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fffff> [[르노|[[파일:르노 로고.svg|width=5%]]]] || || [[파일:르노 심볼.png|width=100%]] || [[파일:르노 심볼 후면.png|width=100%]] || || {{{#000 [[2020년]]형 전면부}}} || {{{#000 차량의 후면부}}} || ||<-2><#fff,#000> '''SYMBOL''' || [목차] '''RENAULT SYMBOL / Thalia / CLIO Symbol[* 1세대 사양 한정(이외에도 Clio Sedan / Clio 4 Puertas / Clio Classic으로 판매되기도 했다.)] / Logan[* [[라틴 아메리카]]([[칠레]] 제외) 시장 수출명]''' == 개요 == [[프랑스]]의 자동차 제조사인 [[르노]]에서 생산했던 소형차로 현재 판매되는 차량은 [[다치아 로간]]의 [[배지 엔지니어링]] 차량이다. 일부 국가들에서는 '르노 탈리아'라는 이름으로 판매했으며 [[서유럽]] 시장에서는 판매되지 않았다. == 상세 == === 1세대(1999~2008) === [[파일:1999 르노 심볼.png|width=700]] 초기형 차량 [[1999년]]에 2세대 [[르노 클리오]]의 세단 사양으로 출시되었으며 이로 인해 '클리오 심볼'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또한 해치백 사양인 [[르노 클리오|클리오]]와는 다르게 세단 사양이 해치백보다 더 인기가 많았던 국가들[* 특히 [[동유럽]] 국가들]에서만 판매가 이루어졌다. 이 시기부터 3세대까지 누적 약 60만대 이상의 차량이 생산되었다. 생산은 [[1999년]]부터 [[튀르키예]] [[부르사]] 공장을 시작으로 [[2000년]]부터 [[아르헨티나]] 산타 이사벨 공장, [[브라질]] [[쿠리치바]] 인근의 상조세두스피냐이스 공장에서 [[2001년]]부터는 [[콜롬비아]] 소파사 공장에서 [[2002년]]부터 [[2010년]] 3월까지 [[멕시코]] 아과스칼리엔테스 공장에서 [[닛산 플래티나]]를 생산하였다. 또한 [[2002년]]부터 [[2004년]]까지 [[러시아]] 아브토프라모스(Avtoframos) 공장에서 생산되기도 했다. 르노 심볼은 국가마다 다른 이름으로 판매되었는데, 심볼, 클리오 심볼, 탈리아, 클리오 세단, 클리오 4 푸에르타스, 클리오 클래식 등으로 판매되었다. 차량의 전장은 4,150mm, 전폭은 1,639mm, 전고는 1,437mm, 휠베이스는 2,473mm, 공차중량은 910kg~1,090kg을 기록했다. 초기 [[파워트레인]]은 1.4L 8밸브 I4 엔진[* 75마력, 114Nm의 파워와 토크를 냈다.], 16밸브 엔진[* 98마력, 127Nm의 최대 파워와 토크를 냈다.] 옵션만 제공되었다. [[아르헨티나]]에서는 100마력의 16밸브 I4 엔진과 65마력의 1.9L 디젤 I4 엔진이 탑재되었다. [[콜롬비아]]에서는 1.4L 8밸브 가솔린 I4 엔진, [[브라질]] 시장에서는 1.6L 16밸브 I4 엔진과 70마력의 1.0L 16밸브 I4 엔진이 탑재되었다. 초기 사양은 RN(RNA,RND), RT(RTE, RTD)로 판매되었으나 Authentique, Expression, Dynamique, Alizé, Privilège 사양으로 이름을 바꾸어 판매되었다. ==== 페이스리프트 ==== [[파일:2002 르노 심볼.png|width=700]] [[2002년]]형 르노 심볼(수출 사양) [[2002년]] 3월에 [[르노 클리오]]의 변경이 이루어지면서 새로운 전면부, 검은색 몰딩 범퍼, 실내 수정[* 전자식 윈도우가 중앙 콘솔에서 도어로 이동했으며 새로운 스티어링 휠을 적용하였다.], 안전 장비의 향상이 이루어졌으며, 전장이 4,171mm로 늘어났다. [[2003년]]에 [[라틴 아메리카]] 시장에서 전후면부가 다른 형태로 달라졌다. [[브라질]] 시장에서도 1.0L 16밸브 플렉스퓨얼 I4 엔진은 휘발유 76마력, 알코올 77마력의 파워를 냈으며, 2개의 유연 연료로 구동했고 같은 해 말에 [[아르헨티나]] 시장에서 [[CNG]] 사양이 도입되었다. 