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포르투갈의 가톨릭 선교사]][[분류:예수회 수도자]][[분류:1532년 출생]][[분류:1597년 사망]][[분류:센고쿠 시대/인물]][[분류:리스본 출신 인물]] 포르투갈어: Luís Fróis 영어: Luis Frois 일본어: ルイス・フロイス 한국어: 루이스 프로이스 [목차] == 개요 == [[16세기]]에 활동한 [[포르투갈 왕국|포르투갈]]의 [[예수회]] 소속 [[신부(종교)|사제]]이자 [[선교사]]. [[1532년]] ~ [[1597년]]. 주로 아시아 특히 [[일본]] 지역에서 선교 활동을 하였는데, 저서 『일본사』엔 당시 [[센고쿠 시대]]였던 일본의 기록이 다수 기록되어 있다. 특히 후반부에는 [[임진왜란]] 관련 기록도 남아있어 임진왜란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들어봤을 인물. == 상세 == [[포르투갈 왕국]] [[리스본|리스보아]] 출신이며 1550년대 후반부터 [[가톨릭]] [[선교]]활동을 시작했다. 1563년 일본에 도착해 선교활동을 시작했다. [[오다 노부나가]]와는 서로 호의적인 관계였다. 노부나가는 무신론을 선교사 앞에서 말할 정도로 확고한 무신론자였지만 서양의 문물에 관심이 많아 선교사들과 많이 교류했다. 또 노부나가는 종교가 정치적으로 연루되는 것을 혐오해서 세속 영주화된 불교사원 세력들을 탄압했는데, 그 사례로 [[엔랴쿠지]]는 아작을 냈으며 [[혼간지]] 세력과는 1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전쟁을 했다. 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남이 종교를 믿든 말든 신경을 안 썼기 때문에, 루이스 프로이스를 비롯한 키리시탄은 탄압하지 않았다. 그러다 오다 노부나가는 [[혼노지의 변]]으로 사망하고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권력을 잡았다. 히데요시는 노부나가와 달리 기독교를 막으려 했다. 1587년에 있었던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추방령 이후로는 [[나가사키]]에 은거했다. 이후 [[마카오]]에 머물다가, 1595년 다시 일본으로 돌아와 1597년 나가사키에서 향년 65세로 사망했다. 시신은 나가사키에 묻혔다. 대략 30년 정도 [[일본]]에서 활동하며 일본에 대한 글을 남겼는데, 이것이 바로 『일본사』이다. 『일본사』에는 [[마비키]]같은 일본의 풍습 등 당대 일본의 모습이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 [[https://gall.dcinside.com/kimilsung/12932|루이스 프로이스가 바라본 당대 일본의 모습]] 루이스의 의도와 달리, 외국인의 시선에서 일본을 보았다는 점이 흥미를 끄는 저서라 연구자들에겐 [[센코쿠 시대]] 및 [[임진왜란]] 연구에 많은 도움을 주는 책이다. >조선은 [[쓰시마]]의 영주에게 공물로 매년 쌀 1만 석을 바친다. [* 정황상 조선이 [[감합무역]]을 하며 대마도에 쌀을 하사한다는 것을 말하는 듯하다.] > >조선에 [[니탕개의 난|수년 전에 오랑캐, 타타르와 이시모쿠가 동맹하여 침략했는데]] 조선은 고전했으나 끝내 정복되지 않았다. > >조선은 풍요하여 많은 [[쌀]]과 [[밀]]이 나고 과일로는 [[배(과일)|배]], [[호두]], [[무화과]], [[밤]], [[사과]], [[잣]], 그리고 엄청난 양의 [[꿀]], 약간의 [[비단]], 다량의 [[목화|면화]]와 배를 생산하고 있다. [[금]]이나 [[은]] 같은 지하자원은 적지만 많은 [[말]]과 [[소]], 양질의 [[노새]], [[당나귀]], 게다가 전 국토에 걸쳐 수많은 [[시베리아호랑이/한반도|호랑이]]가 서식하고, 그 밖에 갖가지 다양한 동물이 있다. 