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르노 FT)] [목차] == 개요 == [[르노 FT]]의 운용국을 정리한 문서. == [[유럽]] == === [[서유럽]] === ==== [[프랑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usée des Blindés_Renault_FT_Modele_1917_Female.jpg|width=100%]]}}} || || '''소뮤아 기갑 박물관 소장 르노 FT 1931년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_Char_Renault_FT_-_Musée_de_l'armée_à_Paris_2.jpg|width=100%]]}}} || || '''앵발리드 육군 박물관 소장 르노 FT 1917년형 남성형 전차 73523호차''' || 원조 사용국. ==== [[벨기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useum_of_Army_Brussels_Renault_FT.jpg|width=100%]]}}} || || '''왕립 벨기에군 박물관 소장 르노 FT 1917년형''' || 1919년 54대를 구매해 1934년까지 운용했다. ==== [[네덜란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ationaal_Militar_Museum_Renault_FT.jpg|width=100%]]}}} || || '''국립 군사 박물관 소장 르노 FT 1931년형''' || [[슈바르츠로제 기관총]]을 장착한 르노 FT 1917년형 1대가 테스트 용도로 사용되었다. 현재 네덜란드에 남아있는 차량은 2대이며, 둘 다 독일 국방군이 네덜란드가 아닌 타국에서 노획해 독일 국방군 공군 네덜란드 사령부가 운용한 차량이다. ==== [[영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e_Tank_Museum_Renault_FT_prototype.jpg|width=100%]]}}} || || '''보빙턴 전차 박물관 소장 르노 FT 프로토타입'''[* 1917년에 생산된 프로토타입들 중 하나이다. 양산형과의 차이점은 전차장 전망탑의 모양에 일부 차이가 있다는 점 등이 있다.] || 1918년에 르노 FT 24대를 도입해 연락용, 지휘전차로 사용했다. 미국의 르노 FT 라이센스판인 6톤 전차 M1917도 사용했다. === [[중부유럽]] === ==== [[독일]] ==== ===== [[독일 제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erman_captured_french_renault_FT_,1918_may_18th.jpg|width=100%]]}}} || || '''독일 제국군이 노획한 프랑스군의 르노 FT, 1918년 5월 31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ptured American Renault FT by the German Sturm-Bataillon Nr. 5 (Rohr) in World War I (1918).jpg|width=100%]]}}} || || '''독일 제국군 제5돌격대대 병사들이 노획한 미군의 르노 FT, 1918년''' || 1918년 봄 공세 당시 독일 제국군은 다량의 르노 FT를 연합군으로부터 노획해 테스트용으로만 사용했다고 한다. 전선에서 운용하지 않은 이유는 르노 FT는 처참한 험지 기동성을 가지고 있었고, 독일 제국군이 노획한 차량들은 37mm 포 대신 기관총을 장착한 여성형 전차가 대다수였기 때문이었다.[* 출처: "German Panzers 1914–18” Steven J Zaloga. Osprey Publishing Ltd. 2006] ===== [[바이마르 공화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erman_dummy_tank_1926.jpg|width=100%]]}}} || || '''바이마르 공화국군의 더미 전차, 1926년''' || 르노 FT를 사용하지는 않았으나, 르노 FT 비슷한 모양의 더미 전차를 훈련용으로 사용했다. ===== [[나치 독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etherlands_War_Museum_Pz.Kpfw._18-R_730-f.jpg|width=100%]]}}} || || '''네덜란드 전쟁 박물관 소장 루프트바페 네덜란드 사령부 소속 Pz.Kpfw. 18-R 730(f)'''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erman_captured_M.28.png|width=100%]]}}} || || '''독일군이 노획한 유고슬라비아 왕국군의 M.28''' || 프랑스, 유고슬라비아, 폴란드 등지에서 노획해 훈련용, 치안 유지용, 비행장 경비용, 파르티잔 소탕용으로 사용했다. ||
