || 리메이크나 비주얼 업데이트를 거친 적이 없지만 (구) 스킨이 존재하는 유일한 챔피언이다. 개발단계의 리 신으로 추정되고, 수도승 컨셉인 리 신과 매치가 안 돼서 변경된 듯하다. 여담으로 일러스트에선 앞머리를 가르고 눈을 붕대로 묶었지만 실제 인게임에선 앞머리로만 눈을 가린다. 4월 8일 6.7 패치로 중국 일러스트로 교체되었다. 옛날 일러스트에는 도복의 띠가 나와있었다. === 수행사제 리 신(Acolyte Lee Sin) === ||<-5>{{{#!wiki style="margin: -5px -10px" 다른 길 스킨 시리즈 || || [[소라카/스킨#s-3.2|신성한 소라카]] || {{{+1 →}}} || '''수행사제 리 신''' || {{{+1 →}}} || [[트린다미어/스킨#s-3.4|마검 트린다미어]]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eSin_Acolyte.jpg|width=100%]]}}}|| || '''가격''' || 750RP || '''동영상''' || [[https://youtu.be/BLHFgUy4mfI|#]] || ||<-2> '''구 일러스트''' ||<-2> [[http://lolwp.com/wp-content/uploads/BlindMonk_Splash_2.jpg|#]] || 예전 설정에서 리 신이 소환사로서 수련하던 시절을 구현한 스킨. 리 신의 스킨이 적던 과거에는 대부분의 리 신 장인들이 이 스킨을 사용했다고 한다. 물론 지금은 무에타이나 신의 권 스킨에 밀려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6.7 패치로 중국 일러스트로 변경되었다. Legends Never Die 뮤직비디오에서 초반에 잠깐 등장하는 스킨이다. === 용의 권 리 신(Dragon Fist Lee Sin) === ||<-5> 2012 설맞이 축제 스킨 시리즈 || || [[코그모/스킨#s-3.5|사자춤 코그모]] || {{{+1 →}}} || '''용의 권 리 신'''[br][[소나(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4|칠현금 소나]][br][[오공(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3|수룡 오공]][br][[탈론(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3|은룡검 탈론]] || {{{+1 →}}} || [[신 짜오/스킨#s-3.5|대장군 신 짜오]][br][[자르반 4세/스킨#s-3.5|대장군 자르반 4세]][br][[코르키/스킨#s-3.6|불꽃놀이 코르키]][br][[카시오페아/스킨#s-3.4|비취송곳니 카시오페아]][br][[애니(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8|판다 애니]]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eSin_Dragonfist.jpg|width=100%]]}}}|| ||<-4> {{{#fff PC 버전}}}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eSin_Dragonfist (WR).png|width=100%]]}}}|| ||<-4> [[리그 오브 레전드: 와일드 리프트|{{{#fff 와일드 리프트}}}]] || || '''가격''' || 975RP || '''동영상''' || [[https://youtu.be/0YdBDMGm72Q|#]] || || '''구 일러스트''' || [[http://lolwp.com/wp-content/uploads/Dragonfist-Lee-Sin.jpg|#]] || '''중국 일러스트''' || [[http://lolwp.com/wp-content/uploads/Lee_Sin_DragonFistSkin_Ch.jpg|#]] || >전 세계에 명성을 떨치는 무술가 리 신은 사람들의 눈을 피해 훈련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용의 분노를 주먹에 담아 내지를 수 있다는 소문이 무성하지만, 확실히 아는 사람은 이미 말이 없겠죠. 2012 새해 기념으로 출시된 스킨. 모티브는 말할 것도 없이 [[이소룡]]. 더 정확히 말하자면 [[사망유희]] 중반부부터 변장을 하고 다니는 이소룡의 모습과 비슷하다. 원래 기본 일러스트는 평범한 퀄리티의 날아차기를 하는 리 신의 모습을 그린 일러스트였다. 본래 중국판 일러스트는 이와 다르지 않은 퀄리티로 특별히 역수입할 이유가 없었는데, 용의 권 리 신만큼은 중국계 미국인 이소룡이 모티브라서 그랬는지는 몰라도, 당시로선 역대급 폭풍 간지를 내뿜는 중국 일러스트가 나와서 많은 호평을 받았다. 결국 6.8 패치에서 용의 권 리 신도 중국 일러스트 기반으로 바뀌었다. 대기 동작과 도발 모션이 바뀌고, 기본 공격 시 사운드가 바뀌며. 공명의 일격이 [[날아차기|이단 옆차기]]로 바뀐다. 인게임 모델링의 옷 무늬는 붉은 색이며 현재 문서의 일러스트에 그려진 용 무늬 또한 마찬가지로 붉은 색이지만 실제 클라이언트 내 일러스트는 금색으로 그려져 있다. ==== 용의 권 리 신: 결투(Dragon Fist Lee Sin Duel) 크로마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eSin_Dragonfist_Chroma_1.png|width=100%]][br][[파일:leeSin_Dragonfist_Chroma_2.jpg|width=100%]]}}}|| || '''가격''' || [[파일:롤아이콘-스킨-크로마.png|width=20]][br]290RP || '''동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ZAFhhQTPnj0|#1]], [[https://youtu.be/LsMyi48MBT8|#2]] || 타이즈가 아니라서 아쉽지만, 노란색은 정말로 [[이소룡]]을 연상케 한다. 때문에 용의 권 리 신을 사용하는 유저들은 대부분 노란색 크로마를 낀다. 다음으로 인기 있는 크로마는 황금색과 검은색으로 멋진 색 배치를 이룬 검은색 크로마. 8.17 패치에서 5가지 색상의 새로운 크로마가 추가되었다. 따라서 기본 색상을 제외하면 총 8가지 색상의 크로마가 존재한다. 참고로 새로 추가된 5가지 색상의 크로마 중 루비는 단일 구매가 불가능하며, 오직 돌아온 용의 권 리 신 크로마 세트를 구매한 사람만이 획득할 수 있다. === 무에타이 리 신(Muay Thai Lee Sin) === ||<-5><:>{{{#!