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류중일호/2023년)] [include(틀:관련 문서, top1=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야구/일정 및 결과)] [include(틀: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목차] [clearfix] == 개요 == 2023년 10월 3일에 진행된 [[태국 야구 국가대표팀|태국]]과의 경기이자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야구]] B조 6경기. [[류중일호/2023년|류중일호]]의 3번째 경기이기도 하다. == 경기 전 == [[류중일]] 감독은 [[장현석]]을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은 홍콩전 혹은 태국전 선발투수로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11&aid=0001643234|#]] 장현석은 앞서 국내에서 열린 [[상무 피닉스 야구단]]과의 연습경기에서 1이닝 2탈삼진 퍼펙트의 좋은 투구 내용을 기록했다. 다만 성인 대표팀 경력이 없는 선수이기에 첫경기 홍콩전 보다는 3차전 태국전 선발 등판이 유력하다.[* 그리고 예상대로 홍콩전에 선발로 등판하지 않으면서 태국전 등판일 확률이 올라갔다.] 벤치에서는 전날(대만전) 총력전 여파와 이후 경기에서의 불펜 관리 차원에서 장현석에게 최대한 긴 이닝을 소화해 주기를 바라고 있다고 한다.[[https://youtu.be/aqgq-gA7oEA?si=ekZkpvgboGno__p9&t=531|#]] 최약체 태국 전력상 5회 콜드게임이 유력하므로, 전력 소모 없이 빠르게 경기를 마무리 짓는게 본 경기의 목표다. 같은 날, 대만이 홍콩전을 승리할 가능성이 높으며, 따라서 대한민국은 이 경기 승리시 2승 1패로 '''2위'''가 될 가능성이 높다. == 라인업 == ||<-6> '''B조 6경기 선발 라인업''' || ||<-3> {{{#ffffff '''태국'''}}} ||<-3> {{{#ffffff '''대한민국'''}}} || || {{{#ffffff 타순}}} || {{{#ffffff 선수명}}} || {{{#ffffff 포지션}}} || {{{#FFF 타순}}} || {{{#FFF 선수명}}} || {{{#FFF 포지션}}} || || 1 || 키티퐁 통로 || CF || 1 || [[김혜성]] || 2B || || 2 || 유타이 료토 || LF || 2 || [[최지훈]] || CF || || 3 || 사카이 프레차이 || RF || 3 || [[윤동희]] || RF || || 4 || 파콘 차이카우 || 1B || 4 || [[노시환]] || 3B || || 5 || 퐁사톤 니투톤 || SS || 5 || [[문보경]] || 1B || || 6 || 시라풉 나디 || DH || 6 || [[강백호(야구선수)|강백호]] || DH || || 7 || 시티촉 아운므앙 || 3B || 7 || [[김주원(2002)|김주원]] || SS || || 8 || 욧사폴 아티디 || C || 8 || [[김동헌]] || C || || 9 || 요사판 세와 || 2B || 9 || [[김성윤]] || LF || || P || 품웃 웃티꼰 || SP || P || [[나균안]] || SP || == 경기 내용 == ||<-2><)>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 |width=128]] ||<-14>'''{{{+5 {{{#dd0b7c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야구}}}}}}''' {{{+5 {{{#dd0b7c '''B조 6경기'''}}}}}}[br]''{{{-1 {{{#433feb XIX Asian Games™ Hángzhōu 2022 - Baseball Men's Second Stage[br]Group Round B Game 6}}}}}}''[br]{{{#000,#fff '''2023.10.03. 13:00 | 사오싱 야구 스포츠 문화 센터 2구장'''}}}{{{#!wiki style="margin: 10px 0px 10px;" [include(틀:색상 수평줄, 색상=#CCC)]}}}{{{#000,#fff [[KBS 2TV|[[파일:KBS 2TV 로고.svg|width=40]]]] 캐스터: [[이호근|{{{#000,#fff 이호근}}}]] | 해설: [[박용택|{{{#000,#fff 박용택}}}]], [[박찬호|{{{#000,#fff 박찬호}}}]][br][[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캐스터: [[한명재|{{{#000,#fff 한명재}}}]] | 해설: [[정민철|{{{#000,#fff 정민철}}}]], [[박재홍|{{{#000,#fff 박재홍}}}]][br][[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캐스터: [[정우영(아나운서)|{{{#000,#fff 정우영}}}]] | 해설: [[이순철|{{{#000,#fff 이순철}}}]], [[이대호|{{{#000,#fff 이대호}}}]][br][[TV CHOSUN|[[파일:TV CHOSUN 로고.svg|width=40]]]] 캐스터: [[임용수|{{{#000,#fff 임용수}}}]] | 