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류택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두산 베어스 1차 지명선수)] ---- ||
'''류택현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투수#s-5|[[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br] '''{{{#ffffff 2007 KBO 리그 홀드왕}}}''' || ---- ||<-5>
'''{{{#fff [[OB 베어스|{{{#ffffff OB 베어스}}}]] 등번호 28번}}}''' || || [[김보선(야구)|김보선]][br](1992~1993) || {{{+1 →}}} || '''류택현[br](1994~1997)''' || {{{+1 →}}} || 장성진[br](1998~2002) || ||<-5> '''{{{#fff [[OB 베어스|{{{#ffffff OB 베어스}}}]] 등번호 31번}}}''' || || [[최용희(야구)|최용희]][br](1996~1997) || {{{+1 →}}} || '''류택현[br](1998)''' || {{{+1 →}}} || 문상호[br](2000~2002)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60번}}}''' || || 김덕환[br](1997~1998) || {{{+1 →}}} || '''류택현[br](1999)''' || {{{+1 →}}} || [[김상엽]][br](2000~2001)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14번}}}''' || || [[심재학]][br](1995~1999) || {{{+1 →}}} || '''류택현[br](2000~2010)''' || {{{+1 →}}} || [[김재율]][br](2011~2012)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90번}}}''' || || [[차명석]][br](2009~2011) || {{{+1 →}}} || '''류택현[br](2012)''' || {{{+1 →}}} || [[최동수]][br](2014~2018)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14번}}}''' || || [[김재율]][br](2011~2012) || {{{+1 →}}} || '''류택현[br](2013~2014)''' || {{{+1 →}}} || [[김재율]][br](2015~2018)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99번}}}''' || || [[배민관]][br](2013~2014) || {{{+1 →}}} || '''류택현[br](2015~2016)''' || {{{+1 →}}} || [[김광삼]][br](2017~) || ||<-5> '''{{{#fff [[kt wiz|{{{#ffffff kt wiz}}}]] 등번호 99번}}}''' || || [[김주원(1991)|김주원]][br](2014~2016) || {{{+1 →}}} || '''류택현[br](2017~2018)''' || {{{+1 →}}} || 이범정[br](2019) || ||<-5> '''[[KIA 타이거즈|{{{#fff KIA 타이거즈}}}]] {{{#fff 등번호 99번}}}''' || || [[브렛 필|필]][br](2014~2016) || {{{+1 →}}} || '''류택현[br](2019~2022)''' || {{{+1 →}}} || 결번 || }}} || ---- || '''{{{#FFFFFF A대표팀 참가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김경문호/2007 야구선수권대회 엔트리)]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류택현 정면 프로필.jpg|width=100%]]}}} || ||<-2> '''{{{+2 류택현}}}[br]柳澤鉉 | Ryu Taekhyun''' || ||<|2> '''출생''' ||[[1971년]] [[10월 23일]] ([age(1971-10-23)]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서울도곡초등학교|서울도곡초]] - [[신일중학교(서울)|신일중]] - [[휘문고등학교 야구부|휘문고]] - [[동국대학교 야구부|동국대]][* 체육교육과 1990학번] || || '''신체''' ||184cm, 88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94년/신인드래프트#s-2|1994년 