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A51931 10%, #F4F5F8 10%, #F4F5F8 15%, #2D2A4A 15%, #2D2A4A 85%, #F4F5F8 85%, #F4F5F8 90%, #A51931 90%)" [[태국|[[파일:태국 국장.svg|height=55]]]][br]'''{{{#999 세계의 불가사의 스킨 시리즈}}}'''}}} || || [[트린다미어/스킨#s-3.5|술탄 트린다미어]] || {{{+1 →}}} ||<#eee> '''무에타이 리 신''' || {{{+1 → }}} || [[세주아니/스킨#s-3.4|곰 기병 세주아니]]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eSin_Muaythai.jpg|width=100%]]}}}|| || '''가격''' || 975RP || '''동영상''' || [[https://youtu.be/FUsxDEm3Ukc|#]] || >'여덟 팔다리'를 사용한다고도 일컬어지는 무에타이는 수 세기 동안 권투 선수들이 차용해 온 복합적인 격투 스타일입니다. 다양한 격 기술에 통달한 리 신이 가장 위대한 무에타이 챔피언 중 하나죠. 태국 런칭 기념으로 추가된 스킨. 모션이 전반적으로 낙무아이처럼 바뀐다. Q를 쓰면 '''[[타이거 니 크래쉬|니킥]]''' 자세로 날아간다. R은 강렬한 [[하이킥]]으로, 치명타 모션은 안면 플라잉 니킥, 춤은 영화 [[옹박]]의 토니 쟈의 수련 장면을 연상시키는 동작으로 변경된다. 스킨 일러스트 또한 옹박 포스터의 그 모습을 그대로 차용했다. 출시된 지 굉장히 오래되고 이펙트 역시 변경되는 게 단 하나도 없지만, 섹시한 근육, 깔끔한 멋과 절제된 평타 모션의 간지가 어우러져 기본 스킨 취급을 받을 정도로 인기가 많은 리 신 스킨 중 하나다. K.O 펀치 리 신, 신의 권 리 신, 폭풍용 리 신 스킨[* 무에타이 리 신 스킨과 함께 리 신의 스킨 중에서 인기가 많은 스킨들이다.]을 제외한 나머지 스킨들은 모두 흐느적거리는 기본 리 신을 베이스로 만들어져 약간 부자연스러운 감이 없잖아 있다. 때문에 한국 서버에서는 리 신 스킨들은 물론 리그 오브 레전드 전체 스킨들 중에서도 사용률이 가장 높은 스킨이라고 한다. 이 스킨은 아래 K.O 펀치 리 신과 더불어 '''평타와 음파 모션 구분이 어렵기 때문에''' 근접 난타전에서 음파 모션을 보고 회피하는 게 거의 불가능해지므로 인게임 플레이에 상당히 영향을 미친다. === 수영장 파티 리 신(Pool Party Lee Sin)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80deg, transparent 80%, #675229 80%, #e2ca9d, #7D6D51, #675229 86%, transparent 86%), linear-gradient(110deg, transparent 85%, #675229 85%, #e2ca9d, #7D6D51, #675229 90%, transparent 90%), linear-gradient(178deg, transparent 70%, #8f7934 75%, #e7c45a), linear-gradient(to bottom, #7bbaff, #a3cfff 25%, #16537e 30%, #1d86e5 80%)" [[파일:롤_풀파티펭구_감정표현.webp|height=70]][br]'''{{{#f4cccc 수영장 파티 스킨 시리즈}}}'''}}} || || [[직스/스킨#s-3.3|수영장 파티 직스]] || {{{+1 →}}} || [[그레이브즈/스킨#s-3.5|수영장 파티 그레이브즈]][br][[레넥톤/스킨#s-3.6|수영장 파티 레넥톤]][br][[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4|수영장 파티 레오나]][br]'''수영장 파티 리 신''' || {{{+1 → }}} || [[드레이븐/스킨#s-3.4|수영장 파티 드레이븐]] [br][[문도 박사/스킨#s-3.8|수영장 파티 문도]][br] [[자크(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2|수영장 파티 자크]][br][[룰루(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5|수영장 파티 룰루]][br] [[렉사이/스킨#s-3.2|수영장 파티 렉사이]]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eSin_Poolparty.jpg|width=100%]]}}}|| || '''가격''' || 975RP || '''동영상''' || [[https://youtu.be/CQrWNhIp3MU|#]] || >리 신은 발가락 사이에서 느껴지는 모래의 감촉과 부서지는 파도 소리, 피부에 닿는 따스한 햇볕을 좋아합니다. 향이 강한 코코넛 음료도 좋아하죠. 리 신은 파티를 사랑합니다. ~~[[홍석천]]~~ --파계승 리 신-- 일러스트에는 코코넛을 '''발로 드는 묘기'''를 선보여주는 리 신과 --바람 피는--[* 이제는 폐기된 설정이지만 니달리는 [[저널 오브 저스티스]]의 칼럼니스트이자 소환사인 Bob Nashhago와 사귀고 있다. --바뀐 이후에 나온 [[니코(리그 오브 레전드)|누군가]] 덕분에 반쯤 맞는 말이 되어버렸다--] 복장이 그대로인 [[니달리]], 그리고 흔히 수영장 파티 [[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오리아나]]로 알려져 있었던 그 디자인이 보인다. 오리아나는 이후 2020년에 스킨을 받게 된다. 유일하게 수영장 파티 직스 일러스트와의 직접적인 접점이 없는 스킨이기도 하다. 수영장 파티 시리즈는 일러스트가 전부 연동되는 특성을 지니지만, 이 스킨의 일러스트만 유일하게 연관점을 찾을 수 없도록 그려져 있다. 굳이 연관성을 찾자면 그레이브즈나 레오나의 스킨에서 나타나 있는 해변가라는 정도? 선글라스 부분을 확대해 보면 그림을 보는 사람 방향에 있는 파라솔이 비친다.[* 파라솔은 레오나의 것이 확실해 보이나, 무슨 챔피언인지는 잘 보이지 않는다.] 처음에는 저 선글라스에 비치는 파라솔의 실루엣이 '''리 신의 눈구멍처럼 보이는 통에''' 혐짤 논란에 시달린 적이 있었다. 인게임에서는 코코넛 음료를 항상 손에 들고 있으며, 음파를 시전하면 '''코코넛 음료를 던진다.'''[* 신의 권 리 신 출시 전까지는 리 신의 스킨 중 유일하게 음파의 투사체가 바뀌었다.] 또한 음파에 맞은 대상은 머리 위에 코코넛 음료가 나타나며, 공명의 일격을 적중시키면 머리 위의 코코넛 음료가 깨진다. 가만히 서있으면 주위를 살피며 코코넛 음료를 마신다. 수영장 파티 스킨 출시를 맞아 새로이 변경된 로그인 화면에서는 징크스의 시점에서 징크스, 직스와 함께 코코넛 음료로 건배를 나눈다. 이 스킨이 포함된 정글 스타터팩이 항상 650RP로 판매 되고 있기 때문에 스킨만 따로 975RP를 주고 사면 손해보는 구조다. 나만의 상점에 나오더라도 마찬가지로 650RP 보다 싼지 체크해 볼 필요가 있다. 이는 모든 스타터 팩에 포함된 스킨에 적용되는 부분. 