형식 || 독일군 제식명 || || 르노 FT 1917년형 남성형 || Panzerkampfwagen 17-R 730c(f) || || 르노 FT 1917년형 여성형 || Panzerkampfwagen 17-R 730m(f) || || 르노 FT 1931년형 || Panzerkampfwagen 18-R 730(f) || 독일군의 르노 FT들은 동부전선에서 소련군에게 노획되기도 했으며, 1944년 8월 파리 해방 당시 연합군에게 노획되기도 했다. ==== [[스위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nzermuseum_Thun_Mosquito.jpg|width=100%]]}}} || || '''툰 전차 박물관 소장 모스퀴토''' || 1921년에 르노 FT 2대를 구매해 모스퀴토(Mosquito; [[모기]])라는 별명을 붙여 사용했다. 이후 1939년 보병의 대전차 훈련용으로 3대를 추가로 구매했다. ==== [[폴란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nault_FT_Muzeum_Wojska_Polskiego.jpg|width=100%]]}}} || || '''폴란드 육군 박물관 소장 르노 FT 1917년형'''[* 아프가니스탄 정부가 폴란드 정부에게 기증한 차량으로, 본래 폴란드군 소속 차량이었으나 소비에트-폴란드 전쟁 당시 소비에트군에게 노획된 후, 아프가니스탄에게 공여되었다가 출처가 확인되어 폴란드로 다시 반환되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ibwl.republika.pl/ft17col.jpg|width=100%]]}}} || || '''르노 FT CWS, 일명 "젤라즈니"'''[* 폴란드어로 [[연철]]을 뜻한다. 사진의 전차는 1939년 폴란드 침공 당시 독일군에게 노획된 차량으로, 폴란드에서 자체 개발한 개량형 무한궤도를 장착하고 있다.] || 폴란드는 1차 세계대전 종전 후 1919년 6월 120대 분량의 FT 전차를 프랑스로부터 공여받았으며, 이 전차들은 [[소비에트-폴란드 전쟁]](1919-1921)에서 실전 투입되었다. 1924년 폴란드는 비무장 지휘전차 모델인 르노 TSF 6대를 프랑스에게서 수입하였으며, 1929년과 1930년에는 23대의 FT를 프랑스에서 추가로 들여오면서 동시에 기존 FT의 개량형인 르노 M26/27[* 케그레스 고무 트랙을 부착한 모델.] 5대와 르노 NC-27[* 또는 NC-1.] 1대를 테스트 목적으로 구매하였다. 폴란드에서 르노 TSF와 M26/27, NC-27은 기존의 FT 전차와 명칭의 구분없이 함께 분류되어 운용되었다. 그 밖에 FT에 기반한 [[이탈리아]]제 [[피아트 3000]] 경전차 1대가 1931년 비무장 상태로 수입되어 시운전을 거치기도 하였다.[[https://forum.odkrywca.pl/topic/115459-fiat-3000-a-sprawa-polska/|사진 등 관련 자료(폴란드어 포럼)]] 1925년에는 스테판 카르다셰비츠(Stefan Kardaszewicz) 대위가 고안한 개량형 무한궤도가 제작되어 1926년부터 65대의 FT에 부착되었다. 이 무한궤도는 전차의 속도와 연비를 개선하면서 소음과 진동을 줄이고 승차감을 개선해주었다. 1926년에는 바르샤바의 CWS 공장에서 예비 전차부품과 연철 장갑으로 27대의 전차를 새로 제작했는데, 이 전차들은 종종 "FT CWS" 또는 "젤라즈니(Zelazny; 연철)"라는 별칭으로 불렸다. CWS 전차들은 연철로 제작되었기에 장갑 방어력이 거의 없었고, 대부분 훈련용으로 활용되었다. 같은해에는 FT 전차를 기반으로 한 화학전용 전차 1대가 시험적으로 제작되었으나 프로젝트가 더 진행되지 않고 끝났다.[[https://2.bp.blogspot.com/-951xarkwSy8/WQfNUa2vaeI/AAAAAAAAvLY/Z5jLaEBc4j0Zqkx0bD48ND_EimDPAIxkgCLcB/s1600/FT%2B17%2Bgas%2B000a.jpg|사진]] 한편 1920년대 후반에는 기관총 장착형 FT 전차들의 무장이 기존의 8mm 기관총에서 7.92mm 기관총으로 교체되었다. 1932년과 1933년에는 FT 전차를 활용한 철로용 궤도차가 개발되었다. 해당 궤도차는 "장갑궤도차 R"이라는 형식으로 채택되어 1939년까지 총 38대 분량이 제작되었다. 한편으로는 구식화된 6량의 르노 TSF 지휘전차를 무장 장착형 전차로 전환하는 작업이 1930년대에 진행되기도 했다. 