1차 지명]] ([[OB 베어스|OB]]) || || '''소속팀''' ||[[OB 베어스]] (1994~1998) [br]'''[[LG 트윈스]] (1999~2010, 2012~2014)''' || || '''지도자''' ||[[LG 트윈스]] 플레잉코치 (2012) [br][[LG 트윈스/2군|LG 트윈스 2군]] 투수코치 (2015) [br][[LG 트윈스]] 육성군 투수코치 (2016) [br][[kt wiz/2군|kt wiz 2군]] 투수코치 (2017) [br][[kt wiz]] 1군 불펜코치 (2018) [br][[KIA 타이거즈/2군|KIA 타이거즈 2군]] 투수코치 (2019)[* ~5월 16일] [br][[KIA 타이거즈]] 육성군 투수코치 (2019)[* 5월 17일~] [br][[KIA 타이거즈]] 잔류군 투수코치 (2020) [br] [[KIA 타이거즈/2군|KIA 타이거즈 2군]] 투수코치 (2021~2022) [br] [[제물포고등학교 야구부]] 투수코치 (2023~)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LG 트윈스]] 소속의 [[투수]]. 前 [[KIA 타이거즈/2군|KIA 타이거즈 2군]] 투수코치. 대표적인 대기만성형 선수로 [[김성근]] 감독을 통해 프로에서 눈을 뜬 후 주로 좌완 [[원 포인트 릴리프]]로 등판하며 쏠쏠한 활약을 했고, 꾸준한 몸 관리로 상록수라는 별명을 얻으며 대졸 출신 선수 임에도 21시즌 동안 선수 생활을 이어 갔다. 투수 최다 출장 기록 2위라는 기록의 보유자다.[* 2021년 6월 30일자로 [[정우람]]이 902경기를 돌파하면서 류택현의 901경기 출장을 경신했다.] == [[류택현/선수 경력|선수 경력]] == || '''류택현의 선수 경력'''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통합 선수 경력: [[류택현/선수 경력]]''' || ||<-3>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10]] || || [[류택현/선수 경력#s-1|'''{{{#ffffff OB 시절}}}''']] ||<-2> [[류택현/선수 경력#s-2.1|'''{{{#ffffff 1999~2010년}}}''']] || || [[류택현/선수 경력#s-2.4|'''{{{#ffffff 2012년}}}''']] || [[류택현/선수 경력#s-2.5|'''{{{#ffffff 2013년}}}''']] || [[류택현/선수 경력#s-2.6|'''{{{#ffffff 2014년}}}''']] || }}}}}}}}} || == 지도자 경력 == === [[LG 트윈스]] === 2015년부터 [[경헌호]]와 함께 2군 투수코치에 임명되어 지도자 생활을 하게 되었다. [[양상문]] 감독도 [[임지섭]]은 류택현의 1호 제자라고 했으니. 그리고 수석코치로 돌아온 [[차명석]]과 함께 탈모가 발생하는 소리가 들릴 기세다. 1호 제자인 [[임지섭]]이 2년차까지 부진한 성적을 기록하면서 코치 류택현의 능력에 의문을 제기하는 팬들이 많았다. 결국 임지섭은 군복무 후에도 투구폼을 정립하지 못한 채 2021시즌 후 방출되며 사실상 류택현이 망친 1차지명 픽이 되어버렸다. 2015 시즌이 종료된 후 육성군 투수코치로 이동하였고 2016 시즌이 종료된 후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109&aid=0003425938|재계약을 하지 않게 되었다.]] === [[kt wiz]] === 2016년 11월 24일, [[kt wiz]] 코치로 부임했다. [[http://m.sporbiz.co.kr/news/articleView.html?idxno=54739|기사]] 2017시즌에는 2군 투수코치를 맡았고 2018시즌부터는 1군 불펜코치를 맡는다. 2018 시즌 후 재계약 불가 통보를 받으면서 팀을 떠나게 되었다. === [[KIA 타이거즈]] === 2019년 1월 7일 [[KIA 타이거즈]]의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529&aid=0000030164|코치로 부임했다.]] 2022 시즌 후 재계약 불가 통보를 받아 팀을 떠났다. === 아마추어 야구 === 2023년 [[제물포고등학교 야구부]] 투수코치를 맡으며 처음으로 아마추어 야구 지도자로 활동하게 됐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 '''{{{#red,#ff0000 붉은 글씨}}}'''는 1위 기록. '''진한 글씨'''는 리그 5위 내 기록. ||<-13>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이닝 || 평균자책 || 승 || 패 || 세이브 || 홀드[* 1999년까지는 기록하지 않음.]