롤도우미 같은 어플로 머리를 보면 리 신의 눈을 볼 수 있다. === [[SK텔레콤 T1 K|SKT T1]] 리 신([[T1/리그 오브 레전드|SKT T1]] Lee Sin) === ||<-5>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width=26]]]]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3 월드 챔피언십|{{{#fff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3 월드 챔피언십'''}}}]] {{{#fff '''우승 기념 스킨'''}}} || || [[쉔/스킨#s-3.6|TPA 쉔]][br][[문도 박사/스킨#s-3.7|TPA 문도]] [br][[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4|TPA 오리아나]][br][[이즈리얼/스킨#s-3.6|TPA 이즈리얼]][br][[누누와 윌럼프/스킨#s-3.6|TPA 누누와 윌럼프]] || {{{+1 →}}} || [[잭스(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8|SKT T1 잭스]][br]'''SKT T1 리 신'''[br][[제드(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2|SKT T1 제드]][br][[베인(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5|SKT T1 베인]] [br] [[자이라/스킨#s-3.3|SKT T1 자이라]][br][[SK텔레콤 T1 K#s-10|(SKT T1 와드)]] || {{{+1 → }}} || [[신지드/스킨#s-3.7|삼성 화이트 신지드]] [br] [[렝가/스킨#s-3.3|삼성 화이트 렝가]] [br] [[탈론(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4|삼성 화이트 탈론]] [br] [[트위치(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7|삼성 화이트 트위치]] [br] [[쓰레쉬/스킨#s-3.4|삼성 화이트 쓰레쉬]]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4_SKT T1.jpg|width=100%]]}}}|| || '''가격''' || 750RP[br](기간 한정) || '''동영상''' || [[https://youtu.be/1tdBLvPio8E|#]] || '''2013 월드 챔피언십 우승 팀인 [[SK텔레콤 T1 K|SK telecom T1]]의 정글러 [[배성웅|Bengi]]에게 헌정된 스킨.''' 스킬 파티클 변화는 없다. 유저들 사이에선 '날개 달린 신발이 [[버디버디]] 아이콘을 닮았다', '이웃집 [[백수]] 아저씨 같다', '주유소 직원 같다' 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부분 혹평이 많고 그나마 스킨에 대한 좋은 평가로 스킨 착용 시 리 신의 느낌이 가볍다는 평가가 있다. 여담으로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2014/인비테이셔널|올스타전 2014 인비테이셔널]]에서 SK의 4강 진출이 확정되자 스킨의 주인인 벵기와 나머지 선수 당사자들이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2014/인비테이셔널#s-1.8|프나틱과의 경기]]에서 직접 세트로 다함께 본인의 스킨들을 사용한 적이 있다.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의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 4강에서 [[대한민국]]과 [[사우디아라비아]]가 맞붙었을 때, 2세트에 대한민국 선수들이 SKT 컨셉픽을 했는데 [[한왕호]] 선수가 SKT 리 신 스킨을 고르면서 그 중 한 자리를 차지했다. 2016 시즌 스킨을 받은 [[신드라/스킨#s-3.5|신드라]], [[진(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3|진]]과 함께, 13년도 헌정 스킨을 낀 [[잭스(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8|잭스]], [[자이라/스킨#s-3.3|자이라]]과 더불어 등장했다. === K.O. 펀치 리 신(Knockout Lee Sin) === ||<-5> 범죄 도시 스킨 시리즈 || || [[징크스(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1|범죄 도시 징크스]] || {{{+1 →}}} || '''K.O. 펀치 리 신''' || {{{+1 → }}} || [[브라움/스킨#s-3.5|범죄 도시 브라움]]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eSin_Knockout.png|width=100%]]}}}|| || '''가격''' || [[파일:롤아이콘-스킨-서사급.png|width=20]][br]1350RP || '''동영상''' || [[https://youtu.be/COtYIqsdmYk|#]] || >넉아웃 리 신이 링 안에 들어섭니다! 가드 유지하시고 레프트 훅을 조심하세요! > 한때 지하 격투장에서 이름을 날린 무자비한 싸움꾼 'K.O 펀치' 리 신은 더 나은 삶을 찾아 잔혹한 격투장을 떠나 현재 돈 많은 범죄 조직 두목들의 "해결사"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추성훈-- 베레모를 쓴 근대 복서 풍의 스킨. 게임 시작, 부활, 귀환 모션이 생기며 대부분의 모션이 바뀐다. 복서 컨셉인 만큼 발을 사용하는 모든 모션이 펀치로 바뀐다. 평타는 양 주먹으로 잽을 날리는 모션으로, 치명타 모션은 어퍼컷으로 바뀐다. 음파에 맞은 적에게는 권투 글러브 모양 표식이 나타나며, 공명의 일격은 주먹을 앞으로 뻗으며 날아가는 모션으로 바뀐다. 방호는 가드를 치듯 손을 모으며 이동하며, 시전 시 종 소리가 나고 보호막 문양을 나타내는 문양이 종으로 바뀐다. 용의 분노를 시전하면 호쾌하게 스트레이트 펀치를 날려서 적을 밀쳐낸다. 가만히 두면 스텝을 밟거나 잽 연습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귀환 모션은 라운드 종료 시 울리는 종 소리가 나며 의자에 앉아서 몸을 풀다가, 우물로 돌아오면 머리 위에 종이 생기며 다시 종소리와 함께 의자를 걷어차고 일어난다. 부활 모션은 귀환 종료 모션과 같다. 모티브는 옛날 19~20세기경의 영국이나 미국의 파이팅 클럽의 복서들로 추정된다. 리 신의 왼쪽 뒤에는 범죄 도시 징크스와 범죄 도시 미스 포춘, 범죄 도시 그레이브즈가 있고, 오른쪽 뒤에는 멋쟁이 그라가스가 있는 것으로 보아 시대적 배경을 반영한 듯. 전 콩두 몬스터의 정글러 펀치 [[손민혁]] 선수[* 2022년 서머 이후 은퇴]가 이 스킨을 쓰면 왠지 모르게 리 신이 잘 된다고 한 적이 있다. 