여담으로 [[페이스리프트]] 이전 차량의 실내는 남미식 [[페이스리프트]] 사양과 비슷한 형태를 띄고 있었다. [[페이스리프트]] 이후 [[파워트레인]]은 65마력, 160Nm의 최대 파워와 토크를 내는 1.5L 디젤 I4 엔진, [[유럽]] 시장에 1.6L 16밸브 가솔린 I4 엔진이 탑재되어 105마력과 148Nm의 파워와 토크를 냈으며 Dynamique 사양에만 적용되었다. [[2005년]] 1월에 [[유럽 배출가스 기준|유로 4]] 배출 기준으로 변경되면서 이듬해 65마력 엔진은 70마력으로 상승하였고 80마력과 185Nm의 파워와 토크를 내는 dCi 엔진 라인업이 추가되었다. [[콜롬비아]] 시장에서는 [[2004년]]에 'Expression' 사양에 4단 [[자동변속기]]가 추가되었고 [[2008년]] [[페이스리프트]] 시장에서는 새 실내가 추가되었고 전자식 윈도우 제어장치, 좌석 및 라디오 등에서 [[유럽]] 버전과 상이했으며 외관은 [[페이스리프트]] 사양 심볼과 같은 외관을 유지되었다. [[2005년]]에 [[르노]] 라인업의 변경으로 인해 연식변경이 이루어졌다. 여기서 투명 테일램프, 사이드 리피터, 그릴 변경 및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가 탑재되었다. [[파일:2006 르노 심볼.png|width=700]] 또한 [[2006년]] 상반기에 75마력과 105Nm의 파워와 토크를 내는 1.2L 16밸브 가솔린 I4 엔진이 탑재되었다. 4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되었고 1.4L 16V 가솔린 I4 엔진에서만 탑재되었다. 또한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시장, 같은 해 가을 부터는 [[유럽]] 시장에 연식변경이 이루어진 심볼이 출시되었다. 이 시기부터 사양 관련없이 차체 색상과 같은 범퍼가 장착되었다. 또한 그릴이 변경되었고 [[르노 라구나]]에 사용되던 것과 비슷한 르노 로고 및 디자인 언어가 적용된 새로운 스타일링이 이루어졌다. 또한 4개의 새로운 색상과 2개의 독특한 림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또한 Alizé 사양에서는 전면 전동식 윈도우, 운전석 에어백이 탑재되었고 전자식 미러, 디지털 시계, 조수석 에어백, [[ABS]], 안개등이 Expression 사양에 추가되었다. 사양은 Authentique, Expression, Dynamique 3가지로 구성되었고 Expression 사양에는 운전석 에어백, 에어컨, 트립 컴퓨터, 전자식 미러, 전면 전동식 윈도우, CD 플레이어 및 높이 조절식 스티어링 휠이 적용되었다. Dynamique 사양에서는 조수석 에어백, [[ABS]], 후면 전동 윈도우, 차체 색상의 도어 핸들, 알로이 림 등이 추가되었으나 [[ABS]]와 조수석 에어백은 아랫급 사양에서도 옵션으로 제공되었으며, 자동 에어컨은 추가 기능으로 제공되었다. [[2008년]]형은 1.6L 가솔린 I4 엔진이 탑재되어 1.4L 가솔린 엔진을 대체하였다. [[2002년]] [[러시아]]의 잡지 오토레뷰에서 충돌테스트를 실행한 결과 총점 16점 만점에서 12점을 획득했으며 이것은 해치백 사양인 [[르노 클리오]]의 [[유로 NCAP]] 충돌 테스트 결과와 맞먹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2005년]]에 [[크로아티아]] 시장에서 조용히 판매를 중단한 적이 있었는데 [[2006년]] 초반부터 [[다치아 로간]]을 판매하기 위함이었다. ==== 파생차량 ==== [[파일:2010 플래티나.png|width=700]] [[2008년]]형~[[2010년]]형 최후기형 플래티나 [[칠레]]나 [[멕시코]] 같은 [[라틴 아메리카]] 국가군에서는 [[페이스리프트]] 사양이 [[르노-닛산 얼라이언스|기술 공유]] 관계에 있던 [[닛산]] 브랜드로 [[배지 엔지니어링]]되어 판매되었는데 이 차는 [[닛산 플래티나|플래티나]]로 판매되었으며, 차량의 전면부는 [[닛산 알티마]]와 유사했으며, 해치백보다 38cm 길었고 적재공간은 510L였다. === 2세대(L35,2008~2013) === [[파일:2008 르노 심볼.png|width=700]] 2세대 심볼부터는 '클리오'의 이름이 사라진 독자적인 차량이 되었으며 3세대 [[르노 클리오]]와 다른 외관을 취하고 있었다. 그리고 1세대 차량과 같은 플랫폼이나 부품 등을 사용하였다. 