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탈삼진 || || 1994 ||<|5> [[OB 베어스|OB]] || 13 || 26⅓ || 3.76 || 0 || 1 || 0 || 0 || 26 || 2 || 14 || 24 || || 1995 || 8 || 3⅓ || 10.80 || 0 || 0 || 0 || 0 || 3 || 0 || 4 || 2 || || 1996 || 47 || 35 || 2.57 || 0 || 1 || 1 || 0 || 32 || 1 || 23 || 28 || || 1997 || 48 || 40 || 3.38 || 0 || 2 || 0 || 0 || 35 || 1 || 24 || 36 || || 1998 || 49 || 31 || 7.26 || 0 || 2 || 1 || 0 || 38 || 6 || 23 || 20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이닝 || 평균자책 || 승 || 패 || 세이브 || 홀드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탈삼진 || || 1999 ||<|15> [[LG 트윈스|LG]] || 33 || 43⅓ || 5.19 || 1 || 0 || 0 || 0 || 45 || 8 || 19 || 38 || || 2000 || 38 || 43 || 6.49 || 3 || 2 || 0 || 1 || 46 || 6 || 14 || 42 || || 2001 || 45 || 35 || 7.46 || 3 || 2 || 1 || 6 || 38 || 8 || 28 || 34 || || 2002 || '''77''' [br] (3위) || 46 || 4.11 || 0 || 2 || 0 || '''13''' [br] (2위) || 40 || 9 || 15 || 46 || || 2003 || '''75''' [br] (5위) || 37⅔ || 3.11 || 1 || 2 || 0 || 12 || 33 || 6 || 23 || 44 || || 2004 || {{{#ff0000 '''85'''}}} [br] (1위) || 50⅔ || 3.38 || 0 || 3 || 1 || '''17''' [br] (3위) || 49 || 2 || 24 || 53 || || 2005 || '''69''' [br] (5위) || 52 || 3.63 || 0 || 5 || 0 || '''13''' [br] (5위) || 51 || 3 || 21 || 41 || || 2006 || 16 || 8⅔ || 5.19 || 0 || 1 || 1 || 4 || 11 || 0 || 4 || 8 || || 2007 || {{{#ff0000 '''81'''}}} [br] (1위) || 40 || 2.70 || 0 || 3 || 0 || {{{#ff0000 '''23'''}}} [br] (1위) || 37 || 1 || 22 || 36 || || 2008 || 38 || 14⅔ || 11.05 || 0 || 1 || 0 || 2 || 27 || 1 || 10 || 10 || || 2009 || {{{#ff0000 '''73'''}}} [br] (1위) || 48⅔ || 2.96 || 4 || 1 || 1 || 12 || 38 || 2 || 17 || 33 || || 2010 || 16 || 4⅔ || 7.71 || 0 || 0 || 0 || 0 || 10 || 0 || 5 || 3 || || 2012 || 30 || 24⅓ || 3.33 || 3 || 1 || 0 || 3 || 20 || 2 || 9 || 15 || || 2013 || 58 || 29⅓ || 3.07 || 0 || 0 || 0 || 16 || 31 || 2 || 6 || 23 || || 2014 || 2 || 1 || 27.00 || 0 || 0 || 0 || 0 || 3 || 2 || 1 || 0 || ||<-2> '''[[KBO 리그|KBO]] 통산''' [br] (20시즌) || '''901''' [br] (2위) || 614⅔ || 4.41 || 15 || 29 || 6 || '''122''' [br] (5위) || 613 || 62 || 308 || 536 || == 기타 == * 위에서도 언급이 되었지만, 현역 선수 중에서 가장 나이 많은 노총각이었다. 그래서 야구 커뮤니티의 [[LG 트윈스|LG]] 팬들 사이에서는 과연 은퇴가 먼저일지 아니면 장가가 먼저일지도 하나의 관심거리. 보다못한 [[이승호(1976)|큰 이승호]]의 아내가 [[짝(SBS)|짝]]에 신청서를 냈다고 했는데 연락이 없는 걸로 봐서 출연은 물건너간 듯 싶다. 