실제로 이 스킨은 무에타이 리 신과 더불어 '''평타와 음파 모션 구분이 어렵기 때문에''' 근접 난타전에서 음파 모션을 보고 회피하는게 거의 불가능해지므로 인게임 플레이에 상당히 영향을 미친다. === 신의 권 리 신(God Fist Lee Sin) === ||<-5> 불멸의 영웅 시리즈 || || '''신의 권 리 신''' || {{{+1 → }}} || [[마스터 이/스킨#s-3.8|불멸의 영웅 마스터 이]][br][[잔나/스킨#s-3.8|불멸의 영웅 잔나]][br][[피오라(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6|불멸의 영웅 피오라]]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eSin_Godfist.jpg|width=100%]]}}}|| || '''가격''' || [[파일:롤아이콘-스킨-전설급.png|width=20]][br]1820RP || '''동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ZS0DvPpVZVo|#]] || > 신의 권인 오만한 그는 한때 인간 소년에 불과했습니다. 이전 신의 권으로부터 눈가리개를 하고 모든 문파의 수장을 꺾고 돌아오라는 과업을 받은 소년은 전설의 산봉우리에서 그를 다시 만났고, 결국 신의 권 칭호와 신의 눈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RlJcvGrYrt0|티저 영상]] [[https://youtu.be/Ruc6yy3t1UI|스킨 트레일러 - 신의 시험]] [[https://youtu.be/amGjjXCs-dM|로그인 화면]] 7.7 패치로 추가된 리 신의 첫 전설급 스킨. 출시 전에 리 신이 '''눈을 뜨는''' 티저를 공개해 관심을 모았다. ~~그리고 댓글엔 See sin이나 Lee seen이냐는 드립이 난무하게 되었다~~ 음성의 성우는 공개되고부터 [[김한신|한신]]으로 추정되고 있었고. 라이엇 공인 성우 정보에서 사실로 밝혀졌다. 성우 한신은 [[오버워치]]의 [[한조(오버워치)|한조]]의 담당 성우로 유명한데, 하필 이 스킨의 대사중 "'''한 조각... 한 조각...''' 뼈를 부러트려주지"가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성우개그]] 아니냐는 반응을 보였다. 신이라는 스킨 컨셉에 맞게 기존의 리 신의 캐릭터와는 달리 전체적으로 굉장히 대사가 오만해졌고, 적팀이 도발하면 하찮은 짓 하지 말라고 하는 듯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업신여기는 듯한 대사도 존재한다. 죽었을 때도 나는 너희들과는 다르게 죽음이 두렵지 않는다고 말한다. 자비로운 수도승 느낌의 컨셉을 좋아했던 사람들은 웬 싸움에 미친 놈을 만들었냐며 반감을 가지기도 했다. 전설 스킨임에도 불구하고 호불호가 꽤 갈리는 스킨 중에 하나다. 일단 워낙에 빛이 많이 나는 스킨인지라 오히려 적의 눈에 잘 띈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으며 심지어 민병대 효과를 받은 리 신이 걸을때 마다 발자국 같은 게 남겨저 게임에 지장을 준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일리단 스톰레이지|역시 눈이 먼 이들의 발자국은...]]-- 그리고 찰진 평타 소리와 스킬 사운드가 시원한 무에타이와는 달리 이 스킨은 가볍고 밋밋한 돌 소리가 난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 모든 스킬들에서 종을 울리는 듯한 청명한 금속음이 나며, 기본 공격 및 스킬 시전 모션이 20가지 이상 추가된다. 공명의 일격(Q - Q)은 시전 시 거리에 따라 돌진 모션이 3가지로 달라진다. 다른 스킨들과 차별되는 점은 K.O 펀치 리신처럼 용의 분노를 사용하면 '''주먹으로''' 상대를 밀친다. 농담을 입력하면 [[백열각]]을 시전하다가 발에 불이 붙어 허둥지둥한다. 춤 모션은 어쩐지 관광버스 트로트 메들리에 맞춰 추는 아줌마 춤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영화 Kickboxer(1989)에서 나온 [[장 클로드 반담]]의 [[https://www.youtube.com/watch?v=hDKlnotPg9c|댄스 씬]]에서 따온 것이다.[* 재밌게도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리그 폐지된 동종업계 게임]]의 스님 [[카라짐]]의 댄스 모션이기도 하다.] 해당 스킨의 호불호와 더불어 무에타이 리 신 스킨의 압도적인 인기탓에 묻힌 감도 있지만, 어쨌거나 전설 값은 충분히 하는 멋진 스킨이라 리 신 스킨 중에서 무에타이 다음으로 픽률이 높은 스킨이다. 외형이 금빛이기에 프레스티지 스킨과 비슷하다고 평가를 내리는 사람도 있다. 다만 이후에 나온 두 번째 전설 스킨인 폭풍용이 이 스킨의 인기를 가로채고 있다. 여담으로 모션 연결과 효과음이 매우 부드러운데, 콤보가 잘 연결된다는 사람부터 흐물렁거린다는 사람까지 호불호가 갈리기도 한다. 재미있게도 같은 전설 스킨임에도 폭풍룡 리 신은 정반대의 평가를 받는다. === 플레이메이커 리 신(Playmaker Lee Sin)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rgba(150,150,150,.2) 0%, transparent 30%, transparent 70%, rgba(150,150,150,.2))"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파일:FIFA 월드컵 워드마크.svg|width=200&theme=light]][[파일:FIFA 월드컵 워드마크 화이트.svg|width=200&theme=dark]]]]}}} || || [[알리스타/스킨#s-3.7|빗장수비 알리스타]][br][[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2|스트라이커 루시안]][br][[마오카이/스킨#s-3.55|골키퍼 마오카이]][br][[트위스티드 페이트/스킨#s-3.8|레드 카드 트위스티드 페이트]][br][[그라가스/스킨#s-3.7|축구광 그라가스]] || {{{+1 →}}} || '''플레이메이커 리 신'''[br][[람머스/스킨#s-3.8|리베로 람머스]] || {{{+1 → }}} || 미정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8_World Cup.jpg|width=100%]]}}}|| || '''가격''' || 975RP[br](기간 한정) || '''동영상''' || [[https://youtu.be/KJ65fIdEeT4|#]] || >모든 상황에서 기회를 포작할 수 있는 제 6의 감각을 지닌 리 신은 상대편의 엉성한 프리킥을 수 세대동안 회자될 일생일대의 기회로 바꾸어 놓습니다. 