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top1=루폴의 드래그 레이스)] [include(틀:관련 문서,top1=루폴의 드래그 레이스/역대 시즌)] [[파일:드래그 레이스 기본 로고.webp|width=100%&bgcolor=white]] [include(틀:스포일러)] [목차] == 개요 == 루폴의 드래그 레이스의 기타 시즌을 정리한 문서. 칠레판, 태국판 시즌 1 제외 전 시즌 [[WOW Presents Plus|WOW+]]에서 시청 가능하다. == [[루폴]]이 직접 진행한 시즌 == === RuPaul's Secret Celebrity Drag Race === 넷플릭스 번역명은 '루폴의 드래그 레이스: 셀럽들의 변신'. 우승 상금은 참가자가 원하는 기부 단체에 기부된다. ==== 시즌 1 ==== ||<:><-2> {{{+2 {{{#141212 '''셀럽판 시즌 1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이름''' || '''드래그명''' || '''퀸 슈프림'''[*QM 드래그 멘토] || ||<-3> '''1화''' || || 조던 코너 || 베이비킨스 라 루 (Babykins La Roux) || 트릭시 마텔 || || 저메인 파울러 || 미스 미미 티팟 (Miss Mimi Teapot) || 밥 더 드랙퀸 || || 니코 토터렐라 || 올리벳 이즈유 (Olivette Isyou) || 모네 X 체인지 || ||<-3> '''2화''' || || [[바네사 윌리엄스]] || 밴퀴샤 더 하우스 (Vanquisha Da House) || 아시아 오하라 || || 타미 로만 || 미스 시니타 칵테일 (Miss Shenita Cocktail) || 알리사 에드워즈 || || 로니 러브 || 메리 J. 로스 (Mary J. Ross) || 트리니티 더 턱 || ||<-3> '''3화''' || || 더스틴 밀리건 || 레이첼 맥아담스애플 (Rachel McAdamsapple) || 니나 웨스트 || || 알렉스 뉴웰 || 마담 댓 빗치 (Madam That Bitch) || 밥 더 드랙퀸 || || 맷 아이스먼 || 뱃 보르도 (Bette Bordeaux) || 김치 || ||<-3> '''4화''' || || 피비 로빈슨 || 코코티니 (Cocotini) || 알리사 에드위즈 || || [[매디슨 비어]] || 코랄 픽세이션 (Coral Fixation) || 모니크 하트 || || 헤일리 키요코 || 퀸 엘리자 베스 (Queen Eleza Beth) || 바네사 밴지 마테오 || }}}|| ==== 시즌 2 ==== 지난 시즌과 다르게 탈락이 존재하며 [[복면가왕|초반에는 탈락을 해야 정체가 공개되었다.]] 중반부에는 전체 공개했다. 이번 시즌 우승자는 10만 달러를 자신이 원하는 기부 단체에 기부할수 있으며, 탈락자는 5천 달러를 기부할 수 있다. ||
<:><-2> {{{+2 {{{#141212 '''셀럽판 시즌 2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드래그명''' || '''정체''' || || 포피 러브 (Poppy Love)[*Jujubee 쥬쥬비가 멘토를 맡는다. ] || [[백스트리트 보이즈|AJ 매클린]] || || 차크라 7 (Chakra 7)[*Brooke 브룩 린 하이츠가 멘토를 맡는다.] || 타티야나 알리 || || 돈나 벨리시마 (Donna Bellissima)[*Monét 모네 X 체인지가 멘토를 맡는다.] || 다니엘 프랜지스 || || 밀리 본 선샤인 (Milli Von Sunshine)[*Jujubee] || [[제나 우쉬코위츠]] || || 재키 우드 (Jackie Would)[*Jujubee] || 톰 필리시아 || || 일렉트라 아울 (Electra Owl)[*Brooke] || [[테일러 데인]] || || 터스티 본 트랩 (Thirsty Von Trap)[*Monét] || 마크 인델리카토 || || 패뷸러시티 (Fabulosity)[*Monét] || 로레타 드바인 || || 치크-리-페이 (Chic-Li-Fay)[*Brooke] || 케빈 맥헤일 || }}}|| === RuPaul's Drag Race UK === 영국에서 진행하는 드래그 레이스. 이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방송사이자 '''공영방송인 [[BBC]] 규정 상 상금을 줄 수 없어서''', 보상으로 상금 대신 단독 리얼리티 촬영을 위한 할리우드 투어, 피어스 드래그 쥬얼의 왕관과 셉터를 제공해준다. 메인 챌린지 역시 우승을 하면 상금 대신에 루피터 배지(Ru-Peter Badge)를 받고, 미니 챌린지는 우승해도 아예 상금이나 상품이 없다. 대신 미니 챌린지 우승자가 팀원 결정권을 갖는 등의 베네핏은 존재한다. 영국 시즌에선 미국 시즌의 객원 심사위원인 로스 매튜스와 카슨 크레슬리 대신에 The Graham Norton Show의 호스트로 유명한 [[아일랜드]]인 코미디언 '''그라하암 노튼(Graham Norton)'''와 과거 다양한 코미디 채팅 쇼를 진행했던 [[잉글랜드]]인 코미디언 '''앨런 카(Alan Carr)'''가 객원 심사위원을 맡는다. 여담으로 미국 시즌과 다르게 영국 시즌에서 걸그룹 챌린지가 매 시즌마다 나오는데, 이때 걸그룹 챌린지 우승자는 1명이 아니라 '''우승 팀에 속해있는 참가자들'''이 모두 챌린지 우승자가 된다.[* 다만 시즌 5에서 걸그룹 챌린지 우승자가 한 명으로 나왔다.] 영국 시즌에서 특별하게도 Miss Congeniality를 뽑지 않는다. Rupaul's Drag Race UK는 루드레 마이너 갤러리에서 영드레(영국+루드레)라고 줄여서 부른다. ==== 시즌 1 ==== [[파일:DRUKSeason1Banner.webp]] ||
<:><-2> {{{+2 {{{#141212 '''UK 시즌 1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사진''' || '''이름''' || || [[파일:RPDR UK Season 1 Baga_Chipz.jpg|width=100%]] || 베가 칩스 (Baga Chipz)[* "Much Betta!"라는 대사 하나로 심사위원이었던 미쉘 비사지를 폭소케하였다. 이후 걸그룹 챌린지에서 가사에 넣으며 자신이 유행어로 내세우는 중.][* 이후 UK vs The World에서 UK 진영의 올스타로 참가한다.] || || [[파일:RPDR UK Season 1 Blu_Hydrangea.jpg|width=100%]] || 블루 하이드랜자 (Blu Hydrangea)[* 시즌 1 참가자 중 유일하게 북아일랜드 출신으로 이후 UK vs The World에서 UK 진영의 올스타로 참가한다.] || || [[파일:RPDR UK Season 1 Cheryl_Hole.jpg|width=100%]] || 셰릴 홀 (Cheryl Hole)[*스포일러 UK 시즌 뿐만 아니라 모든 시즌 통틀어서 한 번도 메인 챌린지에 우승한 적 없고 상위권에 들어본 적이 없음에도 TOP 4에 들어간 얇고 길게 간(.....) 참가자다. 그러면서도 비운의 참가자인게 걸그룹 챌린지에서 그나마 제데로된 활약을 보여줬지만 하필이면 다른 두 팀원들 때문에 챌린지 우승에 실패하고, 마지막 챌린지인 메이크오버에서 분명히 가장 좋은 메이크오버를 보여줬지만 심사위원들이 셰릴 홀을 탑 3에 들어가게 만들기 싫었는지 결국 탈락당한다.(이때 셰릴 홀을 제외한 다른 TOP4 참가자들이 모두 2개 이상의 챌린지 우승이 있었다.) 심지어 팬들은 메이크오버 챌린지의 우승자인 디비나 다 캄포를 의상이 별로였고 오히려 셰릴 홀이 이기고 디비나가 바텀에 떨여졌여했다는 의견이 다수가 있어서 다소 불운한 참가자로 느껴질 수 밖에 없다.][* 이후 UK vs The World에서 UK 진영의 올스타로 참가한다.] || || [[파일:RPDR UK Season 1 Crystal.jpg|width=100%]] || 크리스탈 (Crystal)[* 영국 루드레 출연 이후로 2021년에 Call Me Mother라는 캐나다 드랙 경쟁에서 미국 시즌 9의 페퍼민트와 함께 드랙 코치로 나온다.] || || [[파일:RPDR UK Season 1 Divina_De_Campo.jpg|width=100%]] || 디비나 다 캄포 (Divina Da Campo) || || [[파일:RPDR UK Season 1 Gothy_Kendoll.jpg|width=100%]] || 고시 켄달 (Gothy Kendall) || || [[파일:RPDR UK Season 1 Scaredy_Kat.jpg|width=100%]] || 스캐어디 캣 (Scaredy Kat)[* 루드레 최초로 '''시스젠더 여자친구와 연애중인''' 참가자. 다만 완전한 [[이성애자]]는 아니고 [[양성애자]]다.]. || || [[파일:RPDR UK Season 1 Sum_Ting_Wong.jpg|width=100%]] || 썸 팅 웡 (Sum Ting Wong)[* 중국-베트남계 영국인 참가자이다.] || || [[파일:RPDR UK Season 1 The_Vivienne.jpg|width=100%]] || 비비엔 (The Vivienne)[* 미국 시즌 8 방영 당시 UK판 홍보 대사로 활동했다.][* 스내치 게임에서 그 유명한 [[도널드 트럼프]]를 분장하여 엄청난 퀄리티의 연기력을 보여주었다. [[마가렛 대처]]를 연기한 베가 칩스와의 케미가 백미.][* 이후 All stars 7에도 참가한다. 유일하게 타 국가 시즌의 참가자.] || || [[파일:RPDR UK Season 1 Vinegar_Strokes.jpg|width=100%]] || 비네거 스트로크 (Vinegar Stroke) || }}}|| ==== 시즌 2 ==== [[파일:DRUK2CastPhoto.webp]] ||
<:><-2> {{{+2 {{{#141212 '''UK 시즌 2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사진''' || '''이름''' || || [[파일:RPDR UK Season 2 A'Whora.jpg|width=100%]] || 어호라 (A'Whora)[* 'Le'Boy George' 라는 패션 디자인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이 덕분인지 프로모 룩을 포함한 대부분의 의상을 직접 제작하였다. 참고로 드래그 레이스 참가하기 전에 드랙 아티스트로 활동한 지 고작 13개월.] || || [[파일:RPDR UK Season 2 Asttina Mandella.jpg|width=100%]] || 애스티나 맨델라 (Asttina Mandella) || || [[파일:RPDR UK Season 2 Bimini Bon Boulash.jpg|width=100%]] || 비미니 본 불라쉬 (Bimini Bon Boulash)] || || [[파일:RPDR UK Season 2 Cherry Valentine.jpg|width=100%]] || 체리 발렌타인 (Cherry Valentine)[* 2022년 9월 18일,28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검시관이 확인한 사인은 자살.] || || [[파일:RPDR UK Season 2 Ellie Diamond.jpg|width=100%]] || 엘리 다이아몬드 (Ellie Diamond)[* 'Wigzbyellie'이라는 가발 회사를 운영 중이다.] || || [[파일:RPDR UK Season 2 Ginny Lemon.jpg|width=100%]] || 지니 레몬 (Ginny Lemon) || || [[파일:RPDR UK Season 2 Joe Black.jpg|width=100%]] || 조 블랙 (Joe Black)[* 드래그 레이스 참가자로는 드물게 드랙을 한 상태에서도 남성 대명사를 사용한다.] || || [[파일:RPDR UK Season 2 Lawrence Chaney.jpg|width=100%]] || 로렌스 채이니 (Lawrence Chaney) || || [[파일:RPDR UK Season 2 Sister Sister.jpg|width=100%]] || 시스터 시스터 (Sister Sister) || || [[파일:RPDR UK Season 2 Tayce.jpg|width=100%]] || 테이스 (Tayce)[* 시즌 2의 립싱크 어쌔신] || || [[파일:RPDR UK Season 2 Tia Kofi.jpg|width=100%]] || 티아 코피 (Tia Kofi) || || [[파일:RPDR UK Season 2 Venorica Green.jpg|width=100%]] || 베로니카 그린 (Veronica Green)[* 안타깝게도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중도 하차하게 된다. 이후 Open Invitation으로 시즌 3에 재참가.] || }}}|| 시즌 1이 UK 시리즈에서 첫 스타트를 잘 끊어냈다는 호평을 받았다면, 시즌 2는 코로나 대유행 시기에 촬영, 방영했기에 이에 따른 우려와는 달리 전 시즌 못지 않게 유머와 패션감각 두 마리의 토끼를 잡았을 뿐더러 더 재밌다는 대호평을 받아 루드레 시리즈 중에서 주로 많이 추천하는 시즌으로 꼽힌다. 이전 시즌에 비해 웨일스, 스코틀랜드 출신의 드랙 아티스트들도 참가했다. IMDb 평점도 영국 시즌 1의 IMDb 평점 8.21/10점을 제치고 8.29/10점을 얻었다. ==== 시즌 3 ==== [[파일:DRUK3CastPhoto.webp]] ||