그들이 만든 공작품은 정교하고 아름다워서 그들이 솜씨가 좋다는 사실을 말해 주고 있다. > >사람들은 [[하얀 피부#대한민국|피부가 희고]] 활기차며 [[한민족의 식사량|대식가이고]] 힘이 아주 좋다. 그들은 [[각궁|터키활과 같은 작은 활]]을 매우 잘 다루고, [[화살#특수 화살|독을 바른 화살]]을 사용한다고 한다. > >[[판옥선|선박은 크고 견고하며]] [[거북선|상단이 덮여 있다.]] 화약통과 화기를 사용한다. [[천자총통|석포]]에는 탄환을 쓰지 않고 [[대장군전|사람 넓적다리 굵기의 나무 화살에 물고기 꼬리처럼 갈라진 쇳조각을 붙여]] 쓴다. 이것은 부딪치는 것은 모두 절단하기에 아주 위력적인 무기다. [[환도|칼]]은 길이가 짧고 수명이 길지 않다. [[승자총통|개머리판이 없는 소총]]을 사용한다. > >[[조공|중국에 공물을 바치고 있음]]에도 [[고구려|중국인들은 조선인들을 두려워한다.]] > >[[한반도#기후|조선의 북쪽은 대단히 춥다.]] 강은 얼어붙는다. > >[[환곡|국왕은 토지 소작물은 모두 거둬들이고 나중에 생계를 위해 농민들에게 식량을 나눠 준다.]] > >내륙의 성은 방비가 잘 안 되어 있고, [[부산진 전투|일본에 인접한 해안 지역의 성은 제대로 방비되어 있다.]] > >조선은 중국과 동일한 [[한자|문자]]와 [[유교|종교]]를 쓰고, 인륜을 중시한다. 발음은 중국어보다 쉽다. 평민의 일반어와 귀족의 고급어가 있다. [[불교|종교는 일본과 같다. 석가모니와 아미타불을 숭배한다.]] > >수량이 많은 강이 있는데 이 중 하나는 폭이 40km에 이른다.[* 정황상 [[한강]]을 말하는 듯한데, 한강도 폭이 넓은 편이긴 하나 40km는 말도 안 되기에 일부러 부풀려 썼거나 측정 혹은 받아 적을 때 오류가 난 것으로 보인다. 학자들은 "길이"를 "폭"으로 오기한 것으로 보고 있다. 참고로 한강의 첫 번째 다리인 [[미사대교]]에서 마지막 다리인 [[일산대교]]까지의 한강 길이가 40km 정도다.] [[만주|조선과 중국의 국경]]에는 모래사막이 있다. > >역대의 조선 국왕들은 [[서울|가장 훌륭하고 중요한 도시]]에 [[경복궁|큰 궁전]]을 지었는데, 그곳에 [[경복궁 근정전|수많은 가신을 거느린 관청]]이 있었다. 서민들의 집은 대부분 [[기와집|기와지붕]]--(!)--이며, 그 밖에는 [[초가집|초가지붕]]으로 그다지 청결하지는 않다. 그렇지만 귀인과 부호들은 결이 고운 식물[* 정황상 [[비단]]을 일컫는 듯하나, 비단은 식물성 직물이 아니다.]로 짠, 정교한 장식이 있는 극히 질 좋고 광택이 나는 돗자리를 집안에 깔고 있는데, 일본인이나 일본에 오는 포르투갈 인들은 그것을 매우 진귀하게 여겼다. > >우리는 나가사키에서 [[한복|조선으로부터 들여온 몇 벌의 백의]]를 보았는데, 그 옷에는 더할 나위 없이 섬세하게 공을 들인 자수를 해 놓았다. 그것은 어떤 부분은 짠 것인지 아니면 실과 바늘로 꿰맨 것인지 여간한 시력이 아니고서는 구별이 불가능 할 정도였다. > >이상의 내용들이 조선을 여러 차례 방문했던 사람들을 통해 관백의 궁정이 조선에 대해 입수했던 정보의 요약이다. [[조선]] 관련해선 [[호랑이]]가 전국 각지에 서식하고, [[쌀]]과 [[밀]]이 많아 풍요하다거나 수공예품의 수준이 높다거나 하는 등의 기록이 있다. 