그 밖에 FT의 성능 개선을 위한 여러가지 프로젝트가 시험 또는 계획되었으나 비용과 효율의 문제로 채택되지는 않았다. 1936년 [[스페인 내전]]이 발발하자 폴란드는 보유하고 있던 FT 전차 가운데 32대 분량을 스페인 공화정부 측에 판매하였으며,[* 동시에 국민전선 측에는 구식 전투기 PWS-10 20기를 판매했다.] 여기서 얻은 자금은 [[7TP]] 전차의 추가물량 생산비용으로 사용되었다. 1939년 [[폴란드 침공]] 당시 폴란드군은 도합 102대의 FT 전차를 보유하고 있었는데, 이 중 일부는 연철로 만든 CWS 전차였다. 70대의 전차들은 주라비차(Żurawica) 주둔 제2기갑대대에 배속되어 있다가 3개(111, 112, 113)의 경전차중대로 나뉘어 편성되었고, 9월 14일부터 16일까지 이어진 브제시치(Brześć) 요새 공방전에서 독일군에 맞서 실전 투입되었다. 나머지 전차들은 장갑열차에 딸린 궤도차로 활용되어 방어전에 투입되거나, 급조된 소규모 기갑부대에 배치되어 전투에 동원되기도 하였다. ==== [[체코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rancouzské_tanky_Renault_vz._17_čs._armády.gif|width=100%]]}}} || || '''체코슬로바키아 육군의 르노 vz. 17, 1928년''' || 1921년부터 1923년까지 르노 FT 7대를 구매해 '''"르노 vz. 17"'''이라는 제식명으로 1933년까지 운용했다. === [[남유럽]] === ==== [[그리스 왕국]] ==== 르노 FT 1917년형 남성형, 여성형과 NC2를 각각 1대씩 수입해 테스트용으로 사용했다. ==== [[이탈리아 왕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talian_Renault_FT.png|width=100%]]}}} || || '''이탈리아의 대중들에게 공개되는 르노 FT''' || 1918년 6월에 프랑스로부터 르노 FT 4대를 구매했다. ==== [[유고슬라비아]] ==== ===== [[유고슬라비아 왕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goslavian_Renault_FT_during_military_exercise.png|width=100%]]}}} || || '''유고슬라비아 왕국군의 르노 FT 1917년형, 1940년 4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ugoslavian_M.28.jpg|width=100%]]}}} || || '''퍼레이드의 유고슬라비아 왕국군 소속 M.28, 1930년''' || 프랑스, 폴란드로부터 45대의 르노 FT를 수입해 운용했다. NC 31도 수입해 M.28이라는 제식명으로 운용했다. =====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alemegdan_Military_Museum_Renault_FT.jpg|width=100%]]}}} || || '''칼레메그단 군사 박물관 소장 르노 FT 1917년형''' || 2차 대전 당시 크로아티아군, 독일군으로부터 노획해 사용했다.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 2차 대전 당시 크로아티아군, 독일군으로부터 노획한 차량들을 훈련용으로 사용했다. ==== [[크로아티아 독립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roatian_Renault_FT.png|width=100%]]}}} || || '''크로아티아군의 르노 FT''' || [[우스타샤 민병대]]는 유고슬라비아 왕국군의 르노 FT 12대를 운용했으며, 크로아티아군도 파르티잔 소탕용으로 12대를 운용했다. ==== [[불가리아 왕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ulgarian_army_captured_Yugoslavian_M28.jpg|width=100%]]}}} || || '''불가리아 육군이 노획한 유고슬라비아 왕국군 소속 M.28, 1941년''' || 1941년 유고슬라비아 왕국군으로부터 1대의 M.28을 노획했다. ==== [[스페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l_Goloso_Renaut_FT.jpg|width=100%]]}}} || || '''엘 골로소 군사 박물관 소장 르노 FT 1917년형''' || ===== [[스페인 왕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irst_renault_FT_arrived_at_Kingdom_of_Spain.jpg|width=100%]]}}} || || '''스페인 왕국에 도착한 르노 FT, 1919년 