<:><-2> {{{+2 {{{#141212 '''UK 시즌 3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사진''' || '''이름''' || || [[파일:RPDR UK S3 Anubis.jpg|width=100%]] || 아누비스 (Anubis)[* 무려 2001년생으로 본래 모든 프랜차이즈를 통틀어서 최연소 참가자였지만 스페인 시즌 2의 호타 카라호타가 2002년이라서 최연소 참가자는 아니다.] || || [[파일:RPDR UK S3 Charity-Kase.jpg |width=100%]] || 채리티 케이스 (Charity Kase)[* 오리지널 루드레 시즌 3의 참가자 라자의 드랙 딸. 그로테스크하고, 징그러운 드랙을 제대로 보여준다. 실제로 이 시즌에서 자신의 호러한 드랙을 보여주면서도 다른 참가자들처럼 아름다운 드랙을 다양하게 보여줬는데. 심사위원들한테 채리티의 드랙이 뭔지 알 수 없다는 심사 평가를 받아서 루드레 대신에 그로테스크하면서도 아름다운 드랙을 선보일 수 있는 비주류 드랙 경쟁인 [[Boulet Brothers' Dragula]]에 나왔어야 했다는게 팬들의 반응이다.] || || [[파일:RPDR UK S3 Choriza-May.jpg|width=100%]] || 초리자 메이 (Choriza May)[* 스페인계 영국 출신의 드랙 참가자.] || || [[파일:RPDR UK S3 Elektra-Fence.jpg|width=100%]] || 엘렉트라 펜스 (Elektra Fence) || || [[파일:RPDR UK S3 Ella-Vaday.jpg|width=100%]] || 엘라 바데이 (Ella Vaday) || || [[파일:RPDR UK S3 Kitty-Scott-Claus.jpg|width=100%]] || 키티 스콧-클로스 (Kitty Scott-Claus) || || [[파일:RPDR UK S3 Krystal-Versace.jpg|width=100%]] || 크리스탈 베르사체 (Krystal Versace)[* 같은 시즌의 참가자 아누비스와 마찬가지로 2001년생으로 모든 프랜차이즈를 통틀어서 최연소 참가자였지만 스페인 시즌 2의 호타 카라호타가 2002년생으로 밝혀져서 최연소 참가자는 아니다.] || || [[파일:RPDR UK S3 River-Medway.jpg |width=100%]] || 리버 미드웨이 (River Medway)[* 영국계 싱가포르 출신의 참가자] || || [[파일:RPDR UK S3 Scarlett-Harlett.jpg|width=100%]] || 스칼렛 할렛 (Scarlett Harlett) || || [[파일:RPDR UK S3 Vanity-Milan.jpg|width=100%]] || 배니티 밀란 (Vanity Milan)[* 시즌 3의 립싱크 어쌔신] || || [[파일:RPDR UK S3 Veronica-Green.jpg|width=100%]] || 베로니카 그린 (Veroica Green) || || [[파일:RPDR UK S3 Victoria-Scone.jpg|width=100%]] || 빅토리아 스콘 (Victoria Scone)[* 드래그 레이스 프랜차이즈 첫 '''시스젠더 여성 레즈비언''' 드랙 참가자로 UK 시즌 2 참가자 티아 코피의 드랙 딸][* 안타깝게도 무릎 부상으로 하차한다.] || }}}|| 시즌 1과 시즌 2가 워낙 호평을 받았으나, 시즌 3는 참가자들이 가지고 있는 재능에 비해 챌린지 수행 능력이 좋지 못하다는 혹평을 받았다. 탈락자를 뽑는 립싱크 배틀에서 동시 탈락이 나왔을 뿐더러 역대 시즌 통틀어 참가자들이 메인 챌린지 수행을 골고루 못하여 아예 루폴이 우승자가 없다고 선언한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루폴의 판정이 더 납득이 안 된다는 시청자들의 반응과 노골적인 편애가 보여 UK 시즌에서는 최악의 시즌과 평점을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시즌이 UK 시즌 2의 방영이 끝나고, 6개월 후에 나온거라서 당연히 팬들은 너무 급하게 다음 시즌을 진행한거 아니냐고 비판하기도 했다. ==== 시즌 4 ==== [[파일:RPDR UK Season 4.jpg]] ||
<:><-2> {{{+2 {{{#141212 '''UK 시즌 4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사진''' || '''이름''' || || [[파일:RPDR UK S4 Baby.jpg|width=100%]] || 베이비 (Baby) || || [[파일:RPDR UK S4 Black Peppa.jpg|width=100%]] || 블랙 페파 (Black Peppa)[* 시즌 4의 립싱크 어쌔신] || || [[파일:RPDR UK S4 Cheddar Gorgeous.jpg|width=100%]] || 체더 골져스 (Cheddar Gorgeous) || || [[파일:RPDR UK S4 Copper Topp.jpg|width=100%]] || 코퍼 탑 (Copper Top) || || [[파일:RPDR UK S4 Dakota Schiffer.jpg|width=100%]] || 다코타 쉬퍼 (Dakota Schiffer)[* 영국 시즌 최초의 명시적 [[트랜스여성]] 참가자이다.] || || [[파일:RPDR UK S4 Danny Beard.jpg|width=100%]] || 대니 비어드 (Danny Beard)[* 영국판의 첫 Bearded Queen(턱수염 드랙퀸)이다. 오스티리아의 드랙퀸인 [[콘치타 부르스트]]처럼 수염을 깍지 않은 상태에서 드랙을 하고 가수로도 활동하고 있다. 2016년에 [[https://youtu.be/dy5IAQwnplc|[[브리튼즈 갓 탤런트]]에 출연했던 적이 있다.]]] || || [[파일:RPDR UK S4 Jonbers Blonde.jpg|width=100%]] || 존버스 블런드 (Jonbers Blonde) || || [[파일:RPDR UK S4 Just May.jpg|width=100%]] || 저스트 메이 (Just May) || || [[파일:RPDR UK S4 Le Fil.jpg|width=100%]] || 르 필(Le Fil)[* 영국계 중국인이다.] || || [[파일:RPDR UK S4 Pixie Polite.jpg|width=100%]] || 픽시 폴라이트 (Pixie Polite)[* 시즌 2의 티아 코피의 드랙 시스터고, 예전에 티아 코피랑 데이트를 했던 경험이 있다.] || || [[파일:RPDR UK S4 Sminty Drop.jpg|width=100%]] || 스민티 드롭 (Sminty Drop)[* 하우스 오브 켄돌 소속, 시즌 1 참가자 고시 켄돌의 드랙 시스터이다. 모델로도 활동 중.] || || [[파일:RPDR UK S4 Starlet.jpg|width=100%]] || 스탈렛 (Starlet)[* [[남아공]]의 [[요하네스버그]]에서 출생했다.] || }}}|| 전체적으로 캐스팅과 챌린지 수행능력이 시즌 3보다 뛰어나다. 하지만 루폴의 노골적인 편애의 수위가 줄어들뿐이지 루폴한테 편애 받은 참가자들은 아직도 있고, 루폴의 이해할 수 없는 판단 때문에 부당한 대우를 받은 참가자가 더 늘어졌다. 문제는 부당한 대우를 받은 참가자들은 대부분이 모두 호감도 높았던 퀸들이라서 그런지 후반에 갈수록 재미가 더욱 반감됬다. 챌린지 선정도 다소 이상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특히 2화에서 참가자가 11명일때 뜬금없이 걸그룹 챌린지가 나왔는데, 걸그룹 챌린지 특성상 우승 팀에 속한 참가자들이 모두 우승하기 때문에 무려 '''6'''명이 챌린지 우승자가 나오는 사태가 벌어졌다.] 하지만 이번 시즌의 TOP 2는 아예 경연 성적이 압도적으로 강하기 때문에, 역대 드래그 레이스 프랜차이즈 중에서 가장 강력한 TOP 2가 나왔다고 호평받고 있고, 참가자들의 프로모 룩만 봐도 알겠지만 참가자들이 모두 개성적인 편이다. ==== 시즌 5 ==== [[파일:UK Season 5 Cast.jpg]] ||
<:><-2> {{{+2 {{{#141212 '''UK 시즌 5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사진''' || '''이름''' || || [[파일:RPDR UK S5_Tomara Thomas.jpg|width=100%]] || 토마라 토마스 (Tomara Thomas) || || [[파일:RPDR UK S5_Banksie.jpg|width=100%]] || 뱅크시 (Banksie)[* 영국 시즌 4의 체더 골져스와 같은 Family Gorgeous의 일원이다.] || || [[파일:RPDR UK S5_Miss Naomi Carter.jpg|width=100%]] || 미스 나오미 카터 (Miss Naomi Carter)[* 국적이 영국계 감비안이다.] || || [[파일:RPDR UK S5_Michael Marouli.jpg|width=100%]] || 마이클 마룰리 (Michael Marouli) || || [[파일:RPDR UK S5_Kate Butch.jpg|width=100%]] || 케이트 부치 (Kate Butch) || || [[파일:RPDR UK S5_Cara Melle.jpg|width=100%]] || 카라 멜 (Cara Melle)[* 영국 시즌 최초의 흑인 트랜스젠더 및 미국인 참가자.] || || [[파일:RPDR UK S5_Ginger Johnson.jpg|width=100%]] || 진저 존슨 (Ginger Johnson) || || [[파일:RPDR UK S5_DeDeLicious.jpg|width=100%]] || 디디리셔스 (DeDeLicious)[* 시즌 3의 크리스탈 베르사체의 드랙 시스터 및 하우스 오브 베르사체의 일원. 크리스탈 베르사체랑 11년 (촬영 당시 기준) 동안 서로 알고 지냈다. 크리스탈이 시즌 3에서 경쟁할 당시에 몇몇의 크리스탈의 룩을 재봉했다고 한다.] || || [[파일:RPDR UK S5_Vicki Vivacious.jpg|width=100%]] || 비키 바이베이셔스 (Vicki Vivacious) || || [[파일:RPDR UK S5_Alexis Saint-Pete.jpg|width=100%]] || 알렉시스 세인트-피트 (Alexis Saint-Pete)[* 폴란드 출신의 드랙퀸.] || }}}|| 2023년 9월 28일에 첫 방영. 이번에 참가자가 10명으로 줄었는데, 그 이유가 한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우 출신의 참가자는 준비가 안돼서 경쟁에서 떠났다고 하고, Crystal Lubrikant라는 참가자는 성폭행을 여러 번 했던 전적이 밝혀져서 BBC에서 실격 처리는 안했지만 해당 참가자가 나오는 장면을 통편집을 하고, 촬영되지 않은 립싱크에서 탈락 당했다.[*출처 [[https://averagebeing.com/rupauls-drag-race-uk-season-5-controversy-crystal-lubrikant-allegations-explained/|#]]] 사실상 이 두 참가자는 시즌 5에서 없는 사람으로 취급해야 한다. === RuPaul's Drag Race Down Under === 호주에서 진행하는 드래그 레이스. 호주에서 활동하는 드랙퀸들 뿐만 아니라 뉴질랜드에서 활동하는 드랙퀸들도 나오는 시즌이다.[* 애초에 Down Under의 뜻이 호주 그리고 뉴질랜드를 지칭하는 속어다. 호주와 뉴질랜드가 Down Under라고 불리는 이유는 지구의 맨 남반구에 위치하고 있어서.] 루폴의 드래그 레이스 Down Under는 WOW Presents Plus, Stan Australia, 그리고 TVNZ에서 방영한다. Rupaul's Drag Race Down Under를 우승한 드랙퀸은 Down Under의 차기 드랙 슈퍼스타(Down Under's Next Drag Superstar)라는 타이틀을 얻는다. 다만 UK 시즌처럼 Miss Congeniality을 공식적으로 뽑지 않는다. 심사위원은 루폴과 미셸 비사지가 고정으로 나오지만. 새로운 고정 심사워인인 호주 유명 게이 코미디언 및 배우인 리스 니콜슨(Rhys Nicolson)이 고정 심사위원으로 나온다. --호주판 로스 매튜스 -- 나름 리스 니콜슨[*사진 [[파일:Rhys Nicholson.jpg]]]이 미국 시즌에서 객원 심사위원으로 나오는 로스 매튜스와 카슨 크레스리보다 더 제데로된 심사와 조언을 주고, 참가자들의 재능을 폄하하지 않고 오히려 참가자들의 노력을 칭찬하는 모습 때문에 리스 니콜슨의 심사에 대한 비난을 찾아보기 힘들다.[* 루폴과 미셸 비사지가 시즌 1에서 공감이 되지 않는 챌린지 심사 때문에 욕을 많이 먹었을때 리스 니콜슨은 혼자서 좋은 심사능력과 코미디 실력으로 호평 받았다.] 그리고 명성이 코미디언이라서 그런지 미국 팬들이 그를 가장 익살스러운 심사위원이라고 평가 받는다. --립싱크 반응도 재밌다.-- ==== 시즌 1 ==== [[파일:RPDR Down Under S1.jpg]] ||
<:><-2> {{{+2 {{{#141212 '''Down Under 시즌 1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국가''' || '''사진''' || '''이름''' || ||<|3>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50]] || [[파일:RPDR Down Under S1_Anita Wigl'it.jpg|width=100%]] || 아니타 위글잇 (Anita Wigl'it)[*아니타,키타 아니타 위글잇과 키타 민은 뉴질랜드에서 유명한 드랙 듀오이다.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Caluzzi Cabaret라는 드랙 [[카바레]]를 운영 중이며 루드레 참가자로 나오기 이전에 TV NZ에서 방영한 House of Drag(뉴질랜드 출신의 드랙퀸 및 드랙킹이 경쟁하는 프로그램)의 공동 주최를 맡았던 이력이 있다.][* Canada VS The World 시즌 1에서 뉴질랜드 진영으로 참가한다.] || || [[파일:RPDR Down Under S1_Elektra Shock.jpg|width=100%]] || 엘렉트라 쇼크 (Elektra Shock)[* 아니타 위글잇과 키타 민의 드랙 조카다. 아니타 위글잇과 키타 민이 주최한 House of Drag 시즌 2의 참가자 출신이다. 즉 이번 시즌의 뉴질랜드 출신의 드랙퀸들은 서로 아는 상태에서 경쟁한다는 것.] || || [[파일:RPDR Down Under S1_Kita Mean.jpg|width=100%]] || 키타 민 (Kita Mean)[*아니타,키타][* 케타민(Ketamine)이라는 마약에서 따온 드랙 이름을 사용한다. 물론 케타민을 복용한 적은 없다고 한다.] || ||<|7> [[파일:호주 국기.svg|width=50]] || [[파일:RPDR Down Under S1_Art Simone.jpg|width=100%]] || 아트 시몬 (Art Simone) || || [[파일:RPDR Down Under S1_Coco Jumbo.jpg|width=100%]] || 코코 점보 (Coco Jumbo)[* [[피지]]계 호주인이다.] || || [[파일:RPDR Down Under S1_Etcetera Etcetera.jpg|width=100%]] || 에세테라 에세테라(Etcetera Etcetera)[* 기타 등등을 뜻하는 라틴어인 [[ETC|Et Cetera]]에서 따왔다.] || || [[파일:RPDR Down Under S1_Jojo Zaho.jpg|width=100%]] || 조조 자호 (Jojo Zaho)[*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이다. 여담으로 Jojo Zaho를 그대로 읽으면 조조는 헤픈 년이다(Jojo is a hoe)라는 언어유희가 된다.] || || [[파일:RPDR Down Under S1_Karen From Finance.jpg|width=100%]] || 캐런 프럼 파이낸스 (Karen From Finance)[* 예전에 미국 시즌 7 및 올스타 시즌 3 참가자였던 [[트릭시 마텔]]이 그녀의 팬이라고 샤라웃을 한적 있다.] || || [[파일:RPDR Down Under S1_Maxi Shield.jpg|width=100%]] || 맥시 실드 (Maxi Shield) || || [[파일:RPDR Down Under S1_Scarlet Adams.jpg|width=100%]] || 스칼렛 아담스 (Scarlet Adams)[* 이번 시즌 논란의 주인공. [[블랙페이스]]와 [[옐로우페이스]] 드랙을 누회 한 과거 때문에 미국 팬들한테 엄청난 욕을 먹었는데, 잘못된 행동임을 인지한 후에도 그러한 실책을 반복했다. 