리 신은 메이저에서 이제 첫해를 보내고 있지만 혹자는 그와 같은 선수는 다시는 없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2018 러시아 월드컵을 기념하여 나온 스킨이다. 8.12 버전에서 공개되었다. [[소림축구]]에서 모티브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 스킬 적중시 함성소리가 들리고, 스킬 사용시에 축구공 관련 이펙트가 생긴다. 귀환 시, 리 신 뒤에 골대가 생기며 골을 넣는데, 골을 넣으면 함성소리와 함께 '골입니다! GG!' 라는 아나운서의 대사가 추가되는데, [[김동준(게임 해설가)|김동준]]의 목소리로 추정된다. 월드컵 기념 스킨 중 최초로 미드필더 포지션을 모티브로 만들어졌다. 2018년 월드컵을 마지막으로 2022년 월드컵엔 축구 관련 스킨이 안나오고 있고[* 2022년에는 한계 돌파라는 스포츠 스킨의 컨셉이 나왔지만 축구와 연관이 없는 스킨이며, 월드컵이 아닌 원래 개최 예정이었던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을 기념하는 스킨이라는 소리도 있다.] 어째서인지 카타르 월드컵에서도 월드컵 스킨들을 재판매 하지 않았기 때문에 상점에 재판매 되려면 적어도 2026년까지는 기다려야 할것으로 보인다. ==== 크로마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eSin_Playmaker_Chroma.jpg|width=100%]]}}}|| || '''가격''' || [[파일:롤아이콘-스킨-크로마.png|width=20]][br]290RP(기간 한정) || '''동영상''' || [[https://youtu.be/omrqldWsKiI|#]] || 스킨 출시와 동시에 크로마도 추가되었다. === 어둠의 인도자 리 신(Nightbringer Lee Sin) === ||<-5> Vs. 스킨 시리즈 || || [[가렌/스킨#s-3.9|신성왕 가렌]][br][[다리우스(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7|반역왕 다리우스]] || {{{+1 →}}} || [[소라카/스킨#s-3.9|빛의 인도자 소라카]][br][[니달리/스킨#s-3.10|빛의 인도자 니달리]][br][[카르마(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9|빛의 인도자 카르마]][br][[소라카/스킨#s-3.10|어둠의 인도자 소라카]][br][[아펠리오스/스킨#s-3.1|어둠의 인도자 아펠리오스]][br]'''어둠의 인도자 리 신'''[br][[블라디미르(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9|어둠의 인도자 블라디미르]] || {{{+1 → }}} || [[벡스(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1|빛의 인도자 벡스]][br][[요네/스킨#s-3.3|빛의 인도자 요네]][br][[모르가나(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11|빛의 인도자 모르가나]][br][[케인(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3|어둠의 인도자 케인]][br][[릴리아(리그 오브 레전드)#s-11.3|어둠의 인도자 릴리아]][br][[트린다미어/스킨#s-3.11|어둠의 인도자 트린다미어]]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radial-gradient(circle at 50% 50%, #FFCE7C, #CA2213, #7D1A22, #513628 80%)" '''{{{#362726 어둠의 인도자}}}'''}}} || || [[야스오/스킨#s-3.4|어둠의 인도자 야스오]] || {{{+1 →}}} || [[소라카/스킨#s-3.10|어둠의 인도자 소라카]][br][[아펠리오스/스킨#s-3.1|어둠의 인도자 아펠리오스]][br]'''어둠의 인도자 리 신'''[br][[블라디미르(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9|어둠의 인도자 블라디미르]] || {{{+1 → }}} || [[케인(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3|어둠의 인도자 케인]][br][[릴리아(리그 오브 레전드)#s-11.3|어둠의 인도자 릴리아]][br][[트린다미어/스킨#s-3.11|어둠의 인도자 트린다미어]]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eSin_Nightbringer.jpg|width=100%]]}}}|| || '''가격''' || [[파일:롤아이콘-스킨-서사급.png|width=20]][br]1350RP || '''동영상''' || [[https://youtu.be/CwgthDQid7k|#]] || >전투의 열기 속에서 삶의 보람을 느끼는 리 신은 열정과 분노의 화신으로서 마음속 거칠고 혼란스러운 감정을 다스립니다. 자신의 형제자매들이 다양한 이상을 위해 싸우는 동안, 리 신은 오직 전투 자체의 환희를 추구하며 강력하고 종잡을 수 없는 공격을 가합니다. [[https://youtu.be/yfeeisMC6JY|하늘을 호령하라 - 어둠과 빛 이벤트 트레일러]] 9.24 패치 기간 중 출시된 스킨. 당시 어둠과 빛 이벤트 패스와 함께 출시된 이벤트 패스 세트를 구매하면 이 스킨을 공짜로 줬다. 패스 세트의 가격은 기본 패스보다 1000RP 더 비싸기 때문에 이벤트 패스 세트를 구매하는 것이 그냥 상점에서 구매하는 것보다 이득이지만, 어둠과 빛 이벤트가 워낙 토큰을 퍼주는 이벤트인 데다가 겨울방학 시즌, 중학생이라면 기말고사가 끝난 후 남는 시간에 롤을 돌리면 어둠의 인도자 리 신 프레스티지를 충분히 얻을 수가 있어서 차라리 1350RP를 아끼고 프레스티지를 사는 유저들이 많았다. 그런 뒷사정과는 별개로 스킨 자체의 평가도 좋지 않다. --풍성충 리 신-- 일단 모션이 기본 리 신의 구식 모션을 그대로 가져다 쓴데다, 목 부분에 칼라 비슷한 장신구가 생겼는데 이것 때문에 목을 늘려놔서 인체비례가 망가졌다. 모처럼 풍성한 머리카락도 머리 장식 때문에 머리카락처럼 보이지 않고 뭘 얹어놓은 모양새. 