7월 15일''' || 르노 FT는 스페인 최초의 전차로, 1919년부터 1925년까지 6년동안 18대를 주문해 리프 전쟁 당시 사용했다. ===== [[스페인 제2공화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publican_Renault_FT.jpg|width=100%]]}}} || || '''스페인 제2공화국군 소속 르노 FT''' || 기존에 보유중이었던 차량과 프랑스, 폴란드로부터 공여받은 르노 FT들을 스페인 내전 당시 운용했다. ===== [[프랑코 정권|스페인국]] ===== 모로코에 주둔해있던 차량과 공화군으로부터 노획한 차량들을 스페인 내전 당시 사용했다. ==== [[루마니아 왕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uzeul Militar National_Renault_FT_mod_1917.jpg|width=100%]]}}} || || '''페르디난트 1세 국립 군사 박물관 소장 르노 FT 1917년형''' || 1917년에 훈련용으로 발리에(Berliet)에서 생산된 르노 FT가 루마니아로 보내졌으며, 1919년 6월에 루마니아 왕국은 72대를 구매해 1939년까지 운용했다. === [[동유럽]] === ==== [[소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nault_FT_kubinka.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rk_Patriot_Renault_FT.jpg|width=100%]]}}} || || '''쿠빙카 전차 박물관 소장 르노 FT 1917년형'''[* 핀란드군으로부터 노획한 차량이다.] || 적백내전 당시 적군이 백군으로부터 노획한 르노 FT들을 사용했다. 1940년 발트 3국 합병 당시 소련군은 리투아니아군, 에스토니아군의 르노 FT 1917년형들을 인수해 2차 세계대전 동안에도 운용했으며, 겨울전쟁 시기 핀란드군으로부터 노획하기도 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KKA_captured_german_FT17.jpg|width=100%]]}}} || || '''소련 육군이 노획한 독일군의 르노 FT 1917년형''' || 2차 대전 당시 소련군이 독일군으로부터 노획하기도 했다. === [[북유럽]] === ==== [[노르웨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ogaland Krigshistoriske Museum_Renault_FT_mod_1917.jpg|width=100%]]}}} || || '''로갈란트 전쟁 역사 박물관 소장 르노 FT 1917년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i4aiPcJg6k)]}}} || || '''로갈란트 전쟁 역사 박물관 소장 르노 FT 1917년형 기동 영상''' || 독일군이 철수 후 남기고 간 차량들을 운용했다. ==== [[핀란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nssarimuseo_Koiras.jpg|width=100%]]}}} || || '''파롤라 전차 박물관 소장 코이라스''' || 르노 FT 1917년형 남성형, 여성형을 합해 34대 구매해 1919년부터 1943년까지 운용했다. 핀란드군은 르노 FT 남성형을 '''"Koiras(코이라스)[* 핀란드어로 "수컷"을 뜻한다.]"''', 여성형을 '''"Naaras(나라스)[* 핀란드어로 "암컷"을 뜻한다.]"'''라 불렀다. 1937년에는 Naaras 전차들의 무장이 기존의 8mm 기관총에서 7.62mm 기관총으로 교체되었다. 겨울전쟁 발발 당시에도 핀란드군 기갑부대의 보유 장비로 남아있었으나 실전에서 전투용으로 쓰기엔 구식화가 너무 심각해 땅에 파묻어 토치카로 활용하거나 노획 장비 견인 등의 용도로만 쓰였다. 겨울전쟁이 종료된 시점에서 핀란드군에게 남은 FT 전차는 4대로, 1대는 박물관 전시용으로 보존되고 나머지 3대는 훈련용 차량으로 쓰이다가 1943년 해체되었다. ==== [[리투아니아 제1공화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ithuanian_Tankai_Renault_FT_1925.jpg|width=100%]]}}} || || '''리투아니아 Radviliskis 전차 연대 소속 르노 FT 1917년형 여성형, 1925년''' || 1923년에 12대의 르노 FT 1917년형 여성형을 구매한 뒤 주무장을 8mm 호치키스 기관총에서 7.92mm 빅커스 기관총으로 교체해 운용했다. 