일부 국가에서는 '르노 탈리아'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2008년]] 8월 모스크바 모터쇼에서 최초로 공개되었으며 같은 해 9월~11월 사이부터 판매가 시작되었다. 2세대 차량은 1세대에 비해 7cm 정도 길어졌으며 적재 공간은 506L였다. 개발은 [[프랑스]], [[튀르키예]], [[루마니아]]의 르노 엔지니어링 팀에서 26개월 간 공동으로 맡아 설계했으며, [[동유럽]], [[중부 유럽]], [[러시아]], [[튀르키예]], [[북아프리카]] 및 페르시아 및 페르시아만 국가군에서 판매가 이루어졌다.[* 여담으로, [[2008년]] 12월에 판매 국가인 [[동유럽]] 등 15개국 기자들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오토베스트 2009'로 선정하기도 했다.] 생산은 [[튀르키예]] [[부르사]] 공장, [[아르헨티나]] 산타 이사벨 공장[* [[라틴 아메리카]] 시장 사양 한정으로 [[2009년]]부터 생산되기 시작했으며 1.6L 16V 엔진 사양만 생산된다.], [[콜롬비아]] 엔비가도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파일:Renault Logan 1.jpg|width=600]] 사양은 Authentique, Expression, Privilège 3가지가 있었으며 Authentique 사양에서는 에어백, 레브 카운터, 차체 색상의 전후면 범퍼가 적용되었고 Expression 사양에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트립 컴퓨터, 전동식 전면 윈도우, 높이 조절식 스티어링 휠 및 전면 시트, 접이식 뒷좌석 벤치 시트, 후면 헤드레스트, 차체 색상으로 된 미러, 전자식 원격 잠금장치가 탑재된다. Privilège 사양에는 전동식 미러, 가죽 장식 스티어링 휠, 안개등, 전동식 후면 윈도우, MP3 재생 기능이 있는 라디오 및 CD 플레이어가 추가 탑재되었다. 안전장비로는 사양에 따라 다르나 운전석 및 조수석 에어백, [[ABS]], 전자식 제동 분배 장치, 전후면 도어 도난 방지 강화가 이루어졌으며 높이 조절식 앞좌석 안전띠, 파워 스티어링 및 후면 주차 센서가 탑재되었다. 차량의 전장은 4,261mm, 전폭은 1,639mm, 전고는 1,439mm, 휠베이스는 2,473mm, 공차중량은 904kg~1,045kg이었다. [[튀르키예]] 시장에서는 이 차량이 경찰차로 활용되기도 했다. ==== 파워트레인 ==== ||||||||||||||||||||||<#FDB515> '''르노 심볼(2세대) 파워트레인''' || ||<-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fffff> '''구분''' || '''1.2L''' |||||| '''1.4L''' |||||| '''1.5L''' |||||| '''1.6L''' || ||<#ffffff> '''엔진 코드명''' || D4F 728형 || K7J 700형 || K4J 712형 || K4J 713형 || K9K 700형 || K9K 740형 || K9K 718형 || K7M 하이-플렉스 || K4M 745형 || K4M 하이-플렉스 || ||<#ffffff> '''엔진 형식''' || 16밸브 I4 엔진 || 8밸브 I4 엔진 |||| 16밸브 I4 엔진 |||||| 8밸브 dCi I4 엔진 || 8밸브 I4 엔진 |||| 16밸브 I4 엔진 || ||<#ffffff> '''최대 파워''' |||| 74마력 |||| 97마력 || 63마력 || 64마력 || 83마력 || 94마력 || 104마력 || 113마력 || ||<#ffffff> '''최대 토크''' || 105Nm || 114Nm |||| 127Nm |||| 160Nm || 200Nm || 138Nm || 148Nm || 157Nm || ||<#ffffff> '''최고 속도''' || 167km/h || 170km/h || 185km/h || 180km/h |||| 160km/h || 177km/h || 174km/h || 185km/h || - || ||<#ffffff> '''제로백''' || 13.0초 || 12.5초 || 11.5초 || 13.9초 || 15.2초 || 16.5초 || 12.3초 || 11.5초 || 11.9초 || - || ||<#ffffff> '''연비''' || 약 16.9km/L || 약 14.1km/L || 약 14.3km/L || 약 13.7km/L || 약 21.3km/L || 약 22.2km/L || 약 23.3km/L || - || 약 13.2km/L || - || ||<#ffffff> '''Co2 배출량(g/km)''' || 140g || 168g || 165g || 174g || 126g || 118g || 116g || - || 180g || - || }}} || 이와 함께 5단 [[수동변속기]]와 4단 [[자동변속기]]를 탑재하였다. 