오죽하면 털 빠진 닭 같다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 ==== [[프레스티지(리그 오브 레전드)|프레스티지]] 어둠의 인도자 리 신(Prestige Nightbringer Lee Sin)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CFCFC 10%, #EAB575 30%, #FDED6B 50%, #AD661C 80%, #724C28)" '''[[프레스티지(리그 오브 레전드)|{{{#000000 프레스티지 에디션 시리즈}}}]]''' [br] [math(\mathcal{Prestige})] [math(\mathcal{Edition})] [math(\mathcal{Series})]}}} || || [[쓰레쉬/스킨#s-3.7.1|프레스티지 펄스 건 쓰레쉬 ]] || {{{+1 →}}} || '''프레스티지 어둠의 인도자 리 신''' || {{{+1 →}}} || [[가렌/스킨#s-3.11.1|프레스티지 메카 삼국 가렌]]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eSin_Nightbringer_Prestige Edition.jpg|width=100%]]}}}|| || '''가격''' || [[파일:롤아이콘-스킨-신화급.png|width=20]][br]2019 어둠과 빛 토큰 2000개 || '''동영상''' || [[https://youtu.be/pBTa8Ddyp1c|#]] || >전투의 희열을 좇는 맹목적 신앙과 혼돈에 완전히 사로잡힌 리 신은 신성을 가진 어둠 그 자체가 되었습니다. 시즌 9 패치기간 중 마지막으로 출시된 프레스티지 에디션. 그리고 '''최초의 인간 남캐 프레스티지 에디션이다.'''[* 리 신 이전의 프레스티지 에디션 스킨을 받은 남자 챔피언은 심해 생물인 피즈, 다르킨인 아트록스, 악령인 쓰레쉬였다.] 컬러링과 머리 장식이 [[아트록스/스킨#s-3.5.1|불의 축제 아트록스 프레스티지 에디션]]과 유사하다. 앞서 언급했듯이 당시의 이벤트가 워낙 토큰을 퍼준데다가 챔피언 자체의 인기도 매우 높아 프레스티지 치고는 보유자가 꽤 많다. 하지만 보유자가 많은 데에 비해 유저들의 반응은 영 좋지 않다. 스킬 이펙트는 준수하지만 프레스티지치고는 너무 별로라는 평. 특히 원본의 목 부분에 있던 장신구가 제거됐는데, 덕분에 안 그래도 길어보이는 목이 더 길어보인다. 때문에 암흑의 별 말파이트 프레스티지 에디션이 공개되기 전까지 프레스티지 스킨들 중 가장 낮은 평가를 받고 있었다. --풍성해서 안 쓴다는 사람도 있다-- ==== [[프레스티지(리그 오브 레전드)|프레스티지]] 어둠의 인도자 리 신 2022(Prestige Nightbringer Lee sin 2022) ==== ||<-4>{{{#!wiki style="margin: -5px -10px" [[]] || || '''가격''' || [[파일:롤아이콘-스킨-신화급.png|width=20]][br](구매불가) || '''동영상''' || [[https://youtu.be/zhDAvKJC9aw|#]] || 12.6 패치 때 출시된 어둠의 인도자 리 신 프레스티지 스킨 업그레이드버전. 기존의 어둠의 인도자 리 신 프레스티지 스킨을 보유하고 있는 유저들을 한정으로 무료로 지급된 프레스티지 스킨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처음부터 고생하여 얻은 유저들을 배려하는 차원으로 제작된 스킨이며 해당 스킨은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유저들을 한정으로 지급된 스킨이기에 신화 상점에서 어둠의 인도자 리 신 프레스티지 스킨을 획득해도 얻을 수 없다. === [[FPX/리그 오브 레전드|FPX]] 리 신(FPX Lee Sin) === ||<-5>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width=26]]]] [[리그 오브 레전드 2019 월드 챔피언십|{{{#fff '''리그 오브 레전드 2019 월드 챔피언십'''}}}]] {{{#fff '''우승 기념 스킨'''}}} || || [[피오라(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8|IG 피오라]] [br] [[이렐리아/스킨#s-3.7|IG 이렐리아]] [br] [[카밀/스킨#s-3.3|IG 카밀]] [br] [[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7|IG 르블랑]] [br] [[카이사/스킨#s-3.3|IG 카이사]] [br] [[라칸(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4|IG 라칸]] || {{{+1 →}}} || [[갱플랭크/스킨#s-3.10|FPX 갱플랭크]] [br] '''FPX 리 신''' [br] [[말파이트/스킨#s-3.10|FPX 말파이트]] [br] [[베인(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10|FPX 베인]] [br] [[쓰레쉬/스킨#s-3.8|FPX 쓰레쉬]] || {{{+1 → }}} || [[케넨/스킨#s-3.9|DWG 케넨]] [br] [[니달리/스킨#s-3.12|DWG 니달리]] [br] [[트위스티드 페이트/스킨#s-3.13|DWG 트위스티드 페이트]] [br] [[진(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7|DWG 진]] [br] [[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11|DWG 레오나]]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0_FPX.jpg|width=100%]]}}}|| || '''가격''' || [[파일:롤아이콘-스킨-서사급.png|width=20]][br]1350RP[br](기간 한정) || '''동영상''' || [[https://youtu.be/Zmy67U8WT8Q|#]] || '''2019 월드 챔피언십 우승팀인 [[FPX/리그 오브 레전드|FunPlus Phoenix]]의 정글러 [[가오톈량|Tian]]에게 헌정된 스킨.''' 10.9 패치 기간 중 출시되었다. 스킨의 대한 평가는 컨셉 자체가 유치한 데다가 리 신이 워낙 근본 스킨들이 많아서 평은 좋지 않다. 주유소 리메이크 스킨인 것 같다는 평이 많다. [[Top Esports]]의 정글러인 [[Karsa]] 선수가 가장 애용한다고 밝힌 스킨이다. ==== 크로마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eSin_Fpx_Chroma.jpg|width=100%]]}}}|| || '''가격''' || [[파일:롤아이콘-스킨-크로마.png|width=20]][br]14657RP[* 갱플랭크, 리 신, 말파이트, 베인, 쓰레쉬를 보유하고 있을 경우에는 12650RP에 구매가 가능하다.](기간 한정) || '''동영상''' || [[https://youtu.be/Zmy67U8WT8Q?t=208|#]] || 정예 크로마. 롤드컵 우승 기념 스킨 중 최초로 크로마를 받은 경우가 되었다. 거금을 들여 모든 FPX 스킨에 대한 e스포츠 팬 사인 에디션 세트를 구매할 경우 획득할 수 있었다. 개별 구매가 불가능했기에 전세계 롤 유저들이 각종 커뮤니티에서 라이엇의 판매 정책에 대해 상당한 불만을 제기했다. 