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六擡洞驛 / Ryukdae-dong Station}}} ||<-3> {{{+2 '''륙대동역'''}}}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북한 함경남도 육태동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Ryukdae-dong || || [[한자]] ||<-2> 六擡洞 || || [[중국어]] ||<-2> 六坮洞 || || [[일본어]] ||<-2> [ruby(六, ruby=リュク)][ruby(坮, ruby=テ)][ruby(洞, ruby=ドン)] || ||<-3> '''주소''' || ||<-3> [[함경남도]] [[신포시]] 륙대동 || ||<-3> '''관리역 등급''' || ||<-3> 불명[br](함흥철도총국) || ||<-3> '''운영 기관''' || || [[평라선]]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로고.svg|width=120px]]]] || ||<-3> '''개업일''' || || [[함경선]] ||<-2> 1924년 10월 11일 || ||<-3> '''열차거리표''' || || [[평양역|{{{#585858 {{{#!html
평양 방면
}}}}}}]][[풍어역|풍 어]][br]← 6.7 ㎞ || '''[[평라선]]'''[br]륙대동 || [[라진역|{{{#585858 {{{#!html
라진 방면
}}}}}}]][[신포역(평라선)|신 포]][br] 4.2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평라선]]의 철도역. [[함경남도]] [[신포시]] 륙대일동 소재. == 역 정보 == [[http://vienna-pyongyang.blogspot.com/2008/09/tumangan-north-korean-border-station.html|오스트리아인의 두만강역 - 평양역 여행기]]를 제외한 '''어떤 자료에서도 등장하지 않는다.''' 《최신 북한·중국지도》에서도, 《북한 교통지도》에서도, 심지어는 [[http://www.cybernk.net/infoText/InfoAdminstList.aspx?ac=A0803&mc=AD0101&direct=1|이 사이트]]에서조차도 빠져 있다. 오직 [[구글 어스]]상으로만 확인이 가능한 역. 더 큰 문제라면, 역의 규모가 작으면 모르겠는데, 역의 규모가 '''승강장의 길이만 4~500m 정도는 될 정도로''' 확실히 크다. [[http://loewelad.tistory.com/746?srchid=BR1http://loewelad.tistory.com/746|이 자료]]에서는 해당 역이 나와 있기는 한데, 풍어역으로 잘못 나와 있다(...) 무엇보다 저 여행기에는 '''사진이 찍혀 있기 때문에''' 증빙자료로 확인할 수 있다. 아무래도 [[비날론역]] 인근처럼 대대적인 수정이 가해져야 할 듯하다. 아무래도 어떠한 [[어른의 사정]]으로 묻혔을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이 역은 '''영무(靈武)역이라는 이름으로 함경선 부설 당시부터 존재해 왔던 역이기 때문.''' 단 러시아인이 쓴 여행기에서는 육태동(Yuktae-dong)으로 읽고 있다. 몇몇 지도에서도 육대동을 육태동으로 읽고 있지만, 육대동이 맞다. 坮가 '매질할 태' 또는 '들 대'로 읽히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긴 한데, 광복 직후의 행정 표기는 확실히 육대동이었다. == 기타 == 육대동을 六坮洞으로 쓰기도 한다. 광복 직후의 공식 한자명은 六擡洞이었지만 현 북한에서 쓰고 있는 육대동의 한자 표기는 六坮洞이기 때문. 육대동의 유래는 동 최남단에 있는 육대단(六擡端)에서 유래한 듯하다. 인근에 봉수대터도 남아 있으며, 도로를 따라 약 4km 정도 떨어져 있다. 전체적으로 동의 규모가 로동자구 뺨치고, 굉장히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일견 일반적인 로동자구보다도 더 커 보이며, 역에서는 조금 떨어져 있지만 항만시설과도 멀지 않기 때문에 상당히 큰 구역이다. 다만... [[분류:평라선]][[분류:1924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북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