또한 1.6L 엔진은 플렉스 퓨얼 사양과 가솔린 사양이 있었고 1.5L 엔진은 디젤 사양이었다. === 3세대(2012~2021) === [[파일:2013 르노 심볼.png|width=700]] [[2013년]]형 차량 [[2012년]] 이스탄불 모터쇼에서 최초로 공개되었으며 같은 해 말에 출시가 이루어졌다. 중부 유럽 [[르노]] 디자인 센터에서 개발되었고 2세대 [[다치아 로간]]의 [[배지 엔지니어링]] 사양으로 판매되고 있다. 생산은 [[튀르키예]] [[부르사]] [[르노]] 공장, [[루마니아]] 미오베니 공장, [[모로코]] [[카사블랑카]] 공장, [[러시아]] [[톨리야티]] 공장, [[브라질]] 상조세두스피냐이스 공장, [[콜롬비아]] 엔비가도 공장, [[아르헨티나]] [[코르도바]] 공장에서 이루어진다. [[2013년]]에 [[튀르키예]]를 시작으로 [[알제리]], [[튀니지]] 시장에 출시되었고 [[브라질]] 및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르노 로간으로, [[칠레]], [[루마니아]], [[러시아]], [[콜롬비아]], [[모로코]] 등지에서 판매되었다. [[2014년]]부터는 [[알제리]] 오란 지역에서도 CKD 형태로 차량을 생산하고 있다. 생산능력은 연간 25,000대로 이후에 75,000대까지 생산할 수 있다고 한다. 각국에서 생산되는 차량은 실내 및 외관의 차이가 크지 않은 편이다. 다르다면 실내는 대시보드 중앙부, 외부는 대형 르노 배지, 다른 헤드램프, 전후면 디자인 일부에 차이가 있다. [[튀르키예]] 시장에서는 1.2L 16밸브 가솔린 I4 엔진을 탑재했으며 75PS의 파워와 107Nm의 최대 토크를 냈다. 또한 1.5L 디젤 I4 엔진이 탑재되어 90PS의 파워와 220Nm의 최대 토크를 낸다. 이 엔진 모두 5단 [[수동변속기]]가 적용되었으며 7개의 색상과 2개의 사양이 제공되었다. [[다치아 로간]]에 탑재된 M0 플랫폼이 적용되었다. [[칠레]] 시장에서는 1.6L 가솔린 I4 엔진이 탑재되어 83PS의 파워와 131Nm의 최대 토크를 냈다. 칠레 내에서는 'Expression', 'Dynamique', 'Privilege' 사양으로 판매가 이루어졌다. 이외 [[파워트레인]]으로는 0.9L 가솔린 터보 I3 엔진 사양이 있다. 차량의 전장은 4,346mm, 전폭은 1,733mm, 전고는 1,517mm, 휠베이스는 2,634mm, 공차중량은 1,049kg~1,268kg이다. || [[파일:르노 심볼.png|width=450]] || [[파일:르노 로간.png|width=450]] || || [[2020년]]형 르노 심볼 || [[2020년]]형 르노 로간 || [[2017년]] 1분기에 [[페이스리프트]]가 이루어졌으며 전후면 디자인과 실내 등 [[튀르키예]] 및 [[칠레]] 등에서 판매하는 심볼의 디자인의 변화가 있었다. 또한 이지-R 5단 [[반자동 변속기]]가 탑재되었다. 중남미 지역 사양인 '르노 로간'의 디자인이나 장비 등에서 차이가 있다. 이 시기부터 [[마그레브]] 지역 및 [[UAE]],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등 [[페르시아]] 및 [[페르시아만]] 지역 등지에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다. [[2021년]]에 후속 차종으로 [[르노 탈리안트]]가 등장함으로 인해 단종 수순을 밟게 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르노의 차량)] [[분류:르노/생산차량]][[분류:1999년 출시]][[분류:2021년 단종]][[분류:소형 세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