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남성 아티스트)] ---- [include(틀:빌보드 선정 가장 위대한 래퍼)] ---- ||<-2> '''{{{+1 루다크리스}}}[* 이름의 기원은 ludicrous에서 따옴. 뜻은 : 터무니없는, 우스꽝스러운][br]Ludacris'''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루다프사.jpg|width=100%]]}}} || || '''본명''' ||Christopher Brian Bridges [br]크리스토퍼 브라이언 브리지스 || ||<|2> '''출생''' ||[[1977년]] [[9월 11일]] ([age(1977-09-11)]세) || ||[[일리노이|일리노이 주]] 샴페인 || ||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파일:가봉 국기.svg|width=25]] [[가봉]][* 2020년 1월 4일, 자신을 포함한 가족 모두가 아내의 고향인 [[가봉]]의 국적을 취득했다고 밝혔다.] || || '''신체''' ||173cm, 77kg || || '''부모''' ||아버지 웨인 브라이언 브리지스[br]어머니 로베르타 쉴즈 || || '''배우자''' ||유독시 음부기엥[* Eudoxie Mbouguiengue. 유명 모델이자 소셜 미디어 스타 [[https://www.instagram.com/eudoxie/|인스타그램]] ] ^^(2014년~현재)^^ || || '''자녀''' ||딸 카르마 브리지스^^(2001년생)^^[br]딸 카이 벨라 브리지스^^(2013년생)^^[br]딸 케이던스 가엘 브리지스^^(2015년생)^^[br]딸 챈스 오얄리 브리지스^^(2021년생)^^ || || '''친척''' ||사촌 [[Monica|모니카]][br]사촌 [[리처드 프라이어]] || || '''직업''' ||[[래퍼]], [[배우]], [[사업가]], 자선가 || || '''데뷔''' ||[[1999년]] "Incognegro"' || || '''소속''' ||[[데프 잼 레코딩스|[[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15px-DefJamRecordings.svg.png|width=50]]]] || || '''링크''' ||[[https://www.instagram.com/ludacri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https://www.facebook.com/ludacri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ludacris, 크기=24)] [[https://www.youtube.com/channel/UClzrSyGVRJK7EhKH2Fnt9X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s://www.youtube.com/LudacrisVEVO|[[파일:VEVO 로고.svg|width=55]]]]||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luda112.jpg|width=100%]] > Let me explain, nothing’s been new since Big Daddy Kane > 내가 말해줄게, Big Daddy Kane 이후로 아무것도 바뀐게 없어 > Flows will get recycled passed around to different names > 플로우는 재활용 되면서 다른 이름들로 전해 내려왔지 > '''But what’s the same, that every verse I spit is insane''' > '''하