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르노|[[파일:르노 로고(2015-2021).svg|width=1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Renault Vel Satis.jpg|width=100%]]}}} || || {{{#fff '''VEL SATIS'''}}} || [목차] '''RENAULT VEL SATIS''' == 개요 == 프랑스의 자동차 제조사 [[르노]]에서 2002년부터 2009년까지 생산한 고급 '''[[준대형차|준대형]] [[해치백]]'''이다. 이름의 의미는 Velocity(속도)와 Satisfaction(만족)의 합성어이다. == 제원 == ||<-2> '''차량 제원''' || || '''생산 기간''' ||2002년~2009년 || || '''엔진''' ||가솔린 - I4 2.0L / V6 3.5L[br]디젤 - I4 2.0 dCi / I4 2.2L dCi / V6 3.0L dCi || || '''변속기''' ||수동 6단 / 자동 5단 / 자동 6단 || || '''구동방식''' ||[[FF(자동차)|전륜구동]] || || '''전장''' ||'''4,860mm'''[* [[르노코리아 SM6|SM6]](4,850mm)보다도 길다. 트렁크가 없는 해치백임을 감안하면 확실히 길다고 볼 수 있다. 다만 휠베이스는 30mm 정도 차이난다.] || || '''전폭''' ||1,860mm || || '''전고''' ||1,580mm || || '''휠베이스''' ||2,840mm || || '''공차중량''' ||1,640~1,810kg || || '''최고속도''' ||231km/h || || '''제로백 (0→100km/h)''' ||7.9초 || || '''승차인원''' ||5명 || == 상세 == ||[[파일:external/www.vel-satis.org/Low-mileage-Renault-Vel-Satis-V6-petrol-Privilege-for-sale-used-classified-Gloucestershire-photo-front-34.jpg|width=100%]]||[[파일:external/c5.staticflickr.com/11909614836_c23d1df333_b.jpg|width=100%]]|| 2002년 9월에 [[르노 사프란#s-2|1세대 사프란]]의 후속으로 출시되었다. [[르노 라구나|라구나]]/[[르노 에스파스|에스파스 IV]]의 [[FF(자동차)|전륜구동]] 플랫폼을 사용했으며, 엔진은 2.0L, V6 3.5L 가솔린 2종과 2.0L, 2.2L, V6 3.0L 디젤 3종이 탑재된다. 생산지는 라구나/에스파스와 똑같은 프랑스 상두빌(Sandouville) 공장이다. 르노 최초로 ACC(Adaptive Cruise Control)가 장착된 데다, 안전에도 상당히 신경을 써 유로 NCAP 충돌 테스트에서도 별 5개를 달성했다. 벨 사티스는 고급차 내지 기함답지 않게 높은 전고[* 사프란보다도 13cm 더 높다.]를 자랑했는데, 실내 공간을 넓히는 데 기여하면서도 차량의 비례에 악영향을 끼치는, 그야말로 양날의 검이었다. 아래에서 언급되지만 영국의 "카" 잡지에서 "못생겼지만 프랑스답다"고 디자인을 평가했으며, 디자인 비평가인 스티븐 베일리(Stephen Bayley)는 "충분히 못나지 않은 게 문제"라고 평가하는 등, 디자인에 대해 상당히 말이 많았다. 당시 르노를 이끌던 수석디자이너인 파트릭 르 케망(Patrick Le Quément)은 "고전적인 우아함 대신 물질적 존재감(physical presence)을 지닌 디자인으로 의도했다"고 양산형 벨 사티스의 디자인에 대해 해명했다. 르노 측에서도 "까다롭고, 기존 관습과는 거리를 두는 차별화된 고객들"을 위한 전통적인 세단의 대안, 즉, 고급차의 프랑스적인 재해석을 의도했다고 말했다. 언론들은 벨 사티스에 대해서 여러 상황에서도 차량이 상당히 조용하다고 평가했으며, 뛰어난 정숙성과 잘 어울린다는 이유로 V6 디젤 엔진 사양을 고를 것을 추천했던 반면, 고속에서 잘 흔들리는 승차감과 핸들링, 힘 전달을 잘 하지 못하는 변속기를 단점으로 꼽았다. 운전 감각도 별로인데다가 기존 고급차와 너무 이질감이 크다보니 판매량[* 영국 내에서는 3천 5백 대가 판매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3분의 1 정도만 달성했다.]은 기대 이하였고, 2005년 3월에는 영국에서 벨 사티스의 판매가 중단되기도 했다. ||[[파일:external/www.my-lhd.co.uk/8021d-car-renault-vel%20satis-4.jpg|width=100%]]||[[파일:IMG_6022.jpg|width=100%]]|| 2005년식 벨 사티스는 그릴에서 크롬을 줄여 좀 더 동시대 르노차같은 느낌을 주려고 했고, 2009년 8월 27일까지 판매된 후 단종되었으며, 이후 [[르노 래티튜드|래티튜드]]로 대체됐다. 프랑스에서는 벨 사티스가 2009년까지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의 의전 차량으로 사용되었다. == 디자인 == ||[[파일:external/i.wheelsage.org/autowp.ru_renault_vel_satis_concept_3.jpg|width=100%]]||[[파일:external/i.wheelsage.org/autowp.ru_renault_vel_satis_concept_8.jpg|width=100%]]|| 1998년 파리 오토살롱에서 공개한 컨셉트카를 바탕으로 만든 차량이다. 꽤나 혁신적인 디자인을 자랑했었으나, 막상 2001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공개된 양산형은 이러한 면들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 [[파일:external/i.wheelsage.org/autowp.ru_renault_vel_satis_24.jpg|width=700]] 컨셉트카에서 그나마 존재하던 글라스 루프 등의 혁신적인 면들은 반영하지 못한 채 일부 디자인만 흔적처럼 남고 말았다. 그 디자인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의 악평을 피해가지 못했다. 르노는 CUV와 세단의 장점을 합친 차량의 컨셉으로 벨 사티스를 제작했으나, 결국 세단도 미니밴도 해치백도 아닌 어중간하면서도 너무 특이한 생김새를 해서 본국 [[프랑스]]와 유럽은 물론이고 해외에서도 "뭐가 뭔지 모르겠다는 디자인" 또는 "못생긴 디자인"이라고 악평이 많았다. 오죽했으면 2002년에 유럽의 자동차 잡지인 "카" 매거진에서 이 차를 Ugly and very French(추하면서도 프랑스적이다)라고 비웃을 정도였으니 말 다 했다. 물론 [[https://www.netcarshow.com/renault/2005-vel_satis/1024x768/wallpaper_0e.htm|실내사진]]을 보면 그나마 멀쩡해 보인다만 전체적 생김새와 균형 등등에서 다 말아먹었다. 톡톡 튀는 모양으로 유명한 [[시트로엥]]도 있긴 하나 그쪽은 --약간 특이하면서도-- 개성 넘치는 디자인을 밀고 있기 때문에 "이 회사 차들은 이런 디자인을 하는구나" 식으로 넘어갈 수 있지만 벨 사티스는 욕을 엄청 먹는 편이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르노의 차량)]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르노,version=143)] [[분류:르노/생산차량]][[분류:2002년 출시]][[분류:2009년 단종]][[분류:해치백]][[분류:준대형차]][[분류:나무위키 자동차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