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637년 출생]][[분류:1707년 사망]][[분류:나주시 출신 인물]][[분류:문화 류씨]][[분류:조선의 문관]][[분류:영의정]][[분류:좌의정]][[분류:우의정]][[분류:소론]][[분류:조선의 유학자]] [include(틀:역대 조선 영의정(인조-경종))] ---- || '''{{{#f0ad73 류상운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조선 정승(인조-경종))] ---- [include(틀:소론)]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영의정|{{{#fff 조선 영의정}}}]][br]충간공(忠簡公)[br]{{{+1 류상운}}}[br]柳尙運'''}}}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2a4ed921540843262769.jpg|width=100%]]}}} || ||<|2> '''출생''' ||[[1637년]] [[1월 17일]][br](음력 [[1636년]], [[인조]] 14년 12월 22일)|| ||[[전라도]] [[나주시/역사#조선|나주목]]|| || '''사망''' ||[[1707년]] [[12월 27일]] (향년 70세)[br](음력 [[숙종(조선)|숙종]] 33년 12월 4일)[* [[세는나이]] 72세.]|| || '''[[시호|{{{#fff 시호}}}]]''' ||충간(忠簡)|| || '''[[본관|{{{#fff 본관}}}]]''' ||[[문화 류씨]]|| || '''[[자(이름)|{{{#fff 자}}}]]''' ||유구(悠久)|| || '''[[아호|{{{#fff 호}}}]]''' ||약재(約齋), 누실(陋室)|| || '''부모''' ||부친 - 류성오(柳誠吾, {{{-3 1608 ~ 1674}}})[br]모친 - [[반남 박씨]] 박동량(朴東亮)의 딸|| || '''부인''' ||[[전의 이씨]]({{{-3 1637 ~ ?}}})[* [[중종(조선)|중종]]의 6녀 [[의혜공주]]의 고손녀. [[의혜공주]] → [[청주 한씨|한의]] → 한사덕 → 이행원의 처 한씨 → 이씨부인]|| || '''자녀''' ||'''5남 1녀'''[br]장남 - 류봉서(柳鳳瑞, {{{-3 1654 ~ 1699}}})[br]차남 - [[류봉휘]][br]장녀 - [[용인 이씨]] 이세최(李世最)의 처[br]3남 - 류봉일(柳鳳逸)[br]4남 - 류봉협(柳鳳協)[br]5남 - 류봉채(柳鳳采)||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의 [[문관]] 관료. [[서인]] 계열이며 [[소론]]으로 활동하였다. == 본문 == [[송준길]]의 문인이다. [[현종(조선)|현종]] 때 [[과거 제도#문과|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대사간, [[승정원]] 도승지, [[평안도]] [[관찰사]], [[호조판서]], [[공조판서]], [[이조판서]],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을 역임하였다. 1663년 [[서필원]]과 [[송시열]]이 대립한 공의/사의 논쟁 당시 태학생 시절이었는데, 이 당시 서필원 탄핵을 저지한 일로 비방을 받아 과거 급제 후에도 [[춘추관]]에 천거되거나 전랑(銓郎)에 임명되지 못했으며 [[산림]]계에게 삼간(三奸)으로 비판받았다. [[희빈 장씨/생애#무고의 옥|무고의 옥]] 당시 [[장희빈]]을 살려줄 것을 간청하기도 했다. == 기타 == 모친은 박동량의 딸이며 서필원의 사돈인 박세교와 외사촌이다. 아들인 [[류봉휘]]도 좌의정과 우의정을 지내어 부자가 모두 정승을 지낸 케이스이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율현동]](栗峴洞)은 밤나무가 많아서 밤고개(栗峴)라는 이름에서 유래됐는데, 그 밤나무를 심은 인물로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