리투아니아군이 운용했던 차량들의 이름은“Audra”, Drasutis”, “Galiunas”, “Giltine”, “Grianstinus”, “Karzygis”, “Kerstas”, “Kovas”, “Pagieza”, “Pykoulis”, “Slibinas” 그리고 “Smugis”였다.1940년 소련의 발트 3국 합병 이후 리투아니아군이 운용하던 르노 FT 여성형 전차들을 인수해 운용했다. ==== [[에스토니아 제1공화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stonian_Renault_FT.jpg|width=100%]]}}} || || '''에스토니아 육군 소속 르노 FT 1917년형''' || 1924년에 4대의 르노 FT 1917년형 남성형과 8대의 르노 FT 1917년형 여성형을 구매해 소련에 합병되는 1940년까지 운용했다. 소련의 에스토니아 병합 이후 소련은 에스토니아의 르노 FT 1917년형들을 인수해 운용했다. ==== [[스웨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rv_putte.jpg|width=100%]]}}} || || '''스웨덴 육군 소속 Strv Putt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wedish_Remault_NC1.jpg|width=100%]]}}} || || '''아르세날렌 전차 박물관 소장 Strv fm/28''' || 1923년에는 르노 FT 1917년형을 구매해 '''"Putte"'''[* 스웨덴어로 "작은"을 뜻한다.]라는 이름을 붙였으며 1930년대에는 테스트용으로 1대의 NC 27을 구매했다. == [[아메리카]] == === [[북아메리카]] === ==== [[미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ackson_Barracks_Military_Museum_Renault_FT.jpg|width=100%]]}}} || || '''잭슨 군사 박물관 소장 르노 FT 1917년형'''[* 1920년 프랑스 정부가 루이지애나에게 기증한 차량이다.] || 르노 FT 514대를 구매해 유럽 전선에서 운용했으며, 라이센스 생산권을 구매해 일명 '''아메리칸 르노'''인 '''"6톤 전차 M1917"'''을 생산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nzerkampfwagen-18R-730f-recaptured-by-Allied-forces-in-France..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merican-soldier-poses-next-to-a-recaptured-FT..png|width=100%]]}}} || || '''미군 노획 독일군 소속 르노 FT''' || 2차대전 당시 독일군이 사용하던 [[르노 FT-17|Pz.Kpfw. 17R 730(f), Pz.Kpfw. 18R(f)]]를 미군이 재노획하기도 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S._Special_Forces_with_Renault_FT.jpg|width=100%]]}}} || || '''미 특수부대가 발견한 르노 FT''' || 2003년 아프가니스탄 [[카불]]에서 미군이 '''실제로 가동이 가능한''' 르노 FT '''2대'''와 고철 수준의 2대를 발견했다. 2대는 미국으로 옮겨져서 전시 중이고 나머지 2대 중 1대는 프랑스 [[소뮤아 기갑 박물관]]으로 보내졌으며, 마지막 1대는 입수경로를 역추적해서 알아낸 원 소속 국가 폴란드로 돌아갔다.[[http://en.wikipedia.org/wiki/Renault_FT-17#Surviving_Vehicles|위키피디아 링크]] ==== [[캐나다 자치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ix_ton_tank_M1917_CFB_Borden.jpg|width=100%]]}}} || || '''보든 기지 소장 6톤 전차 M1917''' || 1940년대 초반에 캐나다가 훈련용 전차로 M1917 전차를 구매하였다가 이후 퇴역시켰다. === [[남아메리카]] === ==== [[브라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useu Histórico do Exército_Renault_FT.jpg|width=100%]]}}} || || '''브라질 역사 박물관 소장 “Carros de assalto”''' || 1921년에 르노 FT 1917년형 남성형 6대, 여성형 5대와 르노 TSF 1대를 구매했고, 이후 28대를 추가로 구매해 '''"Carros de assalto"'''라는 제식명으로 1942년까지 운용했다. ==== [[볼리비아]] ==== 1931년 외국에서 구입한 1대의 전차가 라 파스에 존재했으나, 이듬해 발발한 차코 전쟁에서는 실전 투입되지 않았다. == [[아시아]] == === [[동아시아]] === ==== [[일본 제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bemil.chosun.com/Japanese%20Renault%20FT-17%20Tank.jpg|width=100%]]}}} || || '''FT-코(甲) / 갑식 전차([ruby(甲式, ruby=こうしき)][ruby(戦車, ruby=せんしゃ)]).''' || 프랑스에서 구입한 13대의 차량이 1919년부터 일본군에 도입되어 '''"갑식 전차"'''라는 제식명으로 사용되었다. 