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UKEMINO_LVE_2023.png|width=100%]]}}} || ||<-2> '''{{{+1 Lukemino}}}''' || ||<-2> '''{{{#000 루크 피쉬 (Luke Fish)}}}''' || || '''출생''' ||[[2003년]] [[2월 12일]] ([age(2003-02-12)]세)||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ID''' ||'''Lukemino''' || || '''포지션'''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width=25]] SUPPORT|| || '''주 영웅''' ||[[바티스트(오버워치)|[[파일:바티스트 초상화.png|width=30]]]] [[젠야타|[[파일:젠야타 초상화.png|width=30]]]] [[아나(오버워치)|[[파일:아나 초상화.png|width=30]]]] || || '''소속''' ||Scion Esports (2020.04.25 ~ 2020.05.28) [[파일:Odyssey orig.png|width=20]] Odyssey (2020.07.05 ~ 2021.01.11) [[파일:Odyssey 2021.png|width=20]] Odyssey (2021.03.17 ~ 2021.07.05) [[파일:Darkmode_black.png|width=23]] DarkMode NA (2021.07.09 ~ 2021.07.23) [[파일:Redbird_Esports_logo_allmode.png|height=20]] Redbird Esports (2021.07.23 ~ 2021.12.17) [[파일:Maryville Esports logo.png|height=20]] Maryville Esports (2022.01.04 ~ 2022.08.15) [[파일:Solaris logo.png|width=20]] Solaris ^^임대^^ (2022.04.22 ~ 2022.05.16) [[파일:Odyssey 2022.png|width=20]] Odyssey ^^임대^^ (2022.07.10 ~ 2022.08.15) [[베이거스 이터널|[[파일:베이거스 이터널 로고 1.svg|width=25]] 베이거스 이터널]][br](2022.08.15 ~ 2023.06.26) [[샌프란시스코 쇼크|[[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3.svg|height=25]] 샌프란시스코 쇼크]][br](2023.07.13 ~ 2023.10.16)|| ||<-2>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LukeminoO, 크기=20)] [[https://twitch.tv/lukemino_|[[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현 [[샌프란시스코 쇼크]] 소속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베이거스 이터널]]에서는 주로 아나, 바티스트, 모이라 등 서브 힐러를 플레이했으나, [[샌프란시스코 쇼크]]로 입단한 후에는 [[Vindaim|빈다임]]의 대체자로서 메인힐러 캐릭터인 루시우 브리기테를 플레이하게 되었다. 쇼크의 레전드인 [[Viol2t]]처럼 전형적인 플렉스 힐러로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 선수 경력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2023 오버워치 리그]] ==== 쇼크에서의 공식 데뷔는 [[LA 글래디에이터즈]]와의 리그 경기에서 이루어졌다. 서브힐러 선수였으나 쇼크에 서브힐러가 본인 포함 3명이나 있었기 때문에 메인힐러로 출전했으며 같이 영입된 [[Renko|렌코]]와 함께 선발 출전했다. 결론적으로 두 선수의 영입은 성공적이었으며 특히 루크미노의 영입이 값졌다고 볼 수 있다. 윈솜트가 뛰기만 하면 살아남지 못했던 핀과 빈다임 듀오와는 다르게 렌코와 루크미노는 상대방의 이엠피 턴에 집결이든 나노 브리든 버틸 수 있는 상황에서 어떻게든 견뎌 냈고, 루크미노가 브리기테를 플레이 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쇼크에게는 굉장히 큰 도움이 되었다. 더욱이 상대였던 [[Lastro|라스트로]]는 쇼크가 다이브 뛸때마다 거의 비명횡사를 하였기 때문에 비교되는 점도 존재했다. 다만 이는 렌코의 수면총과 안정적인 힐 기여도가 어느 정도 도움을 준 것으로 보이며 실제로 렌코가 다음 경기였던 [[런던 스핏파이어]] 전에서 상대 라인 다이브 조합에 부진하자 루크미노 역시 같이 부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현재 [[Proper|프로퍼]] 혼자 팀을 잡아 끄는 수준으로 팀 상황이 좋지 않아 힐러진 특히 혼자 메인 힐러가 가능한 루크미노가 계속 좋은 모습을 보여줘야 쇼크가 반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옆 동네 [[뉴욕 엑셀시어]]는 타팀 메인힐러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부진했던 [[조셉 캠브리어니|렙]]과 [[헤일리 해먼드|할로]]를 방출하고 이 둘보다 조금 나은 평가를 받고 있던 [[Ojee|오지]]를 데려왔는데, 경기력이 확실히 살아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비록 [[휴스턴 아웃로즈]]에게 0:3, [[플로리다 메이헴]]에게 1:3으로 석패했지만 이 두 팀은 현재 서부 3위권 내에서 압도적으로 노는 팀들이며 경기력이 매우 향상되었다는 점에서 팀에 안정적인 메인 힐러가 있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한 예시가 되었다.] [[분류:2003년 출생]][[분류:프로게이머/오버워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