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르노|[[파일:르노 로고(2015-2021).svg|width=1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르노 플루언스 Z.E.png|width=100%]]}}} || || {{{#fff '''FLUENCE Z.E.'''}}} || [목차] '''Renault Fluence Z.E. / [[SM3 Z.E.|RENAULT-SAMSUNG SM3 Z.E.]]''' == 개요 == [[프랑스]]의 자동차 제조사인 [[르노]]에서 생산했던 준중형차인 [[르노 플루언스]]의 [[전기자동차]] 모델. == 컨셉트 카 == ||<#000>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4507048B-0029-447F-83F3-EE288EABA23D.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D711547F-DFDA-4DB3-B0E5-4BB4A55CAFA5.jpg|width=100%]]}}} || ||<-2> {{{#ffffff '''플루언스 Z.E. 컨셉트'''}}} || 2009년 9월 [[르노]]에서 [[프랑크푸르트]] [[모터쇼]]를 통해 Zero Emission(배출 제로) 콘셉트 카로 먼저 공개되었다. == 상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르노 플루언스 ZE 전면.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르노 플루언스 ZE 후면.jpg|width=100%]]}}} || ||<-2> {{{#ffffff '''플루언스 Z.E.'''}}} || 2010년 4월 13일에 콘셉트 카의 요소가 적용된 양산형 모델이 공개되었다. 이후 2011년부터 [[르노]]의 [[터키]] [[부르사]] 공장에서 생산에 들어갔다. [[LG화학]]에서 제작하여 공급받았던 22kW 용량의 배터리는 탈착 시스템을 고안하며 배터리를 뒷좌석과 트렁크 사이에 세워 놓는 방식으로 설계한 것이 특징이다. 이 과정에서 전장과 뒷 오버행이 기형적으로 길어졌고, 무게 배분도 불안정하다. 전륜에 장착된 전기모터는 94마력이며, NEDC 기준으로 185km를 주행할 수 있다. == 출시 이후 실정 == 그러나 현실은 [[르노]]가 유럽 중소기업과 합작하여 개발했던 배터리를 탈착하여 충전하는 퀵 드롭 시스템이 충전 인프라 및 단가 문제로 실패했고, 충전소를 공급할 중소기업이 파산해서 무용지물이 되어버렸다. 소형 전기 자동차인 [[르노 조에|조에]]만도 못한 충돌 안전성, 떨어지는 상품성을 이유로 유럽 시장에서 시들시들한 판매량을 보이다가 결국 2013년 생산을 중단한 후 단종됐고, 르노삼성자동차의 부산공장으로 생산라인을 옮겨서 2020년까지 [[르노삼성 SM3 Z.E.|SM3 Z.E.]]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르노의 차량)]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르노삼성 SM3 Z.E., version=19)] [[분류:르노/생산차량]][[분류:2011년 출시]][[분류:2014년 단종]][[분류:준중형 세단]][[분류:전기자동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