루폴이 경연 도중 '스칼렛을 이 자리에서 실격하고 싶지만 반성할 기회를 준'다고 한 뒤 그냥 넘어가는 바람에 팬들의 분노에 불을 놓았고, 셰리 파이처럼 실격되는 것이 마땅하지 인종차별 이슈를 그런 식으로 덮고 넘어가는 것은 말이 안 된다는 평을 받기에 이르렀다.] || }}}|| 상금: $30,000(호주 달러) 부상: *코스메틱 브랜드 레볼루션 뷰티 코스메틱스 (Revolution Beauty Cosmetics) 1년 제공 *피어스 드래그 쥬얼에서 왕관과 왕홀 제공 2021년 5월 1일에 첫 방영 초장부터 '''루폴이 만든 역대 최악의 시즌'''이라는 혹평을 대차게 받았는데, 전미의 드랙 팬과 유튜버들에게서 무지막지한 욕을 얻어먹었으며 무려 3개의 에피소드 4화(4.5점), 5화(5점), 7화(3.3점)가 5/10 이하의 별점을 받았다. 주로 지적된 요소들은 퀸들의 수행 능력에 반하는 제작진의 미흡한 챌린지 편성, 표면적으론 좋아 보였으나 분기마다 튀어나오는 논란의 복병 투성이인 캐스팅, 루폴의 판정인데 정말 매 회차마다 특정인에게 주어지는 노골적 편애와 논외인 퀸들에 대한 부당한 대우가 있다. IMDb 평점도 5.80/10이므로 루폴이 진행한 시리즈 중 '''가장 낮은''' 평점이다. 그 악명 높은 미국 시즌 13보다도 낮은 점수. 그나마 뉴질랜드 드랙퀸(아니타 위글잇, 키타 민, 엘렉트라 쇼크)들은 모두 재밌고 흥미롭다는 긍정적 평가를 받았고, 고정 심사위원인 리스 니콜슨의 심사 능력이 좋은 편이라서 볼만한 요소는 있었다. 드래그레이스에서 가장 어려운 챌린지 중 하나인 스내치 게임을 2회차에 배치하는 바람에 퍼포먼스가 안 좋게 나왔고, 마지막 챌린지 였던 장기자랑은 루폴이 장기자랑 퍼포먼스를 미리 짜줄 시간을 많이 주지 않아서 너무 급하게 끝난 퍼포먼스가 여럿 나왔다.[* 애초에 올스타 시즌처럼 장기자랑 퍼포먼스를 한다고 처음부터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생긴 불상사라고 볼 수 있다.] {{{#!folding 【 스포일러 】 이번 시즌엔 미국 시즌보다도 더 심한 편파 판정, 노골적인 편애, 그리고 참가자들의 부당한 대우가 종종 있었는데. 2화에서 루폴이 호주에서 유명한 아트 시몬을 탈락시켰는데, 탈락시키기엔 아까웠는지 갑자기 아무 제데로된 이유없이 아트 시몬을 4화에 복귀 시켰다. 이때 다른 참가자들의 반응은 모두 환영해주는 반응이 였으나. 팬들은 왜 아트 시몬을 복귀시키냐고 이해 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여줬고 아트 시몬을 편애한다고 제작진들과 루폴을 비난했다.[* 이때 많은 팬들은 이 순간을 시즌 13에서 캔디 뮤즈를 탈락 시키려다가 캔디 뮤즈를 결국 시몬과 함께 더블 세이프를 준 선택과 다를게 없다고 평가했다.] 심지어 마지막 챌린지였던 장기자랑 퍼포먼스가 좋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편파판정으로 탈락후보를 피하고 아트 시몬은 '''메인 챌린지 우승없이''' Top 4에 진출해버리고 만다. 결국 루드레 다운 언더에서 참가한 아트 시몬은 득보다 실이 많아져버리고 말았다. 루드레 팬들 사이에서 매력 넘치고 재밌다고 호평을 얻은 세 뉴질랜드 출신의 드랙퀸들 중 하나인 아니타 위글잇은 4화에서 캐런 프럼 파이낸스와 탈락 후보가 되는데 아니타 위글잇은 이때 캐런 프럼 파이낸스보다 성적이 좋았고 코미디 실력도 뛰어나서 메인 챌린지 중에서 가장 어려운 스내치 게임을 이긴 강력한 참가자였는데 불구하고 루폴은 '''아니타 위글잇을 탈락시키는 최악의 선택''' 골랐다. 사실상 캐런 프럼 파이낸스가 립싱크를 이겼지만, 새로운 프랜차이즈의 상품성과 인기를 더 끌어올리게 만드려면 아니타 위글잇을 살리는게 더 나은 선택인걸 모르고 탈락하게 냅둔거다. 이 에피소드 이후로 이 시즌은 엄청난 몰락의 길로 걷게 된다. 캐런 프럼 파이낸스는 1화의 런웨이 챌린지를 우승한 후에 메이크오버를 제외한 메인 챌린지에서 특별하게 좋은 활약이 없었고 미국 시즌 11의 실키가 떠오를 정도로 편파 판정으로 탈락후보를 두 번 피했다. 걸그룹 챌린지에서 '''최악의 벌스, 최악의 춤 실력, 최악의 런웨이'''를 보여줬는데도 불구하고 탈락후보에 드는 대신에 통과가 된다. 장기자랑에선 강아지 모양의 풍선을 꼴랑 하나만 만드는 퍼포먼스 선보였는데도 불구하고 탈락후보를 다시 피했다. 사실상 세번째 에피소드에서 최악의 챌린지 퍼포먼스를 보여줄때 일찍 탈락했어야 하는데 너무 오랫동안 갔다. 일렉트라 쇼크는 루드레 역사상 '''가장 부당한 대우'''를 받은 참가자인데. 런웨이 챌린지에서 탈락후보가 된 이후로 메인 챌린지 퍼포먼스가 다 좋은 편이였는데도 불구하고 4번이나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일단 2화에서 그래도 안 좋은 퀄리티의 스내치 게임에서 그나마 살짝 좋은 스내치 게임의 실력을 보여줬는데도 탈락후보는 안됬지만 최하위 성적으로 평가 받았고. 3화엔 걸그룹 챌린지에서 춤 실력이 부족한 팀의 팀 리더가 되어서 가장 강력한 퍼포먼스 실력을 보여줬는데, 팀 리더로서 '''다른 팀원들의 집중 시선을 훔쳤다고''' 이해 할 수 없는 이유로 탈락후보에 또 다시 든다. 심지어 이 챌린지가 개인 실력으로 심사했기 때문에 더 어이가 없었을 수 밖에 없다. 5화에서 그래도 마켓팅 챌린지에서 제일 잘하고, 키타 민을 제외한 다른 참가자들이 좋은 퍼포먼스를 보여주지 못해서 처음으로 챌린지 우승을 차지한다. 6화에서 메이크오버 챌린지에선 드랙 가족 유사성을 제대로 보여줬는데도 불구하고 또 메이크오버를 하는 상대가 메이크업 안 좋다고 혹평을 준다. 아예 일렉트라가 탈락한 장기자랑은 우승할 정도는 아니지만 좋은 현대 춤 퍼포먼스를 보여줬는데도 불구하고 같이 장기자랑을 잘한 키타 민과 함께 탈락후보가 되는 어이없는 상황에 놓고 탈락당하고 만다. 일렉트라 쇼크는 첫 에피소드부터 드랙이 'Unpolished' 하다고 다른 참가자들한테 놀림을 당하고 시작한 언더독이 였는데, 약하게 시작하고 나름 챌린지 두번 이긴 상태에서 강하게 경쟁을 끝내는 모습으로 밀어줄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그럴 시도를 해보지도 않았고, 오히려 계속 하위권으로 추락했다. 스칼렛 아담스는 아예 챌린지를 세 번 이겨서 가장 많은 챌린지 우승을 가졌는데, 근데 문제는 두 개의 챌린지 우승이 모두 '''루폴의 편파판정'''으로 통해서 얻은거다. 아예 3화에선 팀 리더로서 좋은 활약은 했지만 걸그룹 퍼포먼스가 자신의 팀에서 좀 무난해서 그냥 통과 할 줄 알았는데 갑자기 일렉트라 쇼크 대신에 챌린지를 우승해서 논란이 일으켰고. 아예 4화의 디자인 챌린지는 좋은 의상 디자인을 우승하긴 하나, 맥시 실드도 좋은 의상 디자인과 나름 스칼렛 아담스보다 더 어렵게 의상을 재봉해서, 맥시 실드가 디자인 챌린지를 우승했었어야 한다고 주장한 팬들이 다수 있었다. 결국엔 노골적인 편애로 가장 좋은 성적을 얻었지만 스칼렛 아담스가 엄청난 인종차별주의적인 행동을 일삼은 과거가 들어남에 따라 결국 루드레 다운 언더 시즌 1 우승은 물 건너 갔다. 키타 민은 끝끝내 TOP 4까지 살아남아서 엄청난 비호감였던 호주 드랙퀸들을 모두 제치고 메인 챌린지 한 번 우승, 탈락후보 한 번이라는 '''2'''등의 성적을 갖게 된체 우승 한다.[* 다만 마켓팅 챌린지에서 일렉트라 쇼크와 같이 공동 우승했어야 했다는 의견이 나름 있고, 마지막 챌린지에서 빠른 변환 마술이라는 급하게 만들었는데도 임팩트가 있는 장기자랑 퍼포먼스를 선보였는데 탈락 후보된게 이해 안된다는 반응이 대다수 였었다.] 정작 키타 민이 우승했지만 우승자 편집을 전혀 받지 않아서 존재감이 없는 우승자라는 평가를 받았고, 심지어 메이크오버 챌랜지를 우승한 날에도 분량이 적었다. '''어차피 키타 민이 우승 할 수 밖에 없는게''' 아트 시몬과 캐런 프럼 파이낸스는 챌린지 수행 능력이 너무 안좋은 편이 였고, 스칼렛 아담스는 인종차별주의자 논란과 편애 논란 때문에 경연 성적이 가장 좋았어도 우승을 주기 힘들었다. 해당 시즌이 얼마나 최악이었는지 우승자가 발표되었을 당시 대부분의 시청자들은 무관심으로 일관했고, 최악의 에피소드를 3개나 배출하여 프랜차이즈 자체가 폭삭 망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다행히 시즌 2에서 좋은 모습으로 재기하여 종영의 위기를 피할 수 있었다. }}} ==== 시즌 2 ==== [[파일:RPDR Down Under Season 2.png]] ||
<:><-2> {{{+2 {{{#141212 '''Down Under 시즌 2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국가''' || '''사진''' || '''이름''' || ||<|3>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50]] || [[파일:RPDR DU S2 Aubery Haive.png|width=100%]] || 오브리 헤이브 (Aubery Haive) || || [[파일:RPDR DU S2 Spankie Jackzon.png|width=100%]] || 스팽키 잭슨 (Spankie Jackzon)[* 2020년에 키타 민과 아니타 위글잇이 주최한 뉴질랜드 드랙 경쟁인 '''House of Drag 시즌 2의 우승자 출신'''이다.] || || [[파일:RPDR DU S2 Yuri Guaii.png|width=100%]] || 유리 과이 (Yuri Guaii)[* 드랙 이름이 너는 남자야(You're a guy)의 언어 유희다. 몰리 포핀즈과 다르게 [[마오리]]계 뉴질랜드인이다.] || ||<|7> [[파일:호주 국기.svg|width=50]] || [[파일:RPDR DU S2 Beverly Kills.png|width=100%]] || 베벌리 킬스 (Beverly Kills) || || [[파일:RPDR DU S2 Faúx Fúr.png|width=100%]] || 포 퍼(Faúx Fúr)[* 호주에서 활동하지만 사실 베트남계 뉴질랜드인 참가자다. 드랙 이름은 모피 코트에 쓰이는 인조 모피 Faux fur에서 따온 이름이다.] || || [[파일:RPDR DU S2 Hannah Conda.png|width=100%]] || 한나 콘다 (Hannah Conda) || || [[파일:RPDR DU S2 Kween Kong.png|width=100%]] || 퀸 콩 (Kween Kong)[* 아웃 드랙의 모습이 잘생기고 몸이 좋아서 인기가 많다. 통가-사모아 혼혈 뉴질랜드인이다.] || || [[파일:RPDR DU S2 Minnie Cooper .png|width=100%]] || 미니 쿠퍼 (Minnie Cooper) || || [[파일:RPDR DU S2 Molly Poppinz.png|width=100%]] || 몰리 포핀즈 (Molly Poppinz)[* 마오리계 호주인이다.] || || [[파일:RPDR DU S2 Pomara Fifth.png|width=100%]] || 포마라 피프스 (Pomara Fifth) || }}} || 상금: $50,000(미국 달러) 부상: *코스메틱 브랜드 아나스타샤 베벌리 힐스(Anastasia Beverly Hills) 1년 제공 *피어스 드래그 쥬얼에서 왕관과 왕홀 제공 포로모션 룩이 공개 되었을때 너무 저예산이라서 또 다시 팬들한테 욕을 먹었는데. 모두의 예상을 깨고 시즌 1보다 더 한층 더 좋은 시즌을 보여줘서 호평 받았다. 시즌 1에 비교하면 상당히 크게 개선된게 캐스팅이 확실히 엄청 마음에 들고, 재밌는 에피소드(3화, 7화)들이 있고, 이번엔 챌린지 결과 판정과 심사는 제대로 했다는 호평이 많다. 립싱크도 상당히 긍정적인 평가가 많다. 이 시즌의 문제점은 스테이지와 대기실이 다른 드래그레이스 프랜차이즈에 비하면 너무 작고 저예산이고, 시즌 자체가 저예산의 냄새[* 일단 참가자는 또 10명이고, 우승자 상금이 올라가긴 했는데 미국 루드레의 우승자 상금의 25% 밖에 되지 않는다. 그리고 챌린지 우승 상금도 없다.]가 풍긴다는 --별것도 아닌-- 부정적인 평가가 있다. 연기 챌린지의 대본은 안 좋고 이전 시즌에서 나왔던 메인 챌린지가 시즌 2에서도 반복되게 나와서 지루하다는 고질적인 문제가 있다.[* 이 고질적인 문제는 현재 루폴의 드래그 레이스 UK에서도 계속 이어져 있는 문제다.] ==== 시즌 3 ==== [[파일:DRDU3Cast.webp]] ||
<:><-2> {{{+2 {{{#141212 '''Down Under 시즌 3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국가''' || '''사진''' || '''이름''' || ||<|3>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50]] || [[파일:RPDR DU S3_Flor.webp|width=100%]] || 플로어 (Flor)[* 과테말라 출신의 드랙퀸.] || || [[파일:RPDR DU S3_Ivanna Drink.webp|width=100%]] || 아이바나 드링크 (Ivanna Drink)[*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활동하는 인도계 뉴질랜드인 드랙퀸. Down Under 시즌 1의 아니타 위글잇의 '''남편'''이고 결혼한 동성부부다. 본래 드랙 이름은 원래 남편처럼 Ivanna Wigl'it으로 지을려고 했었었다. 드랙 이름은 나는 마시는걸 원해 (I wanna drink)의 언어 유희다.] || || [[파일:RPDR DU S3_Rita Menu.webp|width=100%]] || 리타 메뉴 (Rita Menu) || ||<|7> [[파일:호주 국기.svg|width=50]] || [[파일:RPDR DU S3_Amyl.webp|width=100%]] || 아밀(Amyl)[* 콜롬비아에서 출생했다.] || ||[[파일:RPDR DU S3_Bumpa Love.webp|width=100%]] || 범파 러브 (Bumpa Love)[* [[마오리]]계 출신의 드랙퀸. 촬영 당시 나이가 '''51'''살이라는 고령의 나이로 참가했다.] || || [[파일:RPDR DU S3_Gabriella Labucci.webp|width=100%]] || 가브리엘라 라부찌 (Gabriella Labucci) || || [[파일:RPDR DU S3_Hollywould Star.webp|width=100%]] || 할리우드 스타 (Hollywould Star)[* 호주 시드니에서 활동하는 아프리가계 미국인 드랙퀸. 여담으로 참가자 소개 영상에서 오페라를 부를 수 있다고.] || || [[파일:RPDR DU S3_Isis Avis Loren.webp|width=100%]] || 아이시스 아비스 로렌 (Isis Avis Loren)[* 호주 [[멜버른]]에서 활동하는 이탈리아계 - 호주인 혼혈 드랙퀸.] || || [[파일:RPDR DU S3_Ivory Glaze.webp|width=100%]] || 아이보리 글레이즈 (Ivory Glaze)[* 호주 시드니에서 활동하는 중국계 - 네덜란드계 - 호주인 혼혈 드랙퀸.] || }}} || 상금: $50,000(미국 달러) 부상: *코스메틱 브랜드 아나스타샤 베벌리 힐스(Anastasia Beverly Hills) 1년 제공 *피어스 드래그 쥬얼에서 왕관과 왕홀 제공 시즌 1이 각종 논란과 문제점 때문에 망했다면 이 시즌은 약한 재능의 참가자 캐스팅으로 망했다. 