1929년에는 FT의 개량형인 NC27 10대가 수입되어 '을식 전차'라는 형식을 부여받고 일선 부대에 배치되었다. 갑식 전차와 을식 전차의 무장은 1916년형 37mm 저격포(11식 보병포의 전신) 또는 기관총이 사용되었으며, 이들 전차는 [[시베리아]]와 [[만주]] 및 [[상하이 사변]]에서 전투용으로 사용하다 나중에 훈련용으로 전용되었다. ==== [[중화민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758f0de18f63c797d7fd3da21aeda7fa.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nault_FT-17_in_ROC.jpg|width=100%]]}}} || || '''국민혁명군 소속 르노 FT 1917년형''' || 동북군벌과 [[국민혁명군]]이 운용했다. ==== [[만주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nchurian_Army_Renault_FT_with_37mm_Type_94_AT_gun.jpg|width=100%]]}}} || || '''만주군의 37mm 94식 대전차포 탑재 르노 FT''' || 일본 제국이 공여한 차량을 운용했는데 정확히는 관동군이 동북군벌 노획차량을 준 것. ==== [[극동 공화국]] ==== 시베리아 내전당시에 운용하였다. === [[서아시아]] === ==== [[터키]] ==== 1926년 말테페의 보병 사격 학교가 1개 중대 분량의 르노 FT 1917년형을 구매했다. ==== [[이란 제국]] ==== 1925년 이란 제국은 100대의 르노 FT 6을 주문했으나 소수만이 배송되었다. ==== [[레바논]] ==== 프랑스군이 철수 후 남겨놓고 간 차량들을 1차 중동전쟁 당시 사용했다. === [[남아시아]] === ==== [[아프가니스탄]] ==== ===== [[아프가니스탄 왕국|아프가니스탄 토호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ghan_captured_British_Expeditionary_Force_Renault_FT.jpg|width=100%]]}}} || ||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군의 르노 FT'''[* 사진의 차량은 1919년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아프가니스탄군이 영국군으로부터 노획한 차량이라고 한다.] || ===== [[아프가니스탄 왕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ghanistan_Kabul_Renault_FT_mod_1917.jpg|width=100%]]}}} || || '''북부 동맹 대원과 카불 도심에 전시된 르노 FT''' || =====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ommunist_Afghan_Army_DRA_Spin Boldak_late_1980's.jpg|width=100%]]}}} || ||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군의 르노 FT, 1980년대 말'''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사용했다. == [[아프리카]] == === [[북아프리카]] === ==== [[이집트 왕국]] ==== 1차 중동전쟁 당시 사용했다. === [[서아프리카]] === ==== [[말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mko_Renault_ft.jpg|width=100%]]}}} || || '''말리 밤코의 르노 FT'''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르노 FT, version=727)] [[분류:르노 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