다만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일본사』에서 [[임진왜란]] 기록의 경우 루이스 프로이스는 조선에 직접 온 적이 없고 세스페데스 신부 등 당시 일본군을 따라 종군했던 선교사와 일본 쪽 자료들을 토대로 쓴 것이다. 따라서 왜곡이 있을 수 있다. 농산물에 대한 언급에서도 밀이 많이 난다고 한 것은 이상한데 예로부터 한반도는 밀을 재배하기에 적합한 기후가 아니었기 때문에 밀이 귀했다. 농업 기술이 발달한 현재에도 밀 재배가 가능하기야 하지만 주산물은 아니다. 특히 [[고니시 유키나가]]와 관련해선 어느 정도 필터링이 필요하다. 한 예로 임진왜란 [[탄금대 전투]]에 대한 기록을 보면, 조선측 병력이 8만명이라고 뻥튀기되어 있다. 조선의 기록서 중에 [[선조수정실록]]과 [[유성룡]]의 [[징비록]]을 보면 조선군 8,000명 정도며, 직접 참전한 인물로 돼있는 [[신흠]]의 [[상촌집]]에는 수천명으로 나온다. 다른 예로는 탄금대 전투 때 제2선봉장인 [[가토 기요마사]]가 근처에 있었는데, 프로이스는 "가토가 고니시의 전투를 보고 고니시군의 용맹에 감탄하면서 '나도 명예를 위해 전쟁에 참여하겠다'고 했으나, 고니시가 거절했다"고 서술하였는데, 이것 역시 앙숙이었던 고니시와 가토의 관계를 봤을 때 잘못된 서술일 가능성이 보인다. 고니시는 상인 출신, 가토는 정통 무인 출신이며, 임진왜란 종전 후 고니시가 가토에게 화해하자 했을 때 차버리기도 했다. 결국 [[세키가하라 전투]]를 거치며 가토가 고니시의 목을 쳐 버리며 두 악연도 끝났다. 프로이스가 이렇게 조선군의 병력수를 크게 부풀린 이유는 그가 일본 내 [[천주교]] 우두머리격인 [[고니시 유키나가]]를 굉장히 좋아했고, 그를 높이 평가해주기 위해서 뻥튀기를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역사서끼리 [[교차검증]]을 해봤을 때 뻥을 친 대부분의 요소에는 고니시의 활약이 있다. 한편, [[가톨릭|천주교]]를 매우 탄압한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대해서는 "우수한 기사로 전투에 숙련되어 있으나 기품이 부족하다. 키가 작고 추악한 용모에 한 손에 [[다지증|여섯 손가락이 있었다.]] 빈틈없는 책모가이다. 음탕하고 [[색욕마인|악덕에 오염]]되어있어 그가 지은 [[오사카 성]]에는 300여 명의 여자들이 우글거렸는데, [[성(건축)|성]]이라기보다는 [[유곽]]에 가까웠다." 등의 표현으로 히데요시를 악평했다. 이에 반해 히데요시의 부인인 [[코다이인|네네]]에 대해서는 "이교도이지만 대단한 인격자이며, 그녀에게 부탁하면 이뤄지지 않는 것이 없다."라고 호평하기도 했다. 프로이스의 평가는 그의 종교 및 이해관계를 감안해서 분석할 수 있다. 가령 프로이스는 [[불교]] 코스프레를 하던 무신론자인 [[오다 노부나가]]를 냉소적으로 보고, [[오토모 소린]]처럼 인간성 면에서 여러 비판이 제기되는 사람을 마구 칭찬하기도 했는데, 오토모 소린이 [[포르투갈인]]들을 보호하는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기 때문이다. [[네네]]는 [[선교사]] 등 이방인들의 이런저런 부탁을 잘 들어주고 신변을 돌보아 줬기 때문에 칭찬한 것. 반대로 히데요시는 반기독교적인 정책을 시행했기 때문에 실제보다 지나치게 폄하했을 가능성이 있다. 