시즌 2에 비하면 참가자의 챌린지 수행 능력이 챌린지 결과물, 립싱크, 런웨이에서 기억에 남는게 하나도 없을 정도로 처참한 시즌이다. 루믹스하고 메이크오버 챌린지를 제외한 모든 챌린지 결과물이 평균적인 편이다. 특히, 스내치 게임 결과물은 시즌 1만큼 안좋다는 평가를 받았고 디자인 챌린지에서 나온 의상들이 그저 그런 수준이다. 편집 문제도 심각한게 사실상 스토리 라인이 하나도 없고, 일관된 챌린지 심사가 없고, 각 참가자가 대체 어떤 유형의 사람인지, 어떤 삶을 살아왔는지 알 수가 없다. 이런 문제점들 때문에 열광적이고 재미있는 느낌이 많이 안 나온다. 챌린지 심사 판정은 특정 참가자 편애는 없지만 판정이 굉장히 이상하게 나온다. IMDb 평점은 6.66/10점으로, Down Under 시즌 2의 평점 7.7/10점을 못 넘겼다. ==== 시즌 4 ==== == 참가자 출신 진행자 시즌 == [[루폴의 드래그 레이스]] 참가자 출신이 진행자인 시즌. === Canada's Drag Race === 루폴의 드래그 레이스 시즌 11의 참가자이자 캐나다 출신의 드랙 아티스트인 브룩 린 하이츠가 호스트로 활동한다. 루폴 혼자 심사 판정을 내리는 미국 시즌과 달리 다른 공동 호스트와의 투표를 통해 탈락자 후보를 결정하고 게스트 심사위원들의 멘트 분량도 꽤 많아서 전체적으로 민주주의적인 분위기가 강하다. 심사 판정이 민주주의적이라고 했지 심사 판정도 루폴만큼 안 좋을때도 있다. 첫 시즌이 몇몇의 본가 미국 시즌보다 재미있다는 호평을 받으며[* 재미있는 점은 챌린지 퀄리티나 편집이 호평을 받은 게 아니라, 참가자들이 던지는 무심한 듯 시크한(...) 멘트들이 빵빵 터졌다는 것.][* 다만 저예산이라는 티는 풀풀 나고, 캐나다 방송계 분위기 때문인지 참가자들 간의 [[기싸움]]이나 [[악마의 편집]]이 거의 없기 때문에 본가 시즌과는 분위기가 굉장히 다르다.] 흥행에 성공했고, 놀랍게도 참가자 중 한명인 Priyanka는 시즌이 끝난 뒤 발표한 음반이 대박을 치는 등[* 특히 같은 시즌 참가자인 Lemon이 피쳐링한 'Come Through'는 '''700만 스트리밍을 넘겼다'''.] 상당히 좋은 아웃풋을 내고 있다. 시즌3이 성공리에 마무리되고 시즌 4가 방영예정이다. ==== 시즌 1 ==== [[파일:CA S1 Cast.jpg]] ||
<:><-2> {{{+2 {{{#141212 '''캐나다 시즌 1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사진''' || '''이름''' || || [[파일:CA S1_Priyanka.jpg|width=100%]] || 프리얀카 (Priyanka)[* 인도 - 가이아나계 캐나다인이다. ] || || [[파일:CA S1_Ilona Verley.jpg|width=100%]] || 일로나 벌리 (Ilona Verley)[* 캐나다의 드래그 레이스의 첫 트랜스 여성 참가자.] || || [[파일:CA S1_Kiara.jpg|width=100%]] || 키아라 (Kiara) || || [[파일:CA S1_Juice Boxx.jpg|width=100%]] || 쥬스 박스 (Juice Boxx) || || [[파일:CA S1_Anastarzia Anaquway.jpg|width=100%]] || 아나스타지아 아나쿠웨이 (Anastarzia Anaquway) || || [[파일:CA S1_Lemon.jpg|width=100%]] || 레몬 (Lemon) || || [[파일:CA S1_Scarlett Bobo.jpg|width=100%]] || 스칼렛 보보 (Scarlett BoBo) || || [[파일:CA S1_Kyne.jpg|width=100%]] || 카인 (Kyne) || || [[파일:CA S1_BOA.jpg|width=100%]] || 보아 (BOA)[* Bitch On Arrival의 약자이다.] || || [[파일:CA S1_Rita Baga.jpg|width=100%]] || 리타 바가 (Rita Baga) || || [[파일:CA S1_Jimbo.jpg|width=100%]] || 짐보 (Jimbo) || || [[파일:CA S1_Tynomi Banks.jpg|width=100%]] || 타이노미 뱅크스 (Tynomi Banks) || }}}|| 상금: $100,000 (캐나다 달러) 부상: *[[힐튼]]이 제공하는 1년치 호텔 숙박 *Amped Accessories에서 왕관과 왕홀을 제공 2020년 7월 20일에 첫 방영. ==== 시즌 2 ==== [[파일:CDR S2_Cast.webp]] ||
<:><-2> {{{+2 {{{#141212 '''캐나다 시즌 2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사진''' || '''이름''' || || [[파일:CDR S2_Gia Metric.jpg|width=100%]] || 지아 메트릭 (Gia Metric) || || [[파일:CDR S2_Kimora Amour.jpg|width=100%]] || 키모라 아모르 (Kimora Amour) || || [[파일:CDR S2_Pythia.jpg|width=100%]] || 피티아 (Pythia)[* 그리스 출신의 드랙퀸. 드랙 이름인 Pythia는 델포이 신탁의 무녀 피티아에서 유래했다.] || || [[파일:CDR S2_Eve 6000.jpg|width=100%]] || 이브 6000 (Eve 6000)[* [[마케도니아]]계 캐나다인이다.] || || [[파일:CDR S2_Suki Doll.jpg|width=100%]] || 수키 돌 (Suki Doll)[* 중국, 캄보디아, 베트남 출신의 참가자.] || || [[파일:CDR S2_Adriana.jpg|width=100%]] || 아드리아나 (Adriana) || || [[파일:CDR S2_Beth.jpg|width=100%]] || 베스 (Beth) || || [[파일:CDR S2_Icesis Couture.jpg|width=100%]] || 아이시스 쿠튀르 (Icesis Couture) || || [[파일:CDR S2_Océane Aqua-Black .jpg|width=100%]] || 오시안 아쿠아-블랙 (Océane Aqua-Black) || || [[파일:CDR S2_Stephanie Prince.jpg|width=100%]] || 스테파니 프린스 (Stephanie Prince)[* [[필리핀]] 출신의 참가자.] || || [[파일:CDR S2_Kendall Gender.jpg|width=100%]] || 켄달 젠더 (Kendall Gender) || || [[파일:CDR S2_Synthia Kiss.jpg|width=100%]] || 신시아 키스 (Synthia Kiss) || }}}|| 상금: $100,000 (캐나다 달러) 부상: *Shoppers Drug Mart에서 뷰티 제품 제공 *Amped Accessories에서 왕관과 왕홀을 제공 2021년 10월 14일에 첫 방영. ==== 시즌 3 ==== [[파일:CDR3Cast.webp]] ||
<:><-2> {{{+2 {{{#141212 '''캐나다 시즌 3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사진''' || '''이름''' || || [[파일:CDR S3_Bombae.jpg|width=100%]] || 봄배 (Bombae)[* 인도 출신의 드랙퀸.] || || [[파일:CDR S3_Kimmy Couture.jpg|width=100%]] || 키미 쿠튀르 (Kimmy Couture)[* 시즌 2의 아이시스 쿠튀르의 드랙 딸. 캐나다인인 아이시스와 다르게 필리핀인이다.] || || [[파일:CDR S3_Chelazon Leroux.jpg|width=100%]] || 첼라종 르루 (Chelazon Leroux) || || [[파일:CDR S3_Jada Shada Hudson.jpg|width=100%]] || 제이다 셰이다 허드슨 (Jada Shada Hudson) || || [[파일:CDR S3_Miss Moço.jpg|width=100%]] || 미스 모소 (Miss Moço)[* Miss Moço의 Moço는 남자라는 뜻이다. ] || || [[파일:CDR S3_Gisèle Lullaby.jpg|width=100%]] || 지젤 럴러바이 (Gisèle Lullaby) || || [[파일:CDR S3_Kaos.jpg|width=100%]] || 카오스 (Kaos)[* [[매니토바]] 출신의 드랙퀸. 시즌 2의 베스의 사촌이다.] || || [[파일:CDR S3_Miss Fiercalicious.jpg|width=100%]] || 미스 피어사리셔스 (Miss Fiercalicious)[* 드랙 이름이 fierce 와 delicious의 합성어다.]|| || [[파일:CDR S3_Vivian Vanderpuss.jpg|width=100%]] || 비비안 밴더푸스 (Vivian Vanderpuss) || || [[파일:CDR S3_Lady Boom Boom.jpg|width=100%]] || 레이디 붐 붐 (Lady Boom Boom) || || [[파일:CDR S3_Irma Gerd.jpg|width=100%]] || 이르마 걸드 (Irma Gerd) || || [[파일:CDR S3_Halal Bae.jpg|width=100%]] || 할랄 배 (Halal Bae) || }}}|| 상금: $100,000 (캐나다 달러) 부상: *Shoppers Drug Mart에서 뷰티 제품 제공 *Amped Accessories에서 왕관과 왕홀을 제공 2022년 7월 14일에 첫 방영. ==== 시즌 4 ==== [[파일:CDR S4 Cast.jpg]] ||
<:><-2> {{{+2 {{{#141212 '''캐나다 시즌 4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사진''' || '''이름''' || || [[파일:CDR S4_Venus.jpg|width=100%]] || 비너스 (Venus) || || [[파일:CDR S4_Denim.jpg|width=100%]] || 데님 (Denim)[* 캐나다의 드래그 레이스의 첫 트랜스 남성 참가자.] || || [[파일:CDR S4_Kiki Coe.jpg|width=100%]] || 키키 코 (Kiki Coe)[* 캐나다에서 개최한 신인 드랙 경쟁인 Call Me Mother 시즌 1 출신의 참가자다.] || || [[파일:CDR S4_Luna DuBois.jpg|width=100%]] || 루나 뒤부아 (Luna DuBois)[* [[나이지리아]] 출신의 드랙퀸.] || || [[파일:CDR S4_Sisi Superstar.jpg|width=100%]] || 시시 슈퍼스타 (Sisi Superstar) || || [[파일:CDR S4_Melinda Verga.jpg|width=100%]] || 멜린다 베르가 (Melinda Verga)[* 필리핀계 캐나다인 드랙퀸.] || || [[파일:CDR S4_Kitten Kaboodle.jpg|width=100%]] || 키튼 카부들 (Kitten Kaboodle)[* 촬영 당시 나이 기준 '''57'''세. 드랙퀸으로서 활동을 1981년에 데뷔했다.] || || [[파일:CDR S4_Nearah Nuff.jpg|width=100%]] || 니어아 너프 (Nearah Nuff) || || [[파일:CDR S4_Aurora Matrix.jpg|width=100%]] || 오로라 매트릭스 (Aurora Matrix)[* 중국계 캐나다인 드랙퀸.] || || [[파일:CDR S4_The Girlfriend Experience.jpg|width=100%]] || 걸프렌드 익스피리언스 (The Girlfriend Experience)[* 트랜스 여성 드랙퀸.] || || [[파일:CDR S4_Aimee Yonce Shennel.jpg|width=100%]] || 에이미 욘세 셰넬 (Aimee Yonce Shennel)[*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의 드랙퀸.] || }}}|| === Drag Race France === 루폴의 드래그 레이스 시즌 12의 참가자이자 프랑스 출신의 드랙 아티스트인 니키 돌이 호스트로 활동한다. 방영 전에는 시즌 12에서 성적이 저조했던 니키 돌이[* 시즌 12에서 영어 발음이 안 좋아서 코미디 챌린지에 큰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고, 립싱크하고 퍼포먼스 능력이 약했다. 하지만 런웨이에서 보여준 룩들은 모두 인상적이여서 호평 받았다.] 메인 호스트를 맡는다는 것 때문에 우려를 표하는 이들이 많았으나, 뚜껑을 열고 보니 준수한 진행 실력을 보여줘서 우려를 종식시켰다. 첫 시즌부터 현지 팬들 사이에서 최강의 국제 시즌이라고 평가 받았는데. 참가자 캐스팅이 마음에 들고, 앞서 말했듯이 니키 돌의 진행 실력이 호평받았고, 퀸들의 재능이 어마어마하다고 평가 받아서 전체적으로 볼만하다. 다만 변역된 자막의 상태가 엉망일 때가 있고 첫 시즌이라서 그런지 방송의 진행이 느리다고 비판 받았다. 시즌 1 종영 후 시즌 2도 제작이 확정되었다. ==== 시즌 1 ==== [[파일:Drag Race France Promo Photo.jpg]] ||
<:><-2> {{{+2 {{{#141212 '''프랑스 시즌 1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사진''' || '''이름''' || || [[파일:Drag Race France_Elips.jpg|width=100%]] || 엘립스 (Elips) || || [[파일:Drag Race France_Kam Hugh.jpg|width=100%]] || 캄 휴그 (Kam Hugh) || || [[파일:Drag Race France Big Bertha.jpg|width=100%]] || 빅 베르타 (La Big Bertha) || || [[파일:Drag Race France La Briochée.jpg|width=100%]] || 브리오쉬 (La Briochée)[* 프랑스판 첫 트랜스여성이다.] || || [[파일:Drag Race France_La Grande Dame.jpg|width=100%]] || 그란 담 (La Grand Dame) || || [[파일:Drag Race France_La Kahena.jpg|width=100%]] || 카헤나 (La Kahena) || || [[파일:Drag Race France Lolita Banana.jpg|width=100%]] || 로리타 바나나 (Lolita Banana)[* 멕시코, 멕시코 시티 출신. [[저스트 댄스]]를 발매하는 [[유비소프트]] 파리에서 일하는 댄서다. 최근에 [[저스트 댄스 2023]]에서 루폴의 유명 노래인 Sissy That Walk이 수록됬는데, 이 노래에서 로리타 바나나가 드랙인 상태로 춤을 춘다.] || || [[파일:Drag Race France Lova Ladiva.jpg|width=100%]] || 로바 라디바 (Lova Ladiva) || || [[파일:Drag Race France Paloma.jpg|width=100%]] || 팔로마 (Paloma) || || [[파일:Drag Race France_Soa de Muse.jpg|width=100%]] || 소아 드 뮤즈 (Soa de Muse)[* 아프리카계 [[마르티니크]]인이다.] || }}}|| 상금: 없음 부상: *Carré Y에서 4만 유로 상당의 왕관과 왕홀을 제공 *[[틴더]] 제공 모리셔스 섬에서의 2인 1주일 숙박 *코스메틱 브랜드 MAC 1년 제공 *[[엘르(잡지)|ELLE]](프랑스 여성 패션 잡지)에서 특별 화보 촬영 ==== 시즌 2 ==== [[파일:Drag Race France Season 2.webp|width=100%]] ||