참고로 이상형은 [[전원일기]]의 [[김혜자]]같은 [[현모양처]]라고. 2015 시즌 후 드디어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44&article_id=0000393684&date=20151111&page=1|결혼에 성공했다.]] 팀 후배인 박용택이 유독 기뻐했다. * [[방위병]]으로 복무했을 때 [[낫]]질을 하면서 '''근력'''을 꽤 키웠다고 한다. * 비시즌에는 스키를 타는 것이 취미라고 한다. 상급자용 기술을 무리없이 해내는 고수라고.[* 팀 선배였던 [[장호연]] 역시 비시즌에 취미로 스키를 탔다.] * 맨 위에 사진처럼 탈모가 있어 노총각 이미지가 더 돋보였다. 그래도 모자만 쓰면 꽤 준수한 얼굴이다. 박용택은 저 사진을 보고 안습해서 울었다고 농담을 했다. 본인도 충격을 받아 이후에는 머리를 따로 심었는지 저 사진보다는 숱이 많아졌다. * 배우 [[박소현(배우)|박소현]]이랑 초등학교 동창이다. [[서울도곡초등학교]]를 같은 해에 입학했었다. * 2014 시즌 후 류택현의 은퇴로 1994시즌에 데뷔한 현역 선수는 [[NC 다이노스]]의 [[이호준]]만 남았다. 그 이호준도 2017 시즌을 끝으로 은퇴하게 되면서 94 데뷔 선수들을 현역으로는 볼 수 없게 되었다. * LG 이적 첫 해인 1999년에는 60번을 달았으나, 당시 14번을 달던 [[심재학]]이 1999년 말 트레이드를 통해 [[현대 유니콘스]]로 이적하자 심재학이 달던 14번을 달게 되었다. 류택현은 야구를 처음 시작했을 때부터 고교 시절까지 14번을 달았으나, [[동국대학교 야구부|동국대학교]] 진학 후 1년 선배가 14번을 쓰고 있는 바람에 쓰지 못했다고 한다. [[OB 베어스]] 입단 후에도 14번을 달지 못했고 [[LG 트윈스|LG]] 이적 후 2000년에야 다시 14번을 달게 된 셈. 위 2.2 문단에 있는 LG 트윈스 시절 사진은 2000년 초반 사진으로 바지 부분을 보면 미처 등번호를 교체하지 못해 1999년 달던 60번이 있는게 보인다. *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11&aid=0000071847|등번호 14번을 선호하는 이유]]가 초등학생 시절에 봤던 야구만화 주인공인 [[독고탁]]의 등번호가 14번이라 그걸 보고 본인도 달았다고 한다.[* 마침 류택현도 독고탁도 둘 다 좌완 투수다.] * [[박명환야구TV]] [[LG 트윈스]] 출신 선수들이 나왔을 때 가끔 언급됐다. 박명환이 투수 조장일 때 투수진 최고참이었다고 한다. 당시 투수진 고참 서열은 류택현 - [[최원호]] - [[오상민]] - [[신윤호(1975)|신윤호]] 순서였던 듯. * [[박명환야구TV]]에서 [[신윤호(1975)|신윤호]]가 언급하기를 어느 날 LG로 복귀한 이상훈이 투수들을 집합시켜 머리 박기 얼차려를 시켰는데 투수조 선임에 속한 류택현이 자신도 머리를 박아야 하나 고민하던 찰나 이상훈이 '류택현 너도 박아 임X'라고 소리치며 결국 같이 머리를 박았다고 한다.[* 심지어 류택현은 이상훈과는 고작 1년 차이다.][* 참고로 이 일화를 언급한 당사자 신윤호는 이 때 이상훈에게 따귀를 맞았다고 한다.] 물론 이상훈의 행동은 지금은 당연히 근절되어야 할 행위이다. 지금 그랬다가는 사회적 지탄은 물론 야구판에서도 매장당할 행위이다. * 초년기에는 LG 트윈스 좌완 투수 중 실패한 투수의 대명사를 맡고 있었던 듯하다. 2001년, 02년 입단 예정인 대졸 선수들[* 당시에는 지명권이 대학 진학 후에도 유지되었기 때문에 고졸선수를 지명해 놓고 대학으로 보내는 경우가 많았다.]에 대해 [[동아일보]]가 게재한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010718/7716146/1|스카우팅 리포트]]에서 [[서승화]]에 대해 "제 2의 [[이상훈(좌완투수)|이상훈]]이냐, 제 2의 유택현이냐"로 평가했던 것을 보면... 01년까지는 정말 '1군에서 계투로 뛰고만 있다 수준'의 성적이긴 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71년 출생]][[분류:1994년 데뷔]][[분류:2014년 은퇴]][[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서울도곡초등학교 출신]][[분류:휘문고등학교 출신]][[분류:동국대학교 출신]][[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좌타]][[분류:OB-두산 베어스/은퇴, 이적]][[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분류:KBO 홀드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