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fffff> [[르노|[[파일:르노 로고.svg|width=5%]]]]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d1fabfa0-2020-renault-arkana-19.jpg|width=100%]]}}} || ||<#000> '''ARKANA'''^^(동유럽 사양)^^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4-renault-arkana-facelift.jpg|width=100%]]}}} || ||<#000> '''ARKANA'''^^(글로벌 사양)^^ || [목차] '''RENAULT ARKANA / MEGANE Conquest[* [[유고슬라비아]] 지역 국가군 수출명으로, 과거의 이 지역에 존재했던 [[세르비아]] 전범 중에 '[[젤리코 라즈나토비치|아르칸]]'이라는 이름이 있었기 때문에 바꿨다고 한다.]''' '''Moskvitch Legend''' '''[[르노코리아 XM3|RENAULT-KOREA XM3]]'''[* 2020년 부터 한국시장에서 사용되는 브랜드명.] == 개요 == [[프랑스]]의 자동차 제조사인 [[르노]]에서 생산 및 판매하고 있는 준중형 쿠페형 SUV 차량이다. [[르노코리아 XM3]]의 해외 수출명이다. == 1세대 == ||
<#ffffff> [[파일:arkana-russia.png|width=100%]] || [[파일:arkana-global.png|width=100%]] || ||<#000> '''동유럽 사양''' ||<#000> '''국제 사양''' || 플랫폼에 따라 동유럽, 국제 사양으로 나뉜다. === 동유럽 사양 (LJC, 2019~2022) === || [[파일:03F66E0B-03EA-4459-AA31-1E111346D942.jpg|width=100%]] || [[파일:RenaultArkanaru.jpg|width=100%]] || ||||<#000> {{{#fff '''동유럽 사양''' }}} || [[르노]]의 [[러시아]] [[모스크바]] 공장에서 생산되었다. 2018년 8월 29일에 [[러시아]] 모스크바 국제 자동차 살롱에서 공개된 컨셉트카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BMW X4]]와 같은 쿠페형 SUV와 닮은 외관을 가지고 있다. 차량의 이름은 [[라틴어]] 'Arcanum'에서 따왔는데, 이는 '비밀'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판매는 2019년부터 [[러시아]]를 위시한 [[CIS]] 권역에서 이루어지며, 합작사 [[둥펑 르노]]가 담당하는 중국 시장에는 2020년 중 플랫폼이 바뀐 모델이 투입된다.[* 하지만, [[2020년]] 4월에 [[둥펑 르노]]가 실적 부진을 이유로 상용차 및 전기차 부문에만 집중하면서 철수가 이루어졌고, 그로 인해 같은 해 8월 28일을 끝으로 합자기업이 해체되었다. 그로 인해 [[베이퍼웨어|중국 시장 출시 가능성은 낮아진 편이다]].] 전면부의 경우 르노의 패밀리 룩을 필두로 [[르노 탈리스만#s-4.1]]과 [[르노 메간]]의 디자인과 유사한 편이다. 포지션은 [[르노 캡처]]와 [[르노 콜레오스]]의 중간급 차량으로 판매될 것으로 보인다. 플랫폼은 [[르노]] 사의 B0+ 플랫폼이 적용되는데, 이는 [[르노삼성 QM3]]/[[르노 캡처]](Kaptur) 1세대[* 러시아 시장용.]에 적용된 [[르노-닛산 B 플랫폼]]의 연장형인 B0 플랫폼([[다치아 더스터]] 등에 적용)을 다시 개선한 B0+ 플랫폼이다. 차량의 전장은 4,550mm, 전폭은 1,800mm, 전고는 1,570mm를 기록했다. 가로형 엔진이 적용되며, 19인치 휠과 [[FF(자동차)|전륜구동]] 혹은 [[4WD]]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파워트레인]]은 2개가 적용될 것으로 보이는데, 그 중 하나는 [[르노]]가 새로 개발한 터보 엔진이라는 설이 있다. [[자트코]] CVT8 변속기와 1.3L 터보 가솔린 엔진이 조합되며 러시아의 이웃 국가인 [[카자흐스탄]] 시장에서의 조립은 르노와 알뤼르 그룹 간의 파트너십을 통해 2021년 코스타나이에 위치한 사랴르카아브토프롬(SaryarkaAvtoProm) 공장에서 이뤄졌다. 신흥국 시장에서 판매되던 [[르노삼성 SM3]]의 [[배지 엔지니어링]] 차량인 [[르노 플루언스]]의 실질적인 후속이기도 하다. 경쟁 차량으로는 [[쉐보레 트랙스]], [[푸조 2008]], [[시트로엥 C4 칵투스]], [[포드 에코스포트]], [[닛산 쥬크]] 등이 있다. 2019년 5월 말, 드디어 양산형 모델이 공개됐다. 컨셉트카와 사실상 차이가 없는 외관이 특징이다. [[https://www.motor1.com/news/351007/renault-arkana-production-version-revealed/|#]] 현재 2019년 6월 25일 [[러시아]] 기준 정식가격은 깡통 1850만원~풀옵션 2600만원 정도이다. || [[파일:불곰국 XM3.png|width=100%]] || [[파일:불곰국 XM3 후면부.png|width=100%]] || ||<#fff,#000><-2> {{{#000,#fff '''Moskvitch Legend'''}}} || 2022년 5월, 르노가 러시아 시장에서 철수를 발표하여 생산이 중단되었다고 언급했으나 일단 현지 자동차 업체인 [[모스크비치]] 산하의 차량으로 [[모스크비치 레전드|재편]]되어 생산될 예정...이라고 했으나, [[장화이기차]] 차량들을 [[배지 엔지니어링]]하는 형태로 가면서 완전 단종될 것으로 보인다. 