참고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그리스도교를 탄압한 것은 [[그리스도교]] 포교가 상대국의 [[식민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과 [[규슈]] 정벌 중에 아마쿠사 제도(熊本縣 天草諸島) 지방에서 일본 백성들을 [[노예]]로 팔아넘기는 포르투갈 노예 상인들의 행태를 목격한 사건 등의 영향이 있었다. 당시 마땅히 수출할 상품이 없던 일본은 긴 전쟁 기간 동안 조총, 화약 등을 수입하는 대신 외국에 자국민들을 노예로 팔았다. [[전국시대(일본)|전국시대]] 당시 일본은 워낙 혼란기고 전쟁도 많아서 멋대로 끌고 가는 것도 어렵지 않았고 전쟁포로도 싸우다보면 많이 생겼기 때문에 이런 [[일본인]]들을 아프리카의 [[흑인]] [[노예]]들마냥 해외에 노예로 팔아먹는 사례가 많았다. 심지어 구매해 가는 사람들도 똑같이 서양인들이었다. 주로 서양인들과 교류가 잦은 [[큐슈]] 지방을 중심으로 일본인 노예를 팔아넘겼는데, 이는 히데요시가 선교사 추방령을 고수하는 원인이 되었다. 비록 선교사들이 노예 무역에 부정적이었으며, 실제로 1598년에 일본인도 아닌 조선인 노예 무역을 파문으로 위협하여[* [[역사스페셜]] [[https://vod.kbs.co.kr/index.html?source=episode&sname=vod&stype=vod&program_code=T2009-0419&program_id=PS-2011177101-01-000&broadcast_complete_yn=Y&local_station_code=00§ion_code=05§ion_sub_code=08|2012년 3월 8일 방영분]]. 31분 20초 ~ 33분 45초] 제재할 정도로 이 문제를 심각하게 여긴 것은 분명하지만, 일본인과 서양인 교류의 징검다리 역할을 하던 선교사의 포지션이 히데요시의 입장에서 선교사를 의심할 동기를 준 것이다.[* 「발리냐노{{{-2 (Alessandro Valignano, S.I., 1539~1606))}}} 입장에서는 관백의 정치적인 태도가 여간 신경이 쓰이는 것이 아니었다. 1587년의 첫 추방령은 더 큰 광풍에 대한 경고로 보였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포르투갈 상인들의 행동도 선교사들을 곤혹스럽게 하고 있었다. 포르투갈의 아시아 거점지인 마카오와 일본을 오가며 비단과 무기 등 일본인들이 좋아하는 것들을 싣고 갔다가 은, 수공예품과 향신료를 싣고 왔는데 거기에는 일본인 노예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관백]]으로서는 용납할 수 없는 일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자신의 ‘승리의 카드’인 포르투갈인들과의 무역을 포기할 수도 없었다. 그들과의 무역을 위해서는 신부들이 일본에 있어야 했다. 일본인들은 신부들이 없으면 포르투갈 상인들과 대화를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91353|김혜경. 〈왜란 시기 예수회 선교사들의 일본과 조선 인식 -순찰사 알렉산드로 발리냐노의 일본 방문을 중심으로-〉]]] == 같이보기 == * [[마르코 폴로]] * [[마테오 리치]] * [[아담 샬]] * [[야스케]] * [[얀 야너스 벨테브레]] * [[윌리엄 애덤스]] *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 [[헨드릭 하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