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루어데스 구리엘 주니어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2023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br]'''메이저 리그 베이스볼[br]올스타'''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3년|{{{#ffffff 2023}}}]]''' || ---- ||<-5> '''{{{#ffffff [[토론토 블루제이스|{{{#ffffff 토론토 블루제이스}}}]] 등번호 13번}}}''' || || [[저스틴 스모크]][br](2015) || {{{+1 →}}} || '''루어데스 구리엘 주니어[br](2018~2022)''' || {{{+1 →}}} || [[브랜든 벨트]][br](2023~) || ||<-5> '''{{{#e3d4ad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e3d4ad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등번호 12번}}}''' || || [[돌튼 바쇼]][br](2020~2022) || {{{+1 →}}} || '''루어데스 구리엘 주니어[br](2023)''' || {{{+1 →}}} || 결번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리엘디백스.jpg|width=100%]]}}} || ||<-2> '''{{{+2 루어데스 구리엘 주니어}}}[br]Lourdes Gurriel Jr.''' || || '''본명''' ||로우르데스 유니엘키 구리엘 카스티요 주니어[br]Lourdes Yunielki Gurriel Castillo Jr.|| ||<|2> '''출생''' ||[[1993년]] [[10월 10일]] ([age(1993-10-10)]세) || ||샹크티 스피리투스||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쿠바)]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신체''' ||193cm / 98kg || || '''포지션''' ||[[좌익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6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토론토 블루제이스|TOR]]) || || '''소속팀''' ||'''[[토론토 블루제이스]] (2018~2022)''' [br]'''[[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23)''' || || '''가족''' ||아버지 루어데스 구리엘 시니어 [br] 큰형 유니에스키 구리엘, 둘째형 [[율리에스키 구리엘]] || [목차] [clearfix] == 개요 == [[쿠바]] 국적의 외야수. [[쿠바 프로야구 리그]]의 스타로 활약하다 망명하여 [[토론토 블루제이스]]와 계약을 맺고 메이저리그에서 활약 중이다.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 [[캐번 비지오]], [[보 비솃]]과 함께 토론토의 '혈통야구' 라인을 이뤘던 유망주. == 선수 경력 == === 쿠바 시절 === 대한민국에도 알려진 쿠바의 야구 명문가 구리엘 집안의 막내로, 아버지와 루어데스 구리엘 시니어와 두 형이 모두 야구선수이다. 16세때부터 쿠바 리그에서 선수로 뛰었고, 수많은 국제 대회에 참여하였다. [[2015 WBSC 프리미어 12]]에 구리엘 3형제가 출전하여 한국에 이름을 알리기도 했다. 이 당시 쿠바 야구선수들은 일부 해외리그에는[* 메이저리그 이외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KBO 리그에도 진출이 안 된다. 법적으로 금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쿠바와 KBO 리그 간의 선수 파견을 위한 연결이 전혀 안 돼 있기 때문. 대만도 마찬가지. 따라서 쿠바 선수들은 일본프로야구와 멕시칸리그, 그리고 캐나다 독립리그 정도에만 진출하고 있다.] 허가 하에 해외진출이 가능했는데, 이 제도로 먼저 진출하여 1년 활약했던 형 [[율리에스키 구리엘]]을 따라 NPB의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에 입단했다. 그런데 형제가 쌍으로 튀어버리는 사고를 치고 제한선수 명단에 등재되며 일본에서 한 경기도 뛰지 않고 계속 쿠바 리그에 남았다. 그러던 중 2016년 2월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열리는 케리비안 시리즈가 끝난 직후 형 율리에스키 구리엘과 함께 팀을 이탈하여 쿠바를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 큰 형 유니에스키는 남았고 동생들의 망명 후 가진 인터뷰에서 자신은 쿠바를 떠나지 않을 거라고 선언했다. 사실 이 사람은 나이가 많아서 갔어도 메이저리그 진출은 어렵다는 게 중론. 1982년생으로 이 당시 이미 만 36세. 어차피 망명해서 큰 돈을 번 야구선수들은 쿠바의 가족에게 경제적인 지원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니 메이저리그에 가기 어려운 유니에스키의 경우는 망명했다가 고생하느니 동생들이 보내주는 돈으로 쿠바에서 부유층으로 잘 먹고 잘 사는 게 나을지도. 현재 쿠바는 하도 야구선수들이 망명을 해서 이들의 가족들에게 연좌제 적용을 하지 않는다.] === [[토론토 블루제이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ourdes_Gurriel_Jr.jpg|width=100%]]}}} || 망명 후 2016년 국제 유망주 랭킹에서 전체 7위에 올랐다. 국제 FA 자격이 생기는 23세 생일까지 기다리다 2016년 12월 [[토론토 블루제이스]]와 7년 22M에 계약했다. 마이너리그에서 조금만 다듬으면 빅리그 데뷔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었고, 역시 예상대로 약 1년 반 정도인 2018년에 콜업되었다. ==== 2018 시즌 ==== 시즌 초반에는 부진했지만, 7월 11일부터 11경기 연속 멀티히트를 기록하며 신인 최다 멀티히트 기록(기존 10경기)을 세웠다. 이 활약으로 아메리칸리그 7월 이달의 신인에 선정된다. 하지만 이 기록을 세운 직후 부상으로 인해 DL에 올랐고, 복귀 경기에서 1안타에 그치며 기록이 끊어졌다. 이후에는 다소 부진한 성적을 남겼다. 특히 수비력에서 많은 문제를 드러냈다. ==== 2019 시즌 ==== 시즌 초반 1할대 타율에 머무는 심각한 부진에 빠졌다. 