<:><-2> {{{+2 {{{#141212 '''프랑스 시즌 2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사진''' || '''이름''' || || [[파일:DRF S2_Cookie Kunty.png|width=100%]] || 쿠키 컨티 (Cookie Kunty)[* 프랑스계 캐나다인이다.] || || [[파일:DRF S2_Ginger Bitch.png|width=100%]] || 진저 비치 (Ginger Bitch) || || [[파일:DRF S2_Keiona.png|width=100%]] || 케이오나 (Keiona)[* [[코트디부아르]] 공화국 출신의 드랙퀸. 원래 드랙 이름은 Keiona Revlon이고 House of Revlon라는 [[보깅]] 하우스에 속해 있는 드랙퀸이다. 드래그 레이스 프랑스 출연 이전에 House of Revlon의 멤버들과 함께 2022년에 보깅 리얼리티 경쟁 프로그램인 Legendary 시즌 3에 참가자로 출연했었다.] ] || || [[파일:DRF S2_Kitty Space.png|width=100%]] || 키티 스페이스 (Kitty Space)[* 프랑스계 베트남인이다.] || || [[파일:DRF S2_Mami Watta.png|width=100%]] || 마미 와타(Mami Watta)[* 케이오나와 같은 [[코트디부아르]] 공화국 출신의 드랙퀸. 드랙 이름인 Mami Watta는 Mami Wata라는 아프리카 여신에서 따온 이름이다.] || || [[파일:DRF S2_Moon.png|width=100%]] || 문 (Moon)[* 스위스계 루마니아인이다. 범성애자, 트랜스 여성 드랙퀸이다.] || || [[파일:DRF S2_Piche.png|width=100%]] || 피처 (Piche) || || [[파일:DRF S2_Punani.png|width=100%]] || 푸나니 (Punani)[*푸나니,로즈 푸나니와 로즈는 프랑스, 파리에서 활동하는 소꿉친구 드랙퀸 듀오다. 둘 다 드랙을 2013년에 활동하기 시작했다.][* 본업은 일부 프랑스 잡지에서 일하는 사진가.] || || [[파일:DRF S2_Rose.png|width=100%]] || 로즈 (Rose)[*푸나니,로즈][* 프랑스계 이탈리아인. 드랙 이름인 Rose는 자신의 고향인 L'Haÿ-les-Roses에서 따온 이름이다. 본업은 [[심리학자]]다.] || || [[파일:DRF S2_Sara Forever.png|width=100%]] || 사라 포에버 (Sara Forever) || || [[파일:DRF S2_Vespi.png|width=100%]] || 베스피 (Vespi) || }}}|| 상금: 없음 부상: *Carré Y에서 4만 유로 상당의 왕관과 왕홀을 제공 *misterb&b(성소수자들 위한 여행 웹사이트) 제공 브로드웨이 쇼(Broadway Show)와 5성급 호텔을 포함한 2인용 뉴욕 여행 *코스메틱 브랜드 MAC 1년 제공 2023년 6월 23일에 첫 방영. 전 시즌보다 캐스팅이 더 화려하고 참가자들의 케미가 상당해서 큰 재미 주었다. 참가자들의 패션 감각이 모두 대단하고, 챌린지 결과물은 상당히 준수한 편이다. 참가자들의 갈등보다는 참가자들이 가지고 있던 마음의 상처나 LGBT들이 겪는 트라우마에 대한 교훈적인 메세지를 전달해서 진지한 시즌이라고 평가받는다. 비평적으로 대호평을 받았으며, IMDb 평점이 무려 '''9.1/10점'''을 기록한 역대급 시즌이다.[* 심지어 이 평점은 루드레 최고의 시즌이라고 평가받은 올스타 시즌 2 (8.82/10점)보다 높은 점수다.] ==== 시즌 3 ==== === Drag Race Belgique === 캐나다 시즌 1 출신, 캐나다 vs The World 출신 참가자이자 프랑스계 캐나다인인 리타 바가가 호스트로 활동한다. 진행자의 출생지 특성상 프랑스어로 진행된다. ==== 시즌 1 ==== [[파일:DRB S1 Cast.jpg]] ||
<:><-2> {{{+2 {{{#141212 '''벨기에 시즌 1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사진''' || '''이름''' || || [[파일:DRB S1_Edna Sorgelsen.jpg|width=100%]] || 에드나 소르겔센 (Edna Sorgelsen) || || [[파일:DRB S1_Mocca Bone.jpg|width=100%]] || 모카 보네 (Mocca Bone) || || [[파일:DRB S1_Peach.jpg|width=100%]] || 피치 (Peach) || || [[파일:DRB S1_Athena Sorgelikis.jpg|width=100%]] || 아테나 소르겔리키스 (Athena Sorgelikis) || || [[파일:DRB S1_Valenciaga.jpg|width=100%]] || 발렌시아가 (Valenciaga) || || [[파일:DRB S1_Brittany Von Bottokx.jpg|width=100%]] || 브리트니 폰 보톡스 (Brittany Von Bottoks) || || [[파일:DRB S1_Drag Couenne.jpg|width=100%]] || 드래그 쿠완 (Drag Couenne)[* '드래그 퀸'의 발음과 비슷하다.] || || [[파일:DRB S1_Susan.jpg|width=100%]] || 수잔 (Susan) || || [[파일:DRB S1_Mademoiselle Boop.jpg |width=100%]] || 마드모아젤 붑 (Mademoiselle Boop) || || [[파일:DRB S1_Amanda Tears.jpg|width=100%]] || 아만다 티어스 (Amanda Tears) || }}}|| 상금: €20,000 부상: Aster Lab에서 왕관과 왕홀 제공 미국 팬들이 이 시즌을 평가하길 좋지도 나쁘지 않은 시즌이라고 평가를 내리는데, 캐스팅이 마음에 들고 개성적이고, 런웨이들도 특이하고 고퀄리티다, 편집 방식도 나름 괜찮은 편이라고 호평한다. 하지만 챌린지 수행능력은 메이크오버 챌린지 빼고 그렇게 뛰어난 편이 아니라고 평가하고, 퀸들 간의 드라마가 없어서 그런지 지루하다는 평가도 있다.[* 심지어 이 시즌의 Untucked을 보면 신경전과 드라마틱한 장면들 대신에 퀸들이 모두 친근하고 서로 의지해주는 장면들이 많이 나온다.] 다양한 구경겨리의 드랙퀸 패션을 보고 싶다면 이 시즌을 추천한다. 심사위원의 평가에서 살짝 혹평이 있는게 심사위원 중 하나인 루피(Lufy)는 최악의 챌린지 평가와 최악의 조언을 준다고 모든 팬들이 악평을 내렸다. --특히 루피가 "Byeeee"라고 말할때 제일 꼴보기 싫다고.-- 심지어 다른 심사위원인 머스티(Mustii)와 그리고 호스트인 리타 바가도 루피의 평가에 반대하는 모습이 방송에서 나온다. === Drag Race México === 루폴의 드래그 레이스 시즌 9, 올스타 4 참가자 발렌티나와 프랑스판 시즌 1 참가자 롤리타 바나나가 공동 호스트로 활동한다.[* 공동 호스트는 태국판 이후 2번째이며, 참가자 출신으로만 이루어진 공동 호스트로는 최초이다.] ==== 시즌 1 ==== [[파일:Drag Race Mexico S1 Cast.jpg]] ||
<:><-2> {{{+2 {{{#141212 '''멕시코 시즌 1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사진''' || '''이름''' || || [[파일:Drag Race México S1_Pixie Pixie.jpg|width=100%]] || 픽시 픽시 (Pixie Pixie) || || [[파일:Drag Race México S1_Serena Morena.jpg|width=100%]] || 세레나 모레나 (Serena Morena) || || [[파일:Drag Race México S1_Magaret Y Ya.jpg|width=100%]] || 마르가렛 이 야 (Margaret Y Ya) || || [[파일:Drag Race México S1_Vermelha Noir.jpg|width=100%]] || 베르멜하 느와르 (Vermelha Noir) || || [[파일:Drag Race México S1_Regina Voce.jpg|width=100%]] || 레지나 보체 (Regina Voce)[* Queen of the Universe 시즌 1 출신 참가자이다.] || || [[파일:Drag Race México S1_Miss Vallarta.jpg|width=100%]] || 미스 발라타 (Miss Vallarta) || || [[파일:Drag Race Mexico S1_Lady Kero.jpg|width=100%]] || 레이디 케로 (Lady Kero) || || [[파일:Drag Race México S1_Argennis.jpg|width=100%]] || 아르게니스 (Argennis) || || [[파일:Drag Race México S1_Cristian Peralta.jpg|width=100%]] || 크리스티안 페랄타 (Cristian Peralta) || || [[파일:Drag Race México S1_Gala Varo.jpg|width=100%]] || 갈라 바로 (Gala Varo) || || [[파일:Drag Race México S1_Matraka.jpg|width=100%]] || 마트라카 (Matraka) || }}}|| 상금: MXN $550,000(멕시코 페소) 부상: *코스메틱 브랜드 아나스타샤 베벌리 힐스(Anastasia Beverly Hills) 1년 제공 *Amped Accessories에서 왕관과 왕홀을 제공 == vs The World == 올스타 국제판. 전세계의 드래그 레이스 참가자들이 참여한다. === RuPaul's Drag Race UK vs The World === [[파일:RPDR UK's UK VS The World.jpg]] ||
<:><-2> {{{+2 {{{#ffffff '''UK vs The World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국가''' || '''사진''' || '''이름''' || ||<|3> [[파일:영국 국기.svg|width=50]] || [[파일:RPDR UK VS The World_Baga Chipz.jpg|width=50%]] || 바가 칩스 (Baga Chipz)[*UKS1 영국 시즌 1 참가자] || || [[파일:RPDR UK VS The World_Blu Hydrangea.jpg|width=50%]] || 블루 하이드랜자 (Blu Hydrangea)[*UKS1] || || [[파일:RPDR UK VS The World_Cheryl Hole.jpg|width=50%]] || 셰릴 홀 (Cheryl Hole)[*UKS1] ||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50]] || [[파일:RPDR UK VS The World_Janey Jacke .jpg|width=50%]] || 재니 재케 (Janey Jacké)[*NLS1 네덜란드 시즌 1 참가자] || ||<|2>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50]] || [[파일:RPDR UK VS The World_Jimbo.jpg|width=50%]] || 짐보 (Jimbo)[*CAS1 캐나다 시즌 1 참가자] || || [[파일:RPDR UK VS The World_Lemon.jpg|width=50%]] || 레몬 (Lemon)[*CAS1]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50]] || [[파일:RPDR UK VS The World_Pangina Heals.jpg|width=50%]] || 판자이나 힐스 (Pangina Heals)[*TH 태국 시즌 1, 2 '''보조 진행자'''][* 드래그 레이스 역사상 최초로 진행자가 참가자로 출연했다.] || ||<|2> [[파일:미국 국기.svg|width=50]] || [[파일:RPDR UK VS The World_Mo Heart.jpg|width=50%]] || 모 하트 (Mo Heart)[* 미국 시즌 10, 올스타 4][* 예전 드래그명은 모니크 하트 (Monique Heart). 프로그램 내에서는 '모니크 하트'로 표기하고 있다.] || || [[파일:RPDR UK VS The World_Jujubee .jpg|width=50%]] || 쥬쥬비 (Jujubee)[* 미국 시즌 2, 올스타 1, 올스타 5] || }}}|| 상금: 없음 부상: *단독 리얼리티 촬영을 위한 할리우드 여정 *피어스 드래그 쥬얼의 왕관과 왕홀 제공 다양한 나라 시즌의 드래그 레이스 참가자들끼리 서로 경쟁하는 올스타 시즌이라는 아이디어는 굉장했지만 각종 문제점으로 묻힌 시즌. 미국 본가 올스타 시즌도 늘 참가자가 10명[* AS5까지는 10명이었고, AS6에서 13명으로 늘었다가 AS7에서 다시 8명, AS8에서 12명으로 다시 늘어났다.] 안팎이었으니 이번 시즌 참가자가 '9명'인건 시청자들도 납득 가능한 부분이었으나, 에피소드도 그랜드 파이널까지 포함해서 겨우 '''6회로 끝'''이었다[* 그놈의 2인조 시스템 으로 인한 빠른 광탈로 혹평을 받은 미국 올스타 시즌 1이 6개 에피소드밖에 되지 않아서 더 욕을 먹었던 바 있다.]. 글로벌 올스타 시즌이니 만큼 시청자들은 새로운 경쟁 시스템을 기대했지만 , 뚜껑을 열고 보니 견제성 탈락사태로 미국 올스타 시즌 4를 끝으로 사라진 '''Lipsync for your legacy'''[* TOP 2 립싱크에서 립싱크 우승자가 탈락자를 뽑는 시스템. 본가 올스타에서는 여기에 립싱크 어새신을 도입하는 등 개선을 통해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만들었다.]가 돌아왔다. 게다가 UK시즌 처럼 '''[[공영방송]]인 BBC 규정 상 상금을 줄 수 없기 때문에''' 각 에피소드 TOP2들은 립싱크를 이겨봤자 아무런 상금이나 부상을 받지 못했고, 최종 우승자도 상금이 아니라 헐리웃 투어와 리얼리티 촬영을 보상으로 받았다. 캐스팅에서도 문제가 있는데, 타 국가 참가자들은 이번이 두번째 도전인데 반해[* 심지어 판자이나 힐스의 경우 참가자로는 첫 출연이다. 태국 시즌에서는 참가자가 아니라 '''서브진행자'''를 맡았기 때문.] 미국 시즌 참가자들을 무려 '''세 번째 도전(모 하트)과 네 번째 도전(쥬쥬비)'''이었다. 