해설: [[김진욱(1960)|{{{#000,#fff 김진욱}}}]], [[양준혁|{{{#000,#fff 양준혁}}}]][br][[SPOTV NOW|[[파일:SPOTV NOW 로고.svg|height=13&theme=light]][[파일:SPOTV NOW 로고 화이트.svg|height=13&theme=dark]]]] 캐스터: [[이승현(캐스터)|{{{#000,#fff 이승현}}}]] | 해설: [[민훈기|{{{#000,#fff 민훈기}}}]]}}} || ||<-16>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 ||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태국 야구 국가대표팀|{{{#000,#fff 태국}}}]]''' || '''품웃 웃티꼰''' || 0 || 0 || 0 || 0 || 0 || X || X || X || X || '''0''' || 4 || 2 || 0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000,#fff 대한민국}}}]]''' || ''' [[나균안]] ''' || 2 || 4 || 1 || 10 || X || X || X || X || X || '''17''' || 11 || 0 || 7 || ||<-16>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dd0b7c, #b223ba, #433feb)" {{{#FFF '''[[https://info.hangzhou2022.cn/en/results/baseball/results-baseball-men-gpb-000600-.htm|{{{#FFF '''매치 리포트'''}}}]]'''}}}}}} || [youtube(MkXp2AQdEaM)] === 1~3회 === * 1회초: 나균안이 텅러와 료토를 연속으로 삼진처리하였고, 프라차이를 유격수 플라이로 보내면서 무출루로 이닝을 종료하였다. * 1회말: 김혜성의 3루타에 뒤이어 '''최지훈의 2루 땅볼로 선취점을 냈다.(0-1)''' 이후 윤동희의 몸에 맞는 공과 노시환의 안타로 만들어진 1,3루 상황에서 '''문보경의 땅볼로 다시 점수를 올렸다.(0-2)''' 이후 강백호는 스트라이크 아웃 낫아웃을 당하며 이닝이 종료되었다. * 2회초: 나균안이 선두타자 차이야꺠우가 안타로 먼저 출루시켰다. 니띠톤을 삼진으로 돌려세우지만 나디에게 안타를 맞아 1,2루 득점권 위기 상황을 맞는다. 허나 운므앙과 아르디를 연속하여 삼진 처리하여 실점하지 않고 이닝을 끝냈다. * 2회말: 김주원이 뜬공으로 아웃된 후 김동헌이 8구 승부 끝에 볼넷으로 나갔고, 김성윤이 플라이 아웃을 당한 후 김혜성의 안타와 '''최지훈-윤동희의 [[백투백 홈런]]이 터졌다.(0-6)''' 이후 노시환이 볼넷으로 출루하지만 문보경이 좌익수 플라이로 물러나며 추가 득점은 없었다. * 3회초: 사에와와 텅러를 삼진시키고 난 후 료토와 프리차이에게 연속 안타를 맞았지만 차이야깨우를 좌익수 플라이로 돌려세우며 실점하지 않고 이닝을 종료시킨다. * 3회말: 강백호가 뜬공으로 물러나고 '''김주원이 솔로 홈런을 쳐냈다.(0-7)''' 이후 태국의 마운드는 아누찻 찬또로 교체되었으며 김동헌과 김성윤은 각각 유격수,좌익수 플라이 아웃으로 돌아서며 3회 말이 종료되었다. === 4~5회 === * 4회초: 나균안이 니띠톤과 나디를 연속해서 삼진을 잡아내고 운므앙을 좌익수 뜬공으로 돌려보내며 깔끔하게 삼자범퇴로 이닝을 종료한다. * 4회말 대한민국 타선은 이 회에만 10득점을 올리며 콜드게임 승리 조건을 완성시켰다.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득점한 타격은 '''굵은 글씨'''). ||<-5>
'''{{{#FFF 4회말 대한민국 타자 성적}}}'''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순서 || 타자 || 주자상황 || 기록 || 점수 || || 1 || 김혜성 || 무사 || 4구 볼넷 ||<|2> 0:7 || || 2 || 최지훈 || 무사 1루 || 2구 사구 || || 3 || 윤동희 || 무사 1·2루 || '''7구 우익수 2루타''' || 0:9 || ||<-5> 투수 A. 산토→K. 주탕랏 교체 || || 4 || 노시환 || 무사 2루 || 6구 볼넷 || 0:9 || || 5 || 문보경 || 무사 1·2루 || '''4구 우익수 2루타''' || 0:10 || || 6 || 강백호 || 무사 2·3루 || '''5구 우익수 안타''' ||<|2> 0:12 || || 7 || 김주원 || 무사 1루 || 3구 땅볼(실책출루) || || 8 || 김동헌 || 무사 1·2루 || '''5구 땅볼(실책출루 및 2루주자 득점)''' ||<|2> 0:13 || || 9 || 김성윤 || 무사 2·3루 || 6구 볼넷 || ||<-5> 김혜성 대타 박성한 출전 || || 10 || 박성한 || 무사 만루 || '''2구 땅볼(3루주자 득점 및 1루 주자만 아웃)''' || 0:14 || ||<-5> 최지훈 대타 김지찬 출전 || || 11 || 김지찬 || 1사 1·3루 || '''2구 중견수 안타''' ||<|2> 0:15 || || 12 || 윤동희 || 1사 1·2루[* 중간에 폭투가 하나 나와서 1사 2·3루인 채로 타격했다.] || 6구 우익수 플라이아웃 || || 13 || 노시환 || 2사 2·3루 || '''1구 우익수 2루타''' ||<|2> 0:17 || || 14 || 문보경 || 2사 2루 || 5구 중견수 플라이아웃 || }}} || * 5회초: 투수 나균안이 물러나고 김영규가 마운드에 올랐다. 