그런다면, [[르노코리아 XM3]] 기반의 아르카나만 판매된다. === 국제 사양 (LJL, 2021~현재) === || [[파일:1D72BDB1-2867-4764-826E-39E0E540F60D.jpg|width=100%]] || [[파일:53932315-E4A5-4D8D-B10E-4314248FB820.jpg|width=100%]] || ||||<#000> {{{#fff '''기본형''' }}} || ||[[파일:3E8B40C3-0D4F-4FDB-9B19-C6953430F874.jpg|width=100%]] || [[파일:837B3FE5-6AB3-45AE-BF11-B7BA8CF407B6.jpg|width=100%]] || ||||<#000> {{{#fff '''R.S. LINE''' }}} || 서유럽 시장에는 [[르노-닛산 CMF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모델이 2021년 출시되었다. 대한민국에도 XM3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는 차량이다. 2020년 3월 부로 [[닛산 로그]]의 위탁생산이 종료된 [[르노삼성자동차]] 부산공장 입장에서는 앞으로의 운명을 좌우할 생산물량의 차종이다. 생산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르노]] [[바야돌리드]] 공장과 경쟁한 끝에 드디어 르노삼성자동차 부산공장에서 [[http://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009230334&t=NN|수출물량 생산이 확정]]되었고 일반사양, 하이브리드, R.S. LINE 모두 부산공장에서 생산되고 있다. XM3와는 달리 1.6L GTe는 없으며, 2종류의 출력이 존재하는 1.3L TCe+12V 마일드 하이브리드, 1.6L E-TECH 하이브리드만 수출하고 있다. 그 덕분에 부산공장은 2021년 6월 1일부로 야간 근무가 부활해 UPH가 45에서 50으로 상승했다. 현재 프랑스와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등 유럽지역을 시작으로 칠레, 일본, 호주에서도 수출물량이 판매될 예정이다.[* 상위 차종인 [[르노 콜레오스]]는 전량 부산공장에서 생산하는데, 2018/2019년 유럽지역 판매량은 각각 18,999대, 12,371대이다.] 해외에서의 흥행덕분인지 2021년 11월 누적 수출 5만대를 돌파하며 부산공장의 또 다른 효자상품으로 자리매김하는 중이다. [[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aver?mode=LSD&mid=shm&sid1=001&oid=023&aid=0003652526|#]] 2023년 부산공장이 신차 부재로 인한 내수 판매량 급감, 선박운임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을 때 보통 2대 들어갈 법한 컨테이너에 3대를 비스듬하게 각도를 세운 다음 수출하면서 10%의 비용절감을 이루어냈다. [[일본]] 시장에서도 [[2022년]] 도쿄 오토 살롱 때 공개될 것으로 추정되며 그렇게 된다면 국내 생산 승용차가 오랜만에 일본 땅을 밟게 된다. 이후 [[르노 재폰]](Japon)을 통해 공식 진출이 이루어졌으며, [[현대자동차]]의 [[현대 아이오닉 5|아이오닉 5]] 및 [[현대 넥쏘|넥쏘]] 역시 일본 땅을 밟았다. || [[파일:2024-renault-arkana-facelift.jpg|width=100%]] || [[파일:2024-renault-arkana-facelift (1).jpg|width=100%]] || ||<-2><#000> {{{#fff '''부분변경'''}}} || 2023년 7월 12일 부분변경 모델이 공개됐으며, 르노의 신규 엠블럼이 적용된다. 또한 R.S. LINE 트림을 대체하는 [[알핀]] [[에스프리]](Alpine Esprit) 트림을 새로 선보였는데, F1 다이내믹 블레이드 범퍼의 그릴 패턴은 르노 엠블럼을 형상화한 3D 그릴 패턴이 적용됐으며, 알핀 로고가 새겨진 전용 19인치 휠, 휀다 포인트 가니시가 들어간다. 인테리어의 시트는 레드-화이트-레드 조합의 스티치가 들어가며, 인조 스웨이드, 에코 탭(Eco Tap), 10%의 바이오 소재를 활용했다. == 경쟁 차량 == * [[현대자동차]] - [[현대 투싼|투싼]] * [[기아]] - [[기아 스포티지|스포티지]] * [[쌍용자동차]] - [[KG 코란도|코란도]] * [[토요타]] - [[토요타 라브4|라브4]] * [[스바루(자동차)|스바루]] - [[스바루 포레스터|포레스터]] * [[폭스바겐]] - [[폭스바겐 티구안|티구안]] * [[혼다]] - [[혼다 CR-V|CR-V]] * [[르노]] - [[르노 카자르|카자르]] * [[닛산]] - [[닛산 로그|로그]]/[[닛산 엑스트레일|엑스트레일]] * [[마쓰다]] - [[마쓰다 CX-5|CX-5]] * [[포드 모터 컴퍼니]] - [[포드 이스케이프|이스케이프]]/[[포드 쿠가|쿠가]] * [[지프]] - [[지프 컴패스|컴패스]] * [[푸조]] - [[푸조 3008|3008]] * [[시트로엥]] -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C5 에어크로스]] * [[오펠]] - [[오펠 그랜드랜드|그랜드랜드]] * [[쉐보레]] - [[쉐보레 이쿼녹스|이쿼녹스]] == 둘러보기 == [include(틀:르노의 차량)] [[분류:르노/생산차량]][[분류:르노코리아자동차/생산차량]][[분류:르노삼성자동차/생산차량]][[분류:2019년 출시]][[분류:2021년 출시]][[분류:소형 SUV]][[분류:SAC]][[분류:하이브리드 자동차]][[분류:나무위키 자동차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