덕분에 뉴페이스의 올스타 도전을 기대했던 시청자들은 크게 실망을 표했다. 그나마 모 하트와 쥬쥬비가 다른 참가자를 압도하는 수준은 되지 못했다는 게 불행 중 다행. 사실 루드레 팬덤에서 제일 혹평받은 것은 이미 본가 시즌에서도 문제를 여러번 일으켰던 '''Lipsync for your legacy'''가 이번에도 '''견제성 탈락을 두 번이나 터트렸다'''는 점이다. 드라마와 반전을 기대했던 듯한 제작진의 의도와는 달리 이 견제성 탈락 때문에 프로그램의 재미도 반감되고 평가도 급락했다. IMDb 평점은 6.42/10점으로, 평이 좋지 않았던 영국 시즌 3의 평점인 7.09/10점보다 더 낮다. {{{#!folding 【 스포일러 】 EP.3 루지컬 챌린지에서 Top2 립싱크에서 승리한 판자이나 힐스가 성적이 부진했던 쥬쥬비가 아니라 챌린지 TOP 2 우승을 두 번이나 했던[* 바꿔말해 '''앞선 1,2화 모두 챌린지 우승을 차지했다'''.] '''짐보를 탈락시켰다'''. 2번째 에피소드에 이어 연속으로 탈락후보가 된 쥬쥬비가 아니라 강력한 우승후보였던 짐보를 탈락시켰으니 당연히 프로그램 팬들이 뒤집어졌고 이 에피소드는 엄청난 항의와 혹평을 받았다. 판자이나 힐스는 '짐보의 해당 챌린지 성적이 제일 좋지 않기 때문'이라고 해명했지만 같은 탈락후보였던 쥬쥬비도 챌린지를 망친 건 매한가지라 논란을 잠재우지는 못했다[* 다만 판자이나가 그냥 참가자도 아니고 호스트 출신이라는 점, 본인이 이런 후폭풍을 예상하지 못했을 만큼 이 바닥 경험이 없는 사람이 아니라는 점 때문에 [[노이즈 마케팅]]을 위한 제작진의 사주가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었다.][* 다만 그 외에도 친화력이 좋아서 금방 다른 참가자들과 가까워진 쥬쥬비와 달리 짐보는 언턱에서 대놓고 '내가 우승자라면 쥬쥬비를 탈락시키겠다'고 선언하는 등 다소 경쟁적인 태도를 보여 소위 말하는 '친목질'에서 한발짝 떨어져 있는 상태였다. 즉 미국 올스타 시즌의 마닐라 루존처럼 '정치력'이라는 단점이 있었던 것.] . 그리고 바로 뒤를 이어 EP.4 스내치 게임에서는 립싱크 우승자인 블루 하이드랜자가 '''판자이나 힐스를 탈락시켰다'''. 문제는 이때 판자이나와 함께 탈락후보에 올랐던게 가장 성적이 부진했던 쥬쥬비라는 것[* 상술했다시피 쥬쥬비는 이번이 '''3번째 탈락후보'''였다.]. 반대로 판자이나는 남아있는 참가자들 중 성적이 가장 좋은[* TOP 2 우승 두 번, 챌린지 상위권 한 번]참가자였던지라 또다시 블루가 엄청난 비난을 받게 되었다. 게다가 이때 판자이나가 '태국 팬들을 실망시킨 것 같다'며 눈물을 보였던지라 블루 하이드랜자가 더 욕을 먹게 되었다. 심지어 이번 시즌에서 판자이나 힐스는 블루 하이드랜자를 응원하고 있었던지라 그야말로 [[뒤통수]]를 제대로 맞은 격. 본인도 친한 사이였던 블루가 자신을 지목해서 충격을 받았다고 언급했다. 우승후보 두명을 견제성으로 보내버리고 정작 최약체는 살려둔 닥분에 많은 루드레 팬들이 등을 돌렸고, 이는 프로그램의 실패로 이어졌다. 최종 우승자는 전통대로 Lipsync for the crown으로 뽑았는데, 하필 여기서 승리한게 판자이나 힐스를 탈락시킨 '''블루 하이드랜자'''. 게다가 블루 하이드랜자의 경연 성적[* TOP 2 우승 한 번, 탈락후보 한 번]은 TOP 2 두 번 우승하고 탈락후보에 들자마자 탈락당한 '''짐보와 판자이나 힐스보다 낮다'''. 덕분에 우승자가 발표 됐을 때 축하하는 분위기가 아니라 상당히 미적지근했고 시청자들의 반응도 냉담했다. 그나마 TOP 4 중에서는 챌린지 성적이 가장 좋은 블루 하이드랜자가 우승하는 게 나았다는 반응이라도 나온 게 다행[* 여담이지만 이 시즌의 Lipsync for the crown 선곡이 [[카일리 미노그]]의 'Supernova'였는데, 곡이 아까웠는지 루폴이 곧바로 다른 시즌에서 선곡을 재탕한다. '''미국 올스타 위너시즌에서'''. 그것도 퍼포먼스로는 둘째가라면 서러울 쉐 쿨레와 모네 X 체인지가 붙을 때 선곡되어 나왔고, 팬들은 '''루폴이 블루와 모 하트에게 [[양민학살|너무]] [[공개처형|잔인했다]]'''는 평을 내렸다.]. 그런데 정작 견제성 탈락으로 3화에서 하차당한 짐보가 이듬해 곧바로 미국 본토 올스타 시즌8에 캐스팅되면서[* 올스타 시즌8의 촬영이 시작된 22년 하반기부터 이미 루머가 나오고 있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uk vs world 촬영이 끝나고 몇달만에 바로 캐스팅 콜을 받았단 소리다.][*AS8스포 압도적인 경연성적을 거둔 짐보가 [[전화위복|최종우승을 차지했다]].] 모든것이 루폴의 [[빅픽쳐]] 였냐는 농담이 나왔다. 여담으로 짐보가 판자이나 힐스한테 탈락 당한 뒤 립스틱 메시지로 "내 이름은 판자이나고 나는 바보 멍청이야. [[추신]], 나는 너희들을 모두 사랑해. [[추신|추추신]], 짐보는 빼고"[* MY NAME IS PANGINA AND I'M A STUPID IDIOT. P.S. I LOVE YOU ALL. P.P.S. EXCEPT JIMBO.]라고 쓴 데다, 트위터에서도 "to 판자이나 힐스 - 너 울때 예쁘더라?"[* @PanginaHeals Your Beautiful When You Cry]라는 멘션을 올려 불화설이 제기되었다. 다만 최근에는 화해한건지[* 물론 시즌5의 코코와 알리샤처럼 제작진이 사주한 컨셉이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었다.] 2023년 1월 19일에 판자이나 힐스가 진행하는 Tongue Thai'd라는 토크 쇼에서 짐보가 게스트로 출연하는 등 꽤나 친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후 짐보와 판자이나는 [[앙숙]]/[[천적]] 기믹이 제대로 잡혔는데, 미국 올스타 시즌8에서 짐보가 챌린지에 우승했을 때에도 하필 립싱크 어새신으로 판자이나가 튀어나와(...)[* 짐보는 진짜로 놀랐는지 루폴에게 '어떻게 나한테 이래!'라며 절규했다. 팬들도 짐보를 놀리는데 진심인지라 [[https://youtu.be/J7oUHL0Pa-s|공식 영상]] 베댓이 '짐보가 판자이나한테 립싱크로 발리는게 연례행사가 되어서 너무 좋다'였을 지경.] 시청자들을 빵 터지게 만들었다. }}} === Canada's Drag Race: Canada vs The World === [[파일:CDR_Canada Vs The World.jpg]] ||
<:><-2> {{{+2 {{{#141212 '''Canada vs The World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국가''' || '''사진''' || '''이름''' || ||<|4>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50]] || [[파일:CDR Canada VS The World_Icesis Couture.jpg|width=50%]] || 아이시스 쿠튀르 (Icesis Couture)[*CAS2 캐나다 시즌 2 참가자] || || [[파일:CDR Canada VS The World_Kendall Gender.jpg|width=50%]] || 켄달 젠더 (Kendall Gender)[*CAS2] || || [[파일:CDR Canada VS The World_Rita Baga.jpg|width=50%]] || 리타 바가 (Rita Baga)[*CAS1 캐나다 시즌 1 참가자] || || [[파일:CDR Canada VS The World_Stephanie Prince.jpg|width=50%]] || 스테파니 프린스 (Stephanie Prince)[*CAS2] || ||<|2> [[파일:영국 국기.svg|width=50]] || [[파일:CDR Canada VS The World_Vanity Milan.jpg|width=50%]] || 배니티 밀란 (Vanity Milan)[*UKS3 영국 시즌 3 참가자] || || [[파일:CDR Canada VS The World_Victoria Scone.jpg|width=50%]] || 빅토리아 스콘 (Victoria Scone)[*UKS3] ||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50]] || [[파일:CDR Canada VS The World_Anita Wigl'it.jpg|width=50%]] || 아니타 위글잇 (Anita Wigl'it)[*DUS1 Down Under 시즌 1 참가자.] || ||<|2> [[파일:미국 국기.svg|width=50]] || [[파일:CDR Canada Vs The World_Ra'Jah O'Hara.jpg|width=50%]] || 라자 오하라 (Ra'Jah O'Hara)[*US11 미국 시즌 11 참가자][*AS6 올스타 시즌 6 참가자] || || [[파일:CDR Canada VS The World_Silky Nutmeg Ganache.jpg|width=50%]] || 실키 넛메그 가나쉬 (Silky Nutmeg Ganache)[*US11][*AS6] || }}} || 상금: $100,000(캐나다 달러) 부상: Amped Accessories에서 왕관과 왕홀을 제공 == 기타 시즌 == === The Switch Drag Race === 칠레에서 진행된 시즌. ==== 시즌 1 ==== ==== 시즌 2 ==== === Drag Race Thailand === LGBTQ 문화의 선두주자라 불리는 태국에서도 판권을 사 Drag Race Thailand를 방영 중이다. 태국판은 대기실도 미국판보다 훨씬 넓은데다 전면 스크린이 달려 있고, 스테이지도 매우 화려하고 전체적인 미션의 수준이 높아 유튜브의 댓글을 보면 '미국과 비교하면 태국은 2029년쯤 되는듯' 같은 댓글이 많다. 그만큼 뛰어난 퀄리티를 자랑하니 관심이 있다면 태국판도 보는 것을 추천. 참고로 태국판 참가자들은 서바이벌 외 드랙쇼에서 케이팝을 모창하기도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Q2BpIFJhZU8|셀럽파이브도 공연한다(...)]] 태국에서 방영되는 드랙 경연 프로그램으로 2018년부터 라인TV에서 송출된다. 호스트는 Art Arya(아트 아리야)[* 아트 아리야의 국적은 태국계 중국인이다.] 와 공동 호스트로는 판자이나 힐스(Pangina Heals)[* 판자이나 힐스의 국적은 태국계 대만인이다.]며 이 프로그램의 우승자는 "Thailand's First Drag Superstar"라는 칭호와 500.000฿의 상금을 받는다. 진행 과정은 루드레처럼 미니 챌린지-메인 챌린지-런웨이-심사-립싱크로 진행되지만 동서양의 문화가 다양하게 자리잡고 있고 다양한 종교가 있는 태국인지라 런웨이를 통해 다른 나라의 종교와 문화를 엿볼 수 있는 흥미로운 특징이 있다. 특히 루드레 시청자들 사이에선 태국 편 런웨이를 상당히 호평하고 있어 지금 루드레의 진행 양상을 비꼬는 반응을 많이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전적인 글램룩만 고집하는 루폴과는 다르게 호스트의 스타일이 참가자들 못지 않게 화려한지라 호스트의 스타일을 기대하는 시청자들도 적지 않다.[* 호스트인 아트 아리야(Art Arya)와 팡자이나 힐즈(Pangina Heals) 둘 다 드랙을 하는지라 루드레의 미쉘 비세이지와 다른 객원 심사위원들에 비해 더 설득력이 있고 몰입감이 있다는 평이 있다.] 루드레의 진행 과정과 다른 점이 있는데 런웨이도 챌린지 일부분여서 런웨이 챌린지도 미국 시즌의 메인 챌린지처럼 심사위원들이 TOP(챌린지 우승 후보), SAFE(통과), BOTTOM(탈락 후보)을 나눠서 평가한다. 메인 챌린지를 우승했지만 런웨이 챌린지에서 의상이 혹평받았으면 메인 챌린지 우승자가 탈락 후보에 들수도 있다. '''즉 메인 챌린지를 이겨도 런웨이 챌린지 때문에 립싱크에서 탈락할 수도 있다.''' 메인 챌린지 대신에 런웨이 챌린지로 탈락자 후보를 뽑는다.[* 물론 메인 챌린지의 성과도 고려하면서 탈락자 후보를 정하기도 한다.] 사실상 이런 시스템 때문에 시즌의 퀄리티는 높은데 드래그 레이스 진행 양상이 일반적인 드래그 레이스랑 엄청 달라서 항의하는 팬들이 많다. 여담으로 국가가 국가인지라 참가자에 따라 모국어와 영어가 다양하게 나온다. ==== 시즌 1 ==== [[파일:dragrace Thailand 1.jpg]] ||
<:><-2> {{{+2 {{{#141212 '''태국 시즌 1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사진''' || '''이름''' || || [[파일:DRTH_Amadiva.jpg|width=100%]]|| 아마디바 (Amadiva)[* 읽어보면 알겠지만 'I'm a diva'의 언어유희다.] || || [[파일:DRTH_Annee Maywong.jpg|width=100%]]|| 애네이 메이웡 (Annee Maywong) || || [[파일:DRTH_B Ella.jpg|width=100%]]|| 비 엘라 (B Ella) || || [[파일:DRTH_Bunny Be Fly.jpg|width=100%]]|| 버니 비 플라이 (Bunny Be Fly) || || [[파일:DRTH_Dearis Doll.jpg|width=100%]]|| 디어리스 돌 (Dearis Doll) || || [[파일:DRTH_JAJA.jpg|width=100%]]|| 자자 (JAJA)[* 드래그 레이스 태국의 첫 타국 출신의 드랙퀸 참가자. 필리핀 출신.] || || [[파일:DRTH_Meannie Minaj.jpg|width=100%]]|| 미니 미나즈 (Meannie Minaj)[* 드래그 레이스 태국의 첫 트랜스젠더 드랙퀸 참가자.][* 이름 미나즈에서 아시다시피 래퍼 [[니키 미나즈]]에서 따왔다.] || || [[파일:DRTH_Morrigan.jpg|width=100%]]|| 모리건 (Morrigan) || || [[파일:DRTH_Natalia Piarcam.jpg|width=100%]]|| 나탈리아 필라캠 (Natalia Pilacam) || || [[파일:DRTH_Petchra.jpg|width=100%]]|| 페츠라 (Petchra) || }}}|| ==== 시즌 2 ==== [[파일:Drag Race Thiland S2.png]] ||