부차를 삼진으로 처리하고 대타로 나온 무앙카셈을 좌익수 뜬공, 텅러를 삼진으로 처리하며 5회초 0:17 콜드게임으로 경기가 끝났다. == 경기 결과 == ▲ 승리투수 : 나균안 ▲ 패전투수 : 품웃 웃티꼰 ▲ 홈런 : 최지훈(2회 3점), 윤동희(2회 1점), 김주원(3회 1점) ▲ 결승타 : 최지훈(1회초 무사 3루서 2루수 땅볼) ||<-11> {{{#ffffff '''대한민국 대표팀 투수 기록'''}}} || || '''투수''' || '''기록''' || '''이닝''' || '''투구수'''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ERA''' || || 나균안 || '''{{{#blue 승}}}''' || 4.0 || 54 || 4 || 0 || 0 || 9 || 0 || 0 || 0.00 || || 김영규 || || 1.0 || 12 || 0 || 0 || 0 || 2 || 0 || 0 || 0.00 || ||<-11> {{{#fff '''태국 대표팀 투수 기록'''}}} || || '''투수''' || '''기록''' || '''이닝''' || '''투구수'''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ERA''' || || 품웃 웃티꼰 || '''{{{#red 패}}}''' || 2.1 || 57 || 6 || 3 || 3 || 1 || 7 || 7 || 30.00 || || 아누찻 찬또 || || 0.2 || 18 || 1 || 0 || 2 || 0 || 3 || 3 || 135.00 || || 키앗티삭 추텅랏 || || 1.0 || 45 || 4 || 0 || 2 || 0 || 7 || 2 || 18.00 || || {{{#ffffff '''대한민국 대표팀 타자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김혜성 || 2타수 2안타 1볼넷 || 최지훈 || 2타수 1안타(1홈런) 4타점 || || 윤동희 || 3타수 2안타(1홈런) 3타점 || 노시환 || 2타수 2안타 2볼넷 2타점 || || 문보경 || 4타수 1안타 2타점 || 강백호 || 3타수 1안타 2타점 || || 김주원 || 3타수 1안타(1홈런) 1타점 || 김동헌 || 2타수 무안타 1볼넷 || || 김성윤 || 2타수 무안타 1볼넷 || 박성한 || 1타수 무안타 1타점 || || 김지찬 || 1타수 1안타 1타점 ||<-2> || }}} || == 경기 평가 == '''[[https://naver.me/IGKARBOD|한국야구, 태국에 17-0 콜드게임승…슈퍼라운드 진출]]''' 다소 힘들게 콜드게임 승리를 거둬 불안함을 샀던 홍콩전과는 달리 여유롭게 승리하며 최종 성적 2승 1패 B조 2위로 슈퍼 라운드에 진출하였다. 당초 선발 투수로 예상됐던 [[장현석]]이 아닌 [[나균안]]이 등판하였다. 나균안은 4이닝 4피안타 9탈삼진 무실점의 피칭으로 콜드게임 승리의 기반을 놓았고, 두 번째 투수 [[김영규(야구선수)|김영규]]는 이번 대회 첫 등판이었으나 탈삼진 2개를 곁들이며 깔끔한 투구를 선보였다. 타선에서는 4회 한 이닝에만 10득점을 뽑아내는 집중력을 발휘하였다. [[최지훈]]은 2회 3점 홈런을 터뜨리며 한국 대표팀 첫 홈런의 주인공이 되었다. 후속 타자 [[윤동희]]도 좌월 솔로 홈런을 쏘아올리며 백투백 홈런을 기록했으며, 3회에는 [[김주원(2002)|김주원]]도 솔로 홈런을 기록하였다. 타순이 4번에서 6번으로 조정된 [[강백호(야구선수)|강백호]]는 11타석 만에 이번 대회 첫 안타를 기록하며 기나긴 무안타 행진의 마침표를 찍었다. 태국 대표팀은 객관적인 전력의 열세에도 불구하고 몸을 아끼지 않는 슬라이딩 캐치 등 경기에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경기가 진행되는 내내 시종일관 진지한 모습으로 임했으며 한국 투수진을 상대로 안타를 쳐냈을 때는 순수한 함박 웃음을 짓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 여담 == * 개천절에 펼쳐진 경기다. * KBO 리그 경기도 이날 열렸고 [[고우석]]과 [[정우영(야구선수)|정우영]], [[문보경]]은 대회 도중 소속팀 LG의 페넌트레이스 우승 소식을 듣게 되었다. * 오늘 경기를 통해 등에 투수조에서는 부상 회복중인 [[곽빈]], 야수조에서는 [[최원준(1997)|최원준]]을 제외한 엔트리 내의 모든 선수가 등판했다.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태국 야구 국가대표팀]]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야구/일정 및 결과]] * [[류중일호/2023년]]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경기)] [[분류: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경기]][[분류: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야구]][[분류:류중일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