그 와중에 [[크리스 세일]]을 상대로 홈스틸을 기록하기도 했지만 그 외에는 전혀 활약이 없었다. 결국 4월 14일 마이너리그로 내려갔다. 약 40일 후인 5월 24일 다시 승격되었다. 콜업된 이후에는 내야수비를 포기하고 좌익수로 포지션이 변환되었다.[* 2루수 자리는 [[캐번 비지오]]가 콜업되어 맡는다.] 그런데 콜업 경기에서 바로 홈런을 치더니 콜업 후 일주일 간 .393 .414 .964의 엄청난 맹타를 휘두르며 순식간에 성적을 회복했다. 한 번 터진 방망이는 6월에도 불을 뿜으며 10홈런 .337 .381 .683라는 엄청난 성적을 찍었다. 전반기를 53경기 16홈런 37타점 .303 .355 .626로 마쳤다. 놀랍게도 16홈런은 모두 5월 24일 이후에 친 것이다. 후반기에는 다시 부진에 빠졌다. 후반기에 타격이 대폭발한 형과 대조된다. ==== 2020 시즌 ==== 8월 20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더블헤더 1차전 경기에서는 7회말 끝내기 적시타를 기록하면서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9월 첫째주 AL 이주의 선수로 선정되었다. 8경기에서 타율 0.467 OPS 1.282 30타수 14안타 2루타 3개 2홈런 6타점으로 활약했다. ==== 2021 시즌 ==== 4월 10일에는 코로나19 백신 부작용으로 인해 부상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5월 9일 [[휴스턴 애스트로스]]전에서는 형이 보는 앞에서 안타를 기록했다. 6월 24일 [[볼티모어 오리올스]]전에서는 만루홈런을 쏘아올리며 팀의 5연승을 이끌었다. 다소 아쉬웠던 전반기에 비해 후반기에 타격에서 맹타를 휘두르고 있다. 9월 12일 기준으로 후반기 48경기에서 0.323/0.398/0.574로 뜨거운 활약 보여주고 있는데, OPS 0.972는 아메리칸 리그 후반기 5위에 해당한다. 그렇게 토론토 선수 중 [[마커스 시미언]],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 [[보 비솃]], [[테오스카 에르난데스]]와 함께 실버 슬러거 후보에 선정되었다. 다만 수상에는 실패했다. ==== 2022 시즌 ==== 6월 19일 [[뉴욕 양키스]]전에서 만루 홈런을 쏘아올리면서 10-9 대역전승을 이끌었다. 7월 22일 [[보스턴 레드삭스]] 원정에서는 무려 7타수 6안타 5타점을 올리며 토론토 구단 역사상 단일 경기 최다 득점 기록을 28점으로 갱신하는 데 기여했다.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디백스공식합성루어데스구리엘.jpg|width=100%]]}}} || 2022년 12월 23일, [[돌튼 바쇼]]를 상대로 [[가브리엘 모레노]]와 함께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로 트레이드되었다. ==== 2023 시즌 ==== 4월 8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전, 3번 지명타자로 선발출장했고 4타수 3안타 3타점 1득점으로 활약했다. 12일 [[밀워키 브루어스]]전, 1-0 리드를 잡은 3회말 무사 1,2루 찬스에서 시즌 첫 홈런을 신고하며 3타점 경기를 가졌다. 그외 안타 2번을 추가하며 5타수 3안타로 7-3 승리에 기여했다. 5월 들어 물오른 타격감을 뽐내고 있다. 6월 14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전, 1사 1,3루 상황에서 병살타 및 실책 기록으로 패배의 원흉이 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 수상 내역 == * 올스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3년|2023]]) == 연도별 성적 == ||<-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루어데스 구리엘 주니어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18 ||<|5> [[토론토 블루제이스|TOR]] || 65 || 263 || 70 || 8 || 0 || 11 || 30 || 35 || 1 || 9 || 59 || .281 || .309 || .446 || .755 || 0.6 || 0.2 || || 2019 || 84 || 343 || 87 || 19 || 2 || 20 || 52 || 50 || 6 || 20 || 86 || .277 || .327 || .541 || .869 || 1.8 || 1.8 || || 2020 || 57 || 224 || 64 || 14 || 0 || 11 || 28 || 33 || 3 || 14 || 48 || .308 || .348 || .534 || .882 || 1.0 || 1.1 || || 2021 || 141 || 541 || 138 || 28 || 2 || 21 || 62 || 84 || 1 || 32 || 102 || .276 || .319 || .466 || .785 || 1.8 || 2.6 || || 2022 || 121 || 493 || 132 || 32 || 1 || 5 || 52 || 52 || 3 || 31 || 83 || .291 || .343 || .400 || .743 || 1.1 || 2.2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23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ARI]] || 145 || 592 || 144 || 35 || 2 || 24 || 65 || 82 || 5 || 33 || 103 || .261 || .309 || .463 || .772 || 2.1 || 3.0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6시즌)''' || 613 || 2456 || 635 || 136 || 7 || 92 || 289 || 336 || 19 || 139 || 481 || .279 || .324 || .466 || .791 || 8.4 || 10.8 || == 여담 == * 한국식 치킨을 아주 좋아하는 선수라고 한다. 뉴욕 원정을 가면 류현진을 졸라 한국식 치킨집에 데려가달라고 해 치킨 파티를 열고 치킨을 엄청나게 잘 먹는다고 한다. [각주] [[분류:쿠바의 야구 선수]][[분류:야구 선수 자녀]][[분류:1993년 출생]][[분류:2018년 데뷔]][[분류:상크티 스피리투스 주 출신 인물]][[분류:외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토론토 블루제이스/은퇴, 이적]][[분류: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