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학중앙연구원 원장)] ||<-2> '''{{{#ffffff 제4대 한국정신문화연구원장}}}[br]{{{#ffffff {{{+1 류승국}}}[br]柳承國 | Ryu Seung-guk}}}'''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류승국 박사.png|width=100%]]}}} || ||<|2> '''출생''' ||[[1923년]] || ||[[충청북도]] [[청주시|청주군]] 북일면 은곡리[br](현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은곡리) || || '''사망''' ||[[2011년]] [[2월 27일]] (향년 88세) [br][[경기도]] [[이천시]]|| || '''호''' ||도원(道原) || || '''본관''' ||[[진주 류씨]] || || '''학력''' ||[[성균관대학교]] {{{-2 (철학 / 학사)}}}[br][[성균관대학교]] {{{-2 (철학 / 박사)}}} || || '''경력'''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장]][br]성균관대학교 도서관장 겸 박물관장[br][[한국정신문화연구원]]장[br][[방송위원회]] 상임위원[br][[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원장[br]재단법인 동방문화연구원 대표이사[br]율곡문화원장[br][[대한민국 학술원]] 회원[br][[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철학자이다. 동양철학을 전공하여 [[유학]]의 연구에서 특히 앞장섰던 사람이다. 거기에 [[불교]], [[도가사상]] 등 동양사상에 두루 회통한 사람이었다고 한다. 백제 [[무령왕릉]]의 연대 고증, [[광개토대왕비]]의 오류 및 위조부분 해석과 [[태극기]]의 의미 해설 등 인문학의 거의 모든 범위에 걸쳐 광범위한 기여를 하였다. == 생애 == 1923년 [[충청북도]] 청주군 북일면 은곡리(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은곡리)에서 태어났다. [[1952년]]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를 졸업하고 [[1956년]] 동대학원에서 수료하였다. [[1975년]]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52년]]부터 [[1954년]]까지 [[충남해양과학고등학교|대천수산고등학교]] 교사로 재직했다. 이후 [[성균관대학교]], [[충남대학교]], [[서울대학교]], [[서강대학교]], [[가톨릭대학교]], [[건국대학교]]에 출강했다. [[1960년]] 성균관대학교 교수가 되었고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儒學大學) 학장,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장 겸 박물관장, 성균관대학교 학술연구원 원장 등을 역임했다. 또한 [[보건사회부]] 사회윤리분과위원회 위원,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상임이사, 한국철학회 회장 등을 지냈다. [[1988년]] 교수에서 정년퇴임 후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로 남았다. 이 해 2월 [[국민훈장]] 목련장을 수훈했다. 1977년 6월 30일 학술원 인문사회 제1분과의 회원이 되었다. 이후 이 분과의 회장을 지내기도 했다. 2011년 2월 27일 [[경기도]] [[이천시]] 소재 요양병원에서 작고했다. == 저서 ==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 《한국유학사》, 2009. 2. 28. * 《한국사상의 연원과 역사적 전망》, 2009. 2. 28. * 《유가철학과 동방사상》, 2010. 2. 28. * 《도원철학산고》, 2010. 2. 28. * 《한국의 유교》,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4. 1. * 공저, 《삶의 신학 콜로키움 생로병사 관혼상제》, 대화문화아카데미, 2007. 6. 10. * 공저, 《한국민족사상사 대계 개설편》, 1971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분류:청원구 출신 인물]][[분류:인문과학 교수]] [[분류:1923년 출생]] [[분류:2011년 사망]] [[분류:진주 류씨(토류)]] [[분류:대한민국의 철학자]] [[분류:성균관대학교 출신]] [[분류:국민훈장 목련장]] [[분류:한국학중앙연구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