<:><-2> {{{+2 {{{#141212 '''태국 시즌 2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사진''' || '''이름''' || || [[파일:DRT S2_Angele Anang.webp|width=100%]] || 앤젤리 아낭 (Angele Anang)[* 트랜스젠더 드랙퀸 참가자.] || || [[파일:DRT S2_Bandit.webp|width=100%]] || 밴딧 (Bandit) || || [[파일:DRT S2_Genie.webp|width=100%]] || 지니 (Genie)[* 인도계 미국인.] || || [[파일:DRT S2_Kana Warrior.webp|width=100%]] || 카나 워리어 (Kana Warrior) || || [[파일:DRT S2_Kandy Zyanide.webp|width=100%]] || 캔디 지야나이드(Kandy Zyanide)[* 트랜스젠더 드랙퀸 참가자. 이로써 시즌 2는 2명의 트랜스젠더 드랙퀸이 참가한다.] || || [[파일:DRT S2_Katy Killer.webp|width=100%]] || 케이티 킬러 (Katy Killer) || || [[파일:DRT S2_M Stranger Fox.webp|width=100%]] || M 스트레인저 폭스 (M Stranger Fox) || || [[파일:DRT S2_Maya B'Haro.webp|width=100%]] || 마야 B'하로 (Maya B'Haro) || || [[파일:DRT S2_Miss Gimhuay.webp|width=100%]] || 미스 김후아이 (Miss Gimhuay)[* 중국 출신의 드랙퀸 참가자로 Gim은 金, Huay는 花를 뜻한다고 자신을 소개했다. 또 다른 중국인 드랙퀸으로는 루드레 시즌 10의 참가자 유화 하마사키가 있다.][*스포일러4 드래그 레이스 태국 역사상 최초로 규정 위반으로 '''실격'''된 참가자다. 런웨이에서 워크룸에 없는 소품을 반입해서 사용하려다가 대회에서 실격됬다. 결국 그 화는 더블 탈락이 나왔고 이후 두 명의 탈락자가 부활하여 진행하게 되었다. ] || || [[파일:DRT S2_Mocha Diva.webp|width=100%]] || 모카 디바 (Mocha Diva)[* 필리핀 출신의 드랙퀸 참가자로 --그래서 영어를 사용할 수 있는 밴딧이 등장했을 때 대화가 잘 통하는 상대를 만났다며 가장 크게 기뻐했다.-- 루드레 시즌 10 참가자 카메론 마이클스와 같은 Muscle Queen이다.] || || [[파일:DRT S2_Silver Sonic.webp|width=100%]] || 실버 소닉 (Silver Sonic) || || [[파일:DRT S2_Srimala.webp|width=100%]] || 스리말라 (Srimala) || || [[파일:DRT S2_Tormai.webp|width=100%]] || 토르마이 (Tormai)[* Traditional Thai Queen. 태국의 전통 문화를 엿볼 수 있는 드랙 스타일을 선보인다.] || || [[파일:DRT S2_Vanda Miss Joaquim.webp|width=100%]] || 밴더 미스 조아킴 (Vanda Miss Joaquim)[* 드래그 레이스 태국의 첫 무슬림 출신의 드랙퀸 참가자로 Miss Joaquim 드랙 가문의 수장(Mother)이다. 싱가포르 출신.] || }}}|| ==== 시즌 3 ==== === Drag Race Holland === 네덜란드에서 진행하는 드래그 레이스. 호스트는 네덜란드의 드랙퀸 출신 방송인인 Fred van Leer[* 사실 프레드가 드랙퀸 활동을 한 것은 90년대에서 00년대 중반까지고, 본격적으로 방송활동을 시작했을 때에는 이미 드랙퀸으로서는 은퇴한 상태였다.]가 맡았다. 대표작은 코치로 출연했던 네덜란드판 '도전! 슈퍼 모델'과, [[베네룩스]]판 'Say Yes To The Dress'. 네덜란드뿐만 아니라 벨기에 출신의 드랙퀸들까지 캐스팅했다. 다만 벨기에 출신의 드랙퀸들은 '''유효한 [[네덜란드 여권]]'''[* 쉽게말해 네덜란드 시민권을 갖고있어야 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한해 참가 가능. 최종 우승자는 '네덜란드의 차기 드랙 슈퍼스타(Holland's Next Drag Superstar)'라는 타이틀을 얻는다. 우정상(Miss Congeniality)은 참가자들의 투표로 뽑는데 미국 시즌과 달리 따로 상금은 주지 않는다. 네덜란드 본토에서는 Videoland라는 [[OTT]] 서비스로 독점 송출되고 있으며, 그 외 국가에서는 WOW Presents Plus에서 시청할 수 있다. ==== 시즌 1 ==== [[파일:DRH S1 Cast.webp]] ||
<:><-2> {{{+2 {{{#141212 '''네덜란드 시즌 1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사진''' || '''이름''' || || [[파일:DRH S1 Miss Abby OMG.jpg|width=100%]] || 미스 애비 오마이갓 (Miss Abby OMG) || || [[파일:DRH S1_Chelseaboy.jpg|width=100%]] || 첼시보이 (ChelseaBoy) || || [[파일:DRH S1_Janey Jacke.jpg|width=100%]] || 재니 재케 (Janey Jacké) || || [[파일:DRH S1_Megan Schoonbrood .jpg|width=100%]] || 메간 스쿤부르드 (Megan Schoonbrood) || || [[파일:DRH S1_Madame Madness .jpg|width=100%]] || 마담 매드니스 (Madame Madness) || || [[파일:DRH S1_Roem.jpg|width=100%]] || 롬 (Roem) || || [[파일:DRH S1_Sederginne.jpg|width=100%]] || 세더진 (Sederginne)[* 벨기에 출신의 드랙퀸.] || || [[파일:DRH S1_Ma'MaQueen.jpg|width=100%]] || 마'마 퀸 (Ma'Ma Queen) || || [[파일:DRH S1_Patty Pam-Pam.jpg|width=100%]] || 패디 팸-팸 (Patty Pam-Pam) || || [[파일:DRH S1_Envy Peru.jpg|width=100%]] || 엔비 페루 (Envy Peru)[* 페루에서 출생한 드랙퀸이지만 암스테르담, 네덜란드에서 활동하는 드랙퀸이다.] || }}}|| 상금: 없음 부상: * Dutch Cosmopolitan 잡지에서 특별 화보 촬영 * 네덜란드 디자이너 Claes Iversen의 €18,000 상당의 커스텀 드래그레이스 * 피어스 드래그 쥬얼에서 왕관, 왕홀, 목걸이 제공 ==== 시즌 2 ==== [[파일:Drag Race Holland S2.webp]] ||
<:><-2> {{{+2 {{{#000000 '''네덜란드 시즌 2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사진''' || '''이름''' || || [[파일:DRH S2_Reggy B.jpg|width=100%]] || 레지 B (Reggy B)[* 미스 애비 오마이갓의 드랙 딸.] || || [[파일:DRH S2_Ivy-Elyse.jpg|width=100%]] || 아이비-엘리제 (Ivy-Elyse) || || [[파일:DRH S2_Juicy Kouture.jpg|width=100%]] || 쥬시 쿠튀르 (Juicy Kouture)[* 쥬시 쿠튀르의 드랙 엄마가 미스 애비 오마이갓과 메간 스쿤부르드다.] || || [[파일:DRH S2_My Little Puny.jpg|width=100%]] || 마이 리틀 퓨니 (My Little Puny)[* 시즌 2의 케타 미나즈의 드랙 시스터.] || || [[파일:DRH S2_Vivaldi.jpg|width=100%]] || 비발디 (Vivaldi)[* VIVALDIFIED라는 가발 회사를 운영중이다. 시즌 1에서 프레드 반 리어의 가발 담당자였다. 시즌 1의 마담 매드니스의 드랙 딸이다.] || || [[파일:DRH S2_Tabitha.jpg|width=100%]] || 타비타 (Tabitha)[* 시즌 1의 엔비 페루의 드랙 엄마.] || || [[파일:DRH S2_Love Masisi.jpg|width=100%]] || 러브 마시시 (Love Masisi)[* 미국 시즌 6의 바이베이셔스의 드랙 딸이다.] || || [[파일:DRH S2_The Countess.jpg|width=100%]] || 카운티스 (The Countess)[* 시즌 1에서 프레드 반 리어의 메이크업 아티스트였다.] || || [[파일:DRH S2_Vanessa Van Cartier.jpg|width=100%]] || 바네사 반 까르띠에 (Vanessa Van Cartier)[* 벨기에 출신의 드랙퀸이다. 홀란트 판의 첫 트랜스 여성 드랙퀸. 드랙퀸 미인대회 중 제일 규모가 큰 Miss Continental 2019의 우승자고 시즌 1의 엔피 페루의 또 다른 드랙 엄마다.] || || [[파일:DRH S2_Keta Minaj.jpg|width=100%]] || 케타 미나즈 (Keta Minaj) || }}}|| 상금: €15,000 부상: *피어스 드래그 쥬얼에서 왕관과 왕홀 제공 *네덜라드판 [[COSMOPOLITAN(잡지)|코스모폴리탄]]에서 특별 화보 촬영 *2022년 네덜란드 밀크쉐이크 페스티벌(Milkshake Festival)의 무대 출연. 2021년 8월 6일부터 첫 방영. '''드래그 레이스 프랜차이즈 역사상 최악의 평점을 받은 시즌.''' === Drag Race España === 스페인에서 진행하는 드래그 레이스. Atresmedia Televisión이 Buendía Estudios와 공동으로 제작했으며 World of Wonder가 총괄 제작했다. 호스트는 스페인, [[마드리드]] 출신의 드랙퀸 슈프림 드 럭스 (Supremme de Luxe)이며 프로그램의 우승자는 "España's Next Drag Superstar"라는 칭호와 €30,000의 상금을 받는다. 국적 특성상 스페인어로 진행되며 정규 시즌의 진행 과정은 미국 시즌의 루폴의 드래그 레이스랑 같다. Drag Race España는 올스타 시즌을 보유한 최초의 국제 프랜차이즈인데. Drag Race España 올스타 시즌은 Drag Race España 시즌 3이 완결한 후에 방영될 예정이다. 스페인 본토에서는 Atresplayer Premium라는 OTT 서비스로 독점 송출되고 있으며, 그 외 국가에서는 WOW Presents Plus에서 시청할 수 있다. ==== 시즌 1 ==== [[파일:DRE S1 Cast.jpg]] ||
<:><-2> {{{+2 {{{#141212 '''스페인 시즌 1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사진''' || '''이름''' || || [[파일:DRE S1_Arantxa Castilla La Mancha .jpg|width=100%]] || 아란차 카스티야 라 만차 (Arantxa Castilla La Mancha) || || [[파일:DRE S1_Sagittaria.jpg|width=100%]] || 사히타리아 (Sagittaria) || || [[파일:DRE S1_Hugaceo Crujiente.jpg|width=100%]] || 우가페오 크루히엔테 (Hugáceo Crujiente) || || [[파일:DRE S1_Carmen Farala.jpg|width=100%]] || 카르멘 파랄라 (Carmen Farala) || || [[파일:DRE S1_Pupi Poisson.jpg|width=100%]] || 푸피 포이손 (Pupi Poisson) || || [[파일:DRE S1_Killer Queen.jpg|width=100%]] || 킬러 퀸 (Killer Queen) || || [[파일:DRE S1_Dovima Nurmi.jpg|width=100%]] || 도비마 누르미 (Dovima Nurmi) || || [[파일:DRE S1_Inti.jpg|width=100%]] || 인티 (Inti)[* 볼리비아 원주민이다.] || || [[파일:DRE S1_Drag Vulcano.jpg|width=100%]] || 드래그 불카노 (Drag Vulcano)[*LasDragCanarias 드래그 불가노, 드래그 세스라스, 드래그 추치의 드랙 스타일은 "Las Drag Canarias"라고 불린다. [[카나리아 제도]]에서 매년마다 열리는 축제 Las Palmas de Gran Canaria에서 Gala Drag Queen de Las Palmas라는 드랙 미인 대회에서 Las Drag Canaria의 드랙 스타일을 볼 수 있다. Las Drag Canarias의 드랙 스타일은 보통 큰 머리 장식, 보호용 사타구니 컵, 높은 플랫폼 힐을 착용하고 화려한 중성적인 외모를 선보인다.][* [[카나리아 제도]] 출신의 드랙퀸. Gala Drag Queen de Las Palmas에서 2020년 준우승자다.] || || [[파일:DRE S1_The Macarena.jpg|width=100%]] || 마카레나 (The Macarena) || }}}|| 상금: €30,000 부상: *코스메틱 브랜드 Krash Kosmetics 1년 제공 *왕관과 셉터 제공 *[[삼성]] 제공 Shangay 잡지에서 화보 촬영 ==== 시즌 2 ==== [[파일:Drag Race Espana S2 Cast.jpg]] ||
<:><-2> {{{+2 {{{#000000 '''스페인 시즌 2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DRE S2_Samantha Ballentines.png|width=100%]] || 사만다 발렌타인스 (Samantha Ballentines)[* 시즌 1의 마카레나의 드랙 엄마.] || || [[파일:DRE S2_Onyx.png|width=100%]] || 오닉스 (Onyx) || || [[파일:DRE S2_Venedita Von Däsh.png|width=100%]] || 베네디타 본 다시 (Venedita Von Däsh) || || [[파일:DRE S2_Drag Sethlas.png|width=100%]] || 드래그 세스라스 (Drag Sethlas)[*LasDragCanarias][* 카나리아 제도 출신의 드랙퀸. 드랙 불카노의 드랙 시스터. 드랙퀸으로 활동하기 전에 드랙 불카노의 댄서와 안무가로 일했다. Gala Drag Queen de Las Palmas의 2017년, 2022년 우승자.] || || [[파일:DRE S2_Estrella Xtravaganza.png|width=100%]] || 에스트레야 엑스트라바간자 (Estrella Xtravaganza) || || [[파일:DRE S2_Ariel Rec.png|width=100%]] || 애리엘 렉 (Ariel Rec)[* 시즌 1의 킬러 퀸의 드랙 시스터.] || || [[파일:DRE S2_Marina.png|width=100%]] || 마리나 (Marina) || || [[파일:DRE S2_Jota Carajota.png|width=100%]] || 호타 카라호타 (Jota Carajota)[* 2002년 생으로 모든 프랜차이즈를 통틀어서 최연소 참가자.] || || [[파일:DRE S2_Marisa Prisa.png|width=100%]] || 마리사 프리사 (Marisa Prisa) || || [[파일:DRE S2_Diamante Merybrown.png|width=100%]] || 디아만테 메리브라운 (Diamante Merybrown)[* 드래그레이스 프랜차이즈의 첫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의 참가자.] || || [[파일:DRE S2_Juriji Der Klee.png|width=100%]] || 주리지 데르 클레 (Juriji Der Klee)[* Drag Race España의 첫 트랜스 여성 참가자.] || || [[파일:DRE S2_Sharonne.png|width=100%]] || 샤론 (Sharonne) || }}}|| 상금: €30,000 부상: *코스메틱 브랜드 Krash Kosmetics 1년 제공 *Aster Lab에서 왕관과 왕홀 제공 2022년 3월 27일에 첫 방영. ==== 시즌 3 ==== [[파일:Drag Race Espana Season 3 Cast.jpg]] ||
