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한국e스포츠협회]]에서 주관하는 [[스타크래프트]] 아마추어 및 준프로게이머들의 리그. 준프로 선발전과 준프로 [[드래프트]] 평가전의 성격을 지닌 대회다. 스타크래프트 루키리그는 2011년 6월부터 매달 한 번씩 열려서 총 10회가 열렸다. 2012년 11월부터는 [[스타크래프트 2]]로 루키리그가 진행되었다. 이전까지 별개로 존재하던 준프로 선발전과 준프로 드래프트 평가전을 묶어서 공식적인 리그로 진행하면서 루키리그(아마&준프로) - [[드래프트/스타크래프트 시리즈|드래프트]](준프로) - [[드림리그#s-2]]([[2군]]) -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프로리그]](1군)로 이어지는 체계적인 선수 양성 체계를 구성했다는 의의가 있다. 2013년 이후 한동안 열리지 않았다가, 2015년부터 다시 열렸다. 하지만 [[스타크래프트 시리즈]]가 침체되면서 소리소문 없이 폐지된 듯하다. == 진행 방식 == [[서울특별시|서울]]과 [[부산광역시|부산]]에서 이루어지며, 각각 256명의 선수를 선착순으로 받는다. 자격 취소된 지 3년 이내 프로, 1년 이내 준프로, 기타 공인대회 참가 제재자는 참가가 불가능하며, 만 12세 이상이어야 한다. 준프로 선발전과 진출전으로 분리하여 시행되며, 준프로 선발전 우승자는 준프로 자격과 더불어 루키리그 진출전 참가 자격, [[키보드]]와 [[마우스(입력장치)|마우스]]를 부상으로 받는다. 참가비는 준프로 선발전 한정 1만원. 진출전은 준프로 선수들이 참가하게 되며, 승리 경기 수에 따라 랭킹 포인트를 받고, 랭킹 상위권자는 상금을 받는다. 이 포인트는 이후 프로게이머 드래프트 등지에서 우대를 받을 수 있는 기반이 된다고 한다. 스타크래프트 루키리그는 매달 진행되고 있었으나 2011년 10월은 준프로 선발전이 생략되었고, 11월부터 다시 정상 진행되었다. == 기타 == 당초 [[MSL]]과 연계하여 진출전 랭킹 24위까지는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참가 자격을 줄 예정이었으나... MSL과 [[MBC GAME]]이 [[MBC M|폐지되어 버렸다]]. 예정대로 이루어졌다면 [[온게임넷]]의 마이 스타리그[* [[온게임넷 스타리그|스타리그]]와 연동되었으며, [[진에어 스타리그 2011]] 예선 때 딱 한 번만 실시되었다. 이쪽은 12세 이상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었던 것이 차이점.]와 더불어 아마추어 발굴의 장이 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점에서 아쉬운 부분.[* 다만 이때는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가 점점 쇠퇴하던 시기였음을 고려해야 한다. 이렇다보니 스폰서 구하기가 어려워져서 출전 자격을 아마추어나 준프로 등에게 넓힌 것.] 그래도 [[2011 MSL 시즌 2]] 서바이버 예선에서 적용되기는 하였다.[* 결과는 준프로 모두 서바이버 토너먼트 진출에 실패하였다. 그래도 준프로가 프로를 이긴 경기가 몇몇 있기는 했다.] 또한 도입 이후 열린 [[드래프트/스타크래프트 시리즈#s-2.14|2011년 하반기 드래프트]]부터 마지막 드래프트인 [[드래프트/스타크래프트 시리즈#s-2.16|2013년 상반기 드래프트]]는 이 대회 입상자에 한해서만 드래프트 참가 자격이 주어졌다. 이 때문인지 드래프트 참가자 수는 예년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다. == 외부 링크 == * [[http://e-sports.or.kr/board.php?_module=data&_page=list&b_no=6&b_category=1005&column=b_subject&keyword=|한국e스포츠협회의 루키리그 관련 소식]] [[분류:스타크래프트/대회]][[분류:한국e스포츠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