또한 FPX 스킨이 상점에 추가된 직후에는 전체 세트를 구매하지 않더라도 개별 챔피언의 e스포츠 팬 사인 에디션을 2680RP[* 리 신을 이미 보유하고 있을 경우에는 2240RP]로 구매하였을 경우 개별적으로 정예 크로마를 따로 획득할 수 있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크로마가 개별 챔피언의 e스포츠 팬 사인 에디션에서 제외되었다. 따라서 상점에 추가되자마자 발 빠르게 개별 챔피언의 e스포츠 팬 사인 에디션을 구매한 사람들은 운 좋게 정예 크로마를 획득할 수 있었으나 뒤늦게 개별 챔피언의 팬 사인 에디션을 구매한 사람들은 크로마를 얻지 못해 흑우가 된 것이다. 여담으로 브라질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법적으로 세트 상품의 경우에도 개별 품목을 소비자가 별도 구매할 수 있도록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해당 국가의 서버에서는 정예 크로마만 따로 290RP에 구매할 수 있었다. === 폭풍용 리 신(Storm Dragon Lee Sin) === ||<-3> 용술사 스킨 시리즈 || || '''폭풍용 리 신'''[br][[브랜드(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8|불멸용 브랜드]][br][[세트(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2|흑요석용 세트]][br][[아우렐리온 솔/스킨#s-3.3|폭풍용 아우렐리온 솔]][br][[애쉬(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12|정령용 애쉬]] || {{{+1 →}}} || [[볼리베어/스킨#s-3.7|이중용 볼리베어]][br][[쓰레쉬/스킨#s-3.11|강철용 쓰레쉬]][br][[야스오/스킨#s-3.9|진리용 야스오]][br][[야스오/스킨#s-3.10|몽상용 야스오]][br][[카르마(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12|평온용 카르마]][br][[카이사/스킨#s-3.6|바다용 카이사]][br][[마스터 이/스킨#s-4.1|서풍용 마스터 이]]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eSin_Stormdragon.jpg|width=100%]]}}}|| || '''가격''' || [[파일:롤아이콘-스킨-전설급.png|width=20]][br]1820RP || '''동영상''' || [[https://youtu.be/uCrpdBUq0VA|#]] || >정의에 대한 갈망에 사로잡힌 고행자 전사 리 신은 폭풍용 아오 신의 축복을 받고자 산에 올랐습니다. 정상에서 전설적인 용술사가 되어 돌아온 리 신은 이제 곳곳에 있는 악당들에게 벼락과도 같은 벌을 내립니다. 폭풍용의 눈길이 닿는 곳이라면 리 신의 벌을 피할 수는 없습니다. --탈모치료 성공-- 10.20 패치 기간 중 출시된 리 신의 두 번째 전설급 스킨. 전설급이라 그런지 흐느적거리는 기본 리 신이 아닌 절도있는 모션이 특징이며, 신의 권 리 신처럼 걷는 모션과 이동 속도가 빨라졌을 때 뛰는 모션이 따로 존재한다. 걷는 모션은 절도있게 걸어가고 뛰는 모션은 보폭을 넓혀 한 발 한 발을 큼직하게 뛴다. 전체적으로 푸른 빛의 번개 이펙트가 감돌며 역동적인 모션으로 바뀐다. 대사도 기본이나 신의 권의 조용조용한 목소리가 아닌 매우 힘찬 목소리로 말한다. 꽤나 디테일이 많은 스킨인데, 이 스킨을 쓰고 있는 리 신에게 처치당할 시 테두리에 먹구름이 끼고 전기가 흐르며, 작은 천둥소리가 들려온다. 물 위를 걸으면 전기 이펙트와 전기 소리가 나고, 에픽 몬스터를 처치하면 몬스터에게 벼락이 떨어진다. ~~천벌~~ Q를 쓰면 푸른색 용을 날리고 돌진 시 용의 형상을 두르고 돌진하며, W로 생기는 보호막은 짙은 푸른색의 번개 이펙트가 나오고, E로 둔화를 걸 시 하늘에서 번개가 적에게 떨어진다. R 사용 시 용에 휘감기며 공중 돌려차기로 상대를 날려버리며 사용한 적과 맞춘 적에게 푸른 이펙트가 나타난다. 평가는 호평일색으로 무에타이나 신의 권을 쓰던 유저들도 폭풍용으로 갈아타는 추세로 확실히 잘 뽑혔다는 평가가 많다. 거기에 더해, 무에타이나 신의 권처럼 리 신의 스킨 특유의 흐느적함이 안 느껴진다는 평도 있다. 그나마 불호 의견이라고 하면 모션이 너무 뻣뻣해서 위화감이 강하다거나 전설급 스킨이긴 하지만 기존 리 신과 너무 달라서 오히려 신챔피언 같다는 평가가 있다. ~~또는 풍성해서 안 쓴다는 유저도 있다.~~ 화려하고 멋있는 이펙트와 달리 의외로 개그성이 짙은 스킨인데 농담을 취하면 폼잡고 번개를 소환했으나 먹구름이 함께 꼬이는 바람에 비에 홀딱 젖으며[* 이 상태로 가만히 있다보면 슬픈 음악이 나온다.] 도발을 사용할 경우 팔굽혀펴기를 하는데 동작을 반복하다가 양팔을 뒷짐진 채 눈에서 나오는 번개로 지탱하며 동작을 계속하는 괴랄함을 보여준다. 춤 모션을 사용 시 클럽 음악과 함께 [[패왕애인]]에 나올 법한 춤동작을 보여준다. ~~특히 음악 덕분에 춤동작 키를 연타하면 음향테러도 가능하다~~ 사망 시 용이 리 신의 몸을 뚫고 지나간다. 3개 전부 연타시 도발용으로 제격이다(...) 여담으로 첫 공개 당시에는 일러스트의 리 신 머리 부분에 [[포니테일]]이 있었으나 PBE 테스트 기간 중 삭제되었다. 삭제된 이유는 PBE 출시 당시 스킨이 너무 화려하고 알아보기 힘들다는 피드백을 받았고 명확성이 떨어졌기 때문이었다고 한다.[[https://kr.leagueoflegends.com/ko-kr/news/dev/ask-riot-let-s-talk-clarity/|#]] 아우솔 리워크 이후로 폭풍용 아우솔 스킨을 착용한 채로 궁극기를 쓰면 1% 확률로 운석이 아니라 리 신이 떨어지는 이스터 에그가 있다. 심지어 사망 모션--일명 야무치 자세--으로 떨어져서 상당한 병맛을 자랑하는 건 덤이다. ==== 크로마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eSin_Stormdragon_Chroma.jpg|width=100%]]}}}|| || '''가격''' || [[파일:롤아이콘-스킨-크로마.png|width=20]][br]290RP || '''동영상''' || [[https://youtu.be/uCrpdBUq0VA?t=259|#]] || 스킨 출시와 동시에 추가된 크로마. 좌측 상단의 루비 크로마는 세트 구매 시에만 획득할 수 있다. 루비 크로마 오른쪽에 위치한 비취 손아귀 크로마는 2020 월드 챔피업십 토큰 300개로 제작할 수 있다. [[파일:LeeSin_LeeSin_DragonmancerBrimstone_Chromas_Fixed_Width.jpg]] 11.21 패치로 불꽃발톱 크로마가 추가되었다. ||<-5> 신화급 크로마 시리즈 || || [[제드(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6.1|은하계 학살자 제드]] || {{{+1 →}}} || '''폭풍용 리 신''' || {{{+1 →}}} || [[애쉬(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8.1|프로젝트: 애쉬]] || ||<-4><:>{{{#!