<:><-2> {{{+2 {{{#141212 '''스페인 시즌 3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사진''' || '''이름''' || || [[파일:DRE S3_Pink Chadora.jpg|width=100%]] || 핑크 차도라 (Pink Chadora) || || [[파일:DRE S3_Hornella Góngora.jpg|width=100%]] || 호르네라 공고라 (Hornella Góngora) || || [[파일:DRE S3_Pakita.jpg|width=100%]] || 파키타 (Pakita)[* The Switch 시즌 2의 출신의 참가자.] || || [[파일:DRE S3_Bestiah.jpg|width=100%]] || 베스티아 (Bestiah) || || [[파일:DRE S3_Pitita.jpg|width=100%]] || 피티타 (Pitita) || || [[파일:DRE S3_Maria Edilia.jpg|width=100%]] || 마리아 에딜리아 (Maria Edilia) || || [[파일:DRE S3_Drag Chuchi.jpg|width=100%]] || 드래그 추치 (Drag Chuchi)[*LasDragCanarias][* 카나리아 제도 출신의 드랙퀸. Gala Drag Queen de Las Palmas의 2019년 우승자다.] || || [[파일:DRE S3_Vania Vanilla.jpg|width=100%]] || 바니아 바이니야 (Vania Vainilla) || || [[파일:DRE S3_Clover Bish.jpg|width=100%]] || 클로버 비쉬 (Clover Bish)[* 드래그 레이스 프랜차이즈의 첫 '''시스젠더 여성 양성애자 참가자'''. 시즌 3을 참가하기 전에 드랙 퍼포머로 활동한 지 고작 10개월이고 첫 시스젠더 여성 참가자인 빅토리아 스콘이 영국 시즌 3에서 캐스팅 되었을때 드랙을 시작했다고 한다.] || || [[파일:DRE S3_Kelly Roller.jpg|width=100%]] || 켈리 롤러(Kelly Roller)[* 드랙 이름처럼 런웨이와 메인 챌린지 퍼포먼스에서 [[롤러스케이트]]를 신고 나온다.] || || [[파일:DRE S3_Chanel Anorex.jpg|width=100%]] || 차넬 아노렉스(Chanel Anorex) || || [[파일:DRE S3_Visa.jpg|width=100%]] || 비사 (Visa)[* 멕시코 출신의 드랙퀸. 드랙 이름은 [[비자]]에서 따온 이름이다. ] || || [[파일:DRE S3_The Macarena.png|width=100%]] || 마카레나 (The Macarena)[* 시즌 1의 마카레나가 맞다.] || }}}|| 우승자 상금: €30,000 Miss Congeniality 상금: €3,000 Miss Lost Look 상금: €2,000 우승자 부상: *코스메틱 브랜드 Krash Kosmetics 1년 제공 *Aster Lab에서 왕관과 왕홀 제공 *EuroPride 2023을 기념하기 위한 [[몰타]] 여행 2023년 4월 16일에 첫 방영. ==== 올스타 시즌 1 ==== === Drag Race Italia === ==== 시즌 1 ==== ==== 시즌 2 ==== ==== 시즌 3 ==== === Drag Race Philippines === 필리핀에서 진행하는 드래그 레이스. 매인 호스트는 필리핀의 드랙퀸이자 유명 연예인인 Paolo Ballesteros가[* [[인스타그램]] 팔로워가 무려 '''240만명이 넘는다'''. 사실 [[커밍아웃]] 자체는 2019년으로 상당히 최근인데, 전 여자친구와 딸까지 둔 상태에서 글래스 클로젯으로 십수년을 보냈다. 게이라는 게 공공연히 알려져 있음에도 커밍아웃을 미룬 것도 딸이 어느정도 나이가 찰 때 까지 기다린 것이라는 모양.] 맡았다. 시즌 1에서 고정 심사위원으로 시즌 4에 출연했던 필리핀계 드랙퀸 지글리 칼리엔테, 필리핀의 유명 아나운서 Karen Davila 흉내로 유명한 코메디언 겸 배우 KaladKaren이 맡는다. 첫 시즌부터 미국 시즌의 루폴의 드래그 레이스처럼 미니 챌린지와 메인 챌린지 우승 상금이 있고, Miss Congeniality 상금도 따로 있다. 모든 상금은 [[필리핀 페소]]로 준다. Drag Race Philippines를 우승한 드랙퀸은 필리핀의 차기 드랙 슈퍼스타(Philippines' Next Drag Superstar)라는 타이틀을 얻는다. 여담으로 굉장히 날것(...) 느낌이 나는 시즌으로 유명하다. 프로그램 자체도 유럽/영미권 시즌에 비해 다소 저예산 느낌이 강한데다 참가자들의 스타일도 방송용 필터링이라곤 없는지라... 메인 호스트인 파오로 역시 호불호 - 표현이 뚜렷하고 직설적이다. ==== 시즌 1 ==== [[파일:Drag-Race-Philippines-cast-photo.jpg]] ||
<:><-2> {{{+2 {{{#ffffff '''필리핀 시즌 1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사진''' || '''이름''' || || [[파일:PH S1_Corazon.jpg|width=100%]]|| 코라존 (Corazon) || || [[파일:PH S1_Eva Le Queen.jpg|width=100%]]|| 에바 르 퀸 (Eva Le Queen) || || [[파일:PH S1_Turing.jpg|width=100%]]|| 투링 (Turing) || || [[파일:PH S1_Marina Summers.jpg|width=100%]]|| 마리나 서머즈 (Marina Summers) || || [[파일:PH S1_Lady Morgana.jpg|width=100%]]|| 레이디 모르가나 (Lady Morgana) || || [[파일:PH S1_Precious Paula Nicole.jpg|width=100%]]|| 프레셔스 파울라 니콜 (Precious Paula Nicole) || || [[파일:PH S1_Minty Fresh.jpg|width=100%]]|| 민티 프레쉬 (Minty Fresh) || || [[파일:PH S1_Gigi Era.jpg|width=100%]]|| 지지 에라 (Gigi Era) || || [[파일:PH S1_Viñas DeLuxe.jpg|width=100%]]|| 비냐스 디럭스 (Viñas Deluxe) || || [[파일:PH S1_Prince.jpg|width=100%]]|| 프린스 (Prince) || || [[파일:PH S1_Brigiding .jpg|width=100%]]|| 브리기딩 (Brigiding) || || [[파일:PH S1_Xilhouete.jpg|width=100%]]|| 실루엣 (Xilhouete) || }}}|| 우승자 상금: ₱1,000,000 메인 챌린지 우승자 상금: ₱80,000 Miss Congeniality 상금: ₱40,000 미니 챌린지 우승자 상금: ₱20,000 우승자 부상: *PatrickStarrr의 코스메틱 브랜드 ONE/SIZE 1년 제공 *왕관과 왕홀 제공 ==== 시즌 2 ==== [[파일:DRPH2Cast.webp|#]] ||
<:><-2> {{{+2 {{{#141212 '''필리핀 시즌 2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사진''' || '''이름''' || || [[파일:DRPH S2_Arizona Brandy.jpg|width=100%]] || 애리조나 브랜디 (Arizona Brandy) || || [[파일:DRPH S2_Astrid Mercury.jpg|width=100%]] || 아스티르드 머큐리 (Astrid Mercury) || || [[파일:DRPH S2_Bernie.jpg|width=100%]] || 버니 (Bernie)[* 드래그레이스 필리핀의 첫 트랜스 여성 참가자. 왼쪽 눈이 실명이다.] || || [[파일:DRPH S2_Captivating KatKat.jpg|width=100%]] || 캡티베이팅 캣캣 (Captivating Katkat)[* 버니와 함께 드래그레이스의 첫 트랜스 여성 참가자.] || || [[파일:DRPH S2_DeeDee Marié Holiday.jpg|width=100%]] || 디디 마리 홀리데이 (DeeDee Marié Holliday) || || [[파일:DRPH S2_Hana Beshie.jpg|width=100%]] || 하나 베시 (Hana Beshie) || || [[파일:DRPH S2_M1ss Jade So.jpg|width=100%]] || ㅁ1스 제이드 소 (M1ss Jade So)[* 버니, 캡티베이팅 캣캣과 함께 드래그레이스 필리핀의 첫 트랜스 여성 참가자. 즉 이번 시즌에 3명의 트랜스 여성 참가자가 나온다.] || || [[파일:DRPH S2_Matilduh.jpg|width=100%]] || 마틸다 (Matilduh) || || [[파일:DRPH S2_Nicole Pardaux.jpg|width=100%]] || 니콜 패러독스 (Nicole Paradaux) || || [[파일:DRPH S2_ØV Cünt.jpg|width=100%]] || ØV 컨트 (ØV Cünt) || || [[파일:DRPH S2_Tiny Deluxe .jpg|width=100%]] || 타이니 디럭스 (Tiny Deluxe)[* 시즌 1의 비냐스 디럭스의 드랙 딸] || || [[파일:DRPH S2_Veruschka Levels.jpg|width=100%]] || 베루슈카 레벨즈 (Veruschka Levels)[* 홍콩에서 활동하는 필리핀인 드랙퀸] || }}}|| 우승자 상금: ₱1,000,000 메인 챌린지 우승자 상금: ₱80,000 Miss Congeniality 상금: ₱40,000 미니 챌린지 우승자 상금: ₱20,000 우승자 부상: *코스메틱 브랜드 아나스타샤 베벌리 힐스(Anastasia Beverly Hills) 1년 제공 *Amped Accessories에서 왕관과 왕홀 제공 ==== 시즌 3 ==== == Drag Race Sverige == == Drag Race Brasil == Queen of the Universe 시즌 1 참가자인 그레그 퀸(Grag Queen)이 진행을 맡는다. === 시즌 1 === [[파일:Drag Race Brasil Cast.jpg]] ||
<:><-2> {{{+2 {{{#000000 '''브라질 시즌 1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Drag Race Brasil S1_Aquarela.jpg|width=100%]] || 아쿠아렐라 (Aquareala) || || [[파일:Drag Race Brasil S1_Betina Polaroid.jpg|width=100%]] || 베티나 폴라로이드 (Betina Polaroid) || || [[파일:Drag Race Brasil S1_Dallas De Vil.jpg|width=100%]] || 댈러스 데 빌 (Dallas De Vil) || || [[파일:Drag Race Brasil S1_Diva More.jpg|width=100%]] || 디바 모어 (Diva More) || || [[파일:Drag Race Brasil S1_Hellena Malditta.jpg|width=100%]] || 헬레나 말디타 (Hellena Malditta) || || [[파일:Drag Race Brasil S1_Melusine Sparkle .jpg|width=100%]] || 멜루진 스파클 (Melusine Sparkle) || || [[파일:Drag Race Brasil S1_Miranda Lebrão.jpg|width=100%]] || 미란다 르브라오 (Miranda Lebrão) || || [[파일:Drag Race Brasil S1_Naza.jpg|width=100%]] || 나자 (Naza) || || [[파일:Drag Race Brasil S1_Organzza.jpg|width=100%]] || 오르간자 (Organzza) || || [[파일:Drag Race Brasil S1_Rubi Ocean.jpg|width=100%]] || 루비 오션 (Rubi Ocean) || || [[파일:Drag Race Brasil S1_Shannon Skarllet.jpg|width=100%]] || 섀넌 스칼렛 (Shannon Skarllet) || || [[파일:Drag Race Brasil S1_Tristan Soledade.jpg|width=100%]] || 트리스탄 솔레다데 (Tristan Soledáde) || }}}|| == Drag Race Germany == === 시즌 1 === [[파일:Drag Race Germany S1 Cast.jpg]] ||
<:><-2> {{{+2 {{{#141212 '''독일 시즌 1 참가자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사진''' || '''이름''' || || [[파일:DRG S1_Yvonne Nightstand.jpg|width=100%]] || 이본 나이트스탠드 (Yvonne Nightstand) || || [[파일:DRG S1_Victoria Shakespears.jpg|width=100%]] || 빅토리아 셰이크스피어스 (Victoria Shakespears) || || [[파일:DRG S1_LéLé Cocoon.jpg|width=100%]] || 레레 코쿤 (LéLé Cocoon) || || [[파일:DRG S1_The Only Naomy.jpg|width=100%]] || 온리 나오미 (The Only Naomy) || || [[파일:DRG S1_Barbie Q.jpg|width=100%]] || 바비 Q (Barbie Q) || || [[파일:DRG S1_Nikita Vegaz.jpg|width=100%]] || 니키타 베가스 (Nikita Vegaz) || || [[파일:DRG S1_Tessa Testicle.jpg|width=100%]] || 테사 테스티클 (Tessa Testicle) || || [[파일:DRG S1_Metamorkid.jpg|width=100%]] || 메타모키드 (Metamorkid) || || [[파일:DRG S1_Loreley Rivers.jpg|width=100%]] || 로렐라이 리버스 (Loreley Rivers) || || [[파일:DRG S1_Pandora Nox.jpg|width=100%]] || 판도라 녹스 (Pandora Nox) || || [[파일:DRG S1_Kelly Heelton.jpg|width=100%]] || 켈리 힐턴 (Kelly Heelton) || }}}|| == 제작 중 == [[분류:에피소드 가이드]]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루폴의 드래그 레이스, version=8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