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기원전 2세기 집정관]][[분류:로마 공화국 집정관]][[분류:로마 출신 인물]] [include(틀:역대 로마 집정관/기원전 2세기)] ||||<#800080> {{{#ffffff {{{+3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오레스테스''' }}}[br]{{{-1 [[라틴어]]: Lucius Aurelius Orestes }}} }}} || ||<#800080> {{{#ffffff '''생몰년도''' }}} ||미상 ~ 미상 || ||<#800080> {{{#ffffff '''출생지''' }}} ||이탈리아 로마 || ||<#800080> {{{#ffffff '''사망지''' }}} ||이탈리아 로마 || ||<#800080> {{{#ffffff '''지위''' }}} ||[[노빌레스]] || ||<#800080> {{{#ffffff '''국가''' }}} ||[[로마 공화정]] || ||<#800080> {{{#ffffff '''가족''' }}}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오레스테스(조부)[br]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오레스테스(아버지)[br][[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오레스테스(기원전 126년 집정관)|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오레스테스]](아들) || ||<#800080> {{{#ffffff '''직업''' }}} ||[[로마 공화정]] [[집정관]] || ||||<#800080> {{{#ffffff '''로마 공화정 집정관''' }}} || ||<#800080> {{{#ffffff '''임기''' }}} || 기원전 157년 || ||<#800080> {{{#ffffff '''전임''' }}} ||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기원전 158년 집정관)|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br][[가이우스 포필리우스 라이나스]] || ||<#800080> {{{#ffffff '''동기''' }}} || [[섹스투스 율리우스 카이사르(기원전 157년 집정관)|섹스투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 ||<#800080> {{{#ffffff '''후임'''}}} ||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루푸스]][br][[가이우스 마르키우스 피굴루스(기원전 162년 집정관)|가이우스 마르키우스 피굴루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마 공화국]] [[집정관]]. == 생애 == 고대 로마의 [[노빌레스]] 가문인 아우렐리우스 씨족의 일원이다. [[파스티 카피톨리니]]에 따르면, 조부와 아버지 모두 루키우스라는 프라이노멘을 사용했다고 한다. 기원전 163년 [[그나이우스 옥타비우스(기원전 165년 집정관)|그나이우스 옥타비우스]], 스푸리우스 루크레티우스와 함께 동방으로 파견되어 [[마케도니아 왕국]]의 정세를 살펴보고 [[갈라티아]]와 [[카파도키아 왕국]]간의 분쟁을 중재했다. 이후 시리아로 가서 [[셀레우코스 제국]]이 기원전 188년에 체결된 아파메이아 평화 협약을 준수하는 지 살펴보고, 협약에서 정한 제한 조건에 따라 셀레우코스 함대를 불태우고 [[전투 코끼리]]를 처치했다. 이에 제국 시민들은 강한 적의를 품었다. 기원전 162년, 그나이우스 옥타비우스는 [[라오디케아]] 시 체육관에서 열린 행사를 참관하던 중 렙티누스라는 인물에게 살해당했고, 그와 루크레티우스는 급히 로마로 돌아갔다. 현대 학자들은 고위 행정관 간의 직임 간격을 설정한 빌리우스 법에 의거해 기원전 160년 이전에 [[법무관]]을 역임했을 거라 추정한다. 기원전 157년 [[섹스투스 율리우스 카이사르(기원전 157년 집정관)|섹스투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함께 집정관에 선임되었다. 그러나 그가 집정관으로서 어떤 행적을 보였는지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알 수 없다. 기원전 148년 [[아카이아 동맹]]이 로마가 마케도니아 전역을 속주로 삼은 것에 위협을 느끼고 로마를 적대했다. 이에 원로원은 아카이아 동맹에 경고하고 아카이아와 [[스파르타]]간의 갈등을 중재하기 위해 그와 다른 두 명을 사절로 보냈다. 그러나 그는 중재에 실패했고, 로마에 돌아온 뒤 아카이아인들이 자신들을 거의 죽일 뻔했다고 보고했다. 기원전 146년, 그는 집정관 [[루키우스 뭄미우스 아카이쿠스]]와 함께 [[아카이아 전쟁]]을 치르기 위해 출정한 로마군에 [[레가투스(로마)|레가투스]]로서 동행했다. 그는 이스트미아 지협에 주둔하며 아군의 보급을 담당했다. 이후의 행적은 전해지지 않는다. 아들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오레스테스(기원전 126년 집정관)|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오레스테스]]는 기원전 126년 집정관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