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중국 일러스트 ] [[파일:leeSin_Stormdragon_mythicchroma (CN).jpg|width=100%]]}}}}}} || ||<-4> [[파일:Storm_Dragon_Leesin_Mythic_Chroma.png|width=100]] || || '''가격''' || [[파일:롤아이콘-스킨-신화정수.png|width=20]][br]신화 정수 40개 || '''동영상''' || [[https://youtu.be/HgHl9j3bfu0|#]] || 13.1 패치때 추가된 여섯 번째 신화급 크로마이다. 용과 번개 이펙트가 황금빛으로 교체된다. 먼저 출시되었던 어둠의 인도자 프레스티지가 여러모로 혹평을 받았기에 이쪽이 오히려 프레스티지에 걸맞는 크로마라고 호평받는다. === 한계 돌파 리 신(Zenith Games Lee Sin) === ||<-3> 한계 돌파 스킨 시리즈 || || '''한계 돌파 리 신'''[br][[블리츠크랭크/스킨#s-1.15|한계 돌파 블리츠크랭크]][br][[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3.8|한계 돌파 제이스]] || {{{+1 →}}} || 미정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eSin_Zenithgames.jpg|width=100%]]}}}|| || '''가격''' || [[파일:롤아이콘-스킨-서사급.png|width=20]][br]1350RP || '''동영상''' || [[https://youtu.be/yVYozs93_6U|#]] || >무술가 리 신은 상대가 미처 반응하기도 전에 상대를 압도하는 전략으로 많은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거뒀지만, 이내 회의에 빠졌습니다. 리 신은 이 전략의 뿌리가 자신의 두려움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신체를 기계로 강화했습니다. 근력을 키우기 위해서가 아니라 정신과 감각을 가다듬기 위해서였죠. 12.17 패치 중 추가된 스킨. 폭풍용 리 신 이후 2년 만에 출시된 리 신의 신스킨이다. 모바일 레전드의 [[브루노(모바일 레전드)|브루노]]를 거의 빼다박았다는 평을 받고 있으며, 심지어 컨셉까지 미래풍 스포츠 선수 컨셉으로 비슷하다.[* 차이점이라면 브루노는 사고를 당해서 기계 다리를 시술받은 것이고, 리 신은 두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신체개조을 받은 것이다. 또한, 브루노는 일러스트에서 묘사된 것과는 달리 실제로는 학자의 성을 지키는 수호자라는 동떨어진 설정이다.] 이전부터 항상 거론되어온 오래된 3D 모델링 때문에 인게임 면에서 다소 어색해 평가는 그리 좋은 편이 아니다. 첫 공개 당시에는 원문을 그대로 직역한 "천상계 게임"이었으나, 너무 어색하다는 지적이 많이 나와서 한계 돌파로 변경되었다. ==== 크로마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eeSin_LeeSin_ZenithGames_Chromas_Fixed_Width.jpg|width=100%]]}}}|| || '''가격''' || [[파일:롤아이콘-스킨-크로마.png|width=20]][br]290RP || '''동영상''' || [[https://youtu.be/yVYozs93_6U|#]] || == [[와일드 리프트]] 전용 스킨 == === NOVA 리 신(NOVA Lee Sin) === ||<-5>
[[와일드 리프트 아이콘스 글로벌 챔피언십|[[파일:ICONS Esports 로고.svg|width=26]]]] [[2022 와일드 리프트 아이콘스 글로벌 챔피언십 |{{{#fdd713 '''2022 와일드 리프트 아이콘스 글로벌 챔피언십 '''}}}]] {{{#fdd713 '''우승 기념 스킨'''}}} || || [[리븐(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4.2|NOVA 리븐]][br]'''NOVA 리 신'''[br][[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4.1|NOVA 루시안]][br][[모르가나(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4.1|NOVA 모르가나]][br][[나서스/스킨#s-4.2|NOVA 나서스]] || {{{+1 →}}} || 미정 || ||<-5> {{{#white [[와일드 리프트|{{{#white 와일드 리프트}}}]] 오리지널 스킨}}} || || [[트위스티드 페이트/스킨#s-4.2|영광의 함대 트위스티드 페이트]] || {{{+1 → }}} || [[리븐(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4.2|NOVA 리븐]][br]'''NOVA 리 신'''[br][[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4.1|NOVA 루시안]][br][[모르가나(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4.1|NOVA 모르가나]][br][[나서스/스킨#s-4.2|NOVA 나서스]] || {{{+1 →}}} || [[아리(리그 오브 레전드)/스킨#s-4.1|소다 팝 아리]][br][[가렌/스킨#s-4.1|상징적 가렌]]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_Nova_Wild Rift.jpg|width=100%]]}}}|| ||<-4> [[리그 오브 레전드: 와일드 리프트|{{{#fff 와일드 리프트}}}]] || || '''가격''' || [[파일:롤아이콘-스킨-서사급.png|width=20]][br]990 와일드 코어 || '''동영상''' || [[https://youtu.be/TbZ18d-Pi-E|#]] || >2022 ICONS 월드 챔피언십에서 리 신을 플레이한 Long의 우승 기념 스킨 '''2022 와일드리프트 아이콘스 글로벌 챔피언십 우승팀인 [[Nova Esports#s-4.2]]의 정글러 Long에게 헌정된 스킨.'''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리신, version=3936)] [[분류:리그 오브 레전드/스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