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인도이란인)] [include(틀:서아시아의 민족)] [[파일:이란 루르.jpg|width=700]] 춤추는 루르인 남성 [[파일:루르 이란.jpg|width=700]] 루르 여성들의 전통 복장 [목차] == 개요 == * [[페르시아어]]: لر * [[영어]]: Lurs [[자그로스 산맥]]을 중심으로 한 이란 서부 산지, 즉 로레스탄에 주로 분포하는 아리아 혹은 [[이란계 민족]]. 현지 발음은 루르보다는 로르에 가깝다. 이란에서 [[페르시아인]], [[아제르바이잔인]], [[쿠르드인]]에 이은 제4의 민족이자 제3의 소수 민족이다. [[페르시아어]]와 [[쿠르드어]] 사이에 있는 고유 언어인 [[루르어]]를 구사한다. 인구는 대략 5백만명으로, 이란 인구의 6%를 차지한다. 과거부터 유목 생활을 하였고, 근현대를 거치며 도시에 정착하긴 했지만 아직도 바크티야르 (بختیاری) 등 일부 부족은 유목 전통을 지키고 있다. 이란의 주요 소수민족들 중 가장 독립 운동 기류가 없는 민족이다.[* 아예 페르시아인으로 분류되기도 하는 마잔다란, 길란인 제외한 아제리, 쿠르드, 루르, 투르크멘, 아랍, 발루치인들과 비교했을 때에 그렇다는 것] 대표적인 루르인 출신 인물로 18세기 후반 이란 주요부를 지배한 [[잔드 왕조]]의 창건자 [[카림 칸]]과 종손 [[로프트 알리 칸]]이 있다. 이러한 라크계 잔드 왕가 외의 루르인 유명인들은 대부분 최대 부족인 바크티야르 출신으로, 특히 [[카자르 왕조]] 말엽 입헌 혁명 시기에 두각을 드러내었다. 그중 알리 콜리 칸은 혁명 군대를 이끌고 [[테헤란]]을 점령하여 새로운 샤를 추대하였고, 그 형인 나자프 콜리 칸 (사드올다울라)는 두 차례에 걸쳐 총리를 역임하였다. 이후로도 영향력이 상당하여 [[팔라비 2세]]의 첫 왕비인 소라야와 [[팔라비 왕조]]의 마지막 총리 샤푸르 등이 바크티야르 부족 출신이었다. == 유래 & 역사 == [[파일:이란 루르인.jpg|width=700]] 이란내 루르인 분포. [[호라마바드]], [[야수즈]], [[샤흐레코르드]], [[후제스탄]] 일대에 거주한다. 역사적으로 서이란계 민족과 기존에 거주하던 [[카시트인]]과 [[구티 왕조|구티인]], [[엘람|엘람인]] 등이 혼혈되면서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루르인들의 고장인 로레스탄 (현 [[일람]] ~ [[호라마바드]] 일대)에는 10세기 쿠르드계 국가인 하사나위예 왕조가 설립된 이래로 아나즈 왕조, 하사나파드 왕조, 코르시디 왕조 등 현지 왕조들이 들어섰다. 그중 16세기 후반까지 존속한 코르시디 왕조를 거치며 루르인 정체성이 정립된 것으로 여겨진다. 실제로 기존 기록들에서 루르인들은 쿠르드 인의 일파로 치부되었으나, 16세기 말엽에 저술된 쿠르드 역사서 샤라프나마에서 비로소 쿠르드와 구별되는 민족이라고 따로 서술되었다. 1598년 [[사파비 왕조]]의 병합 후에도 자치주인 벨라예트가 설치되었고, 이러한 체제가 근현대까지 이어지며 쿠르드인 주류의 코르데스탄에서 분리된 자치주로써 현지 루르인들의 정체성이 더욱 강화된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잔드 왕조]] 설립 전까지 문화적 수준이 낮았는지 18세기 [[나디르 샤]]는 이들을 '산적떼'로 치부하여 토벌에 나서기도 하였다. 그러다 [[아프샤르 왕조]]의 멸망 후 펼쳐진 군웅 할거전에서 루르인 출신 카림 칸과 알리 마르단 칸이 이란 고원의 패권을 두고 격돌하며 입지가 높아졌고, 잔드 왕조 시절에는 지배 계급으로써 활약하였다. 비록 잔드 조를 잔혹히 무너뜨린 카자르 왕조 대에는 불온 세력으로 감시 대상이었지만 입헌 혁명을 주도하고 바크티야르 군대가 수도 테헤란을 점령하며 복수에 성공하였고, 팔라비 왕조 시기 중용되었다. == 기타 == [[파일:이란 바크티아르.jpg|width=900]] 이란에서 전투 종족으로 유명한 바크티아르 부족은 생계 유지를 위해 이란 정부의 묵인 하에 사냥총 등으로 무장하고 있다. [[파일:루르 이란 1.jpg|width=900]] 현대에도 목초지를 찾아 이동하기도 한다. [[파일:이란 루르인 1.jpg|width=900]] 유목 생활 중의 루르인 여성 [[파일:이란 로로.jpg|width=900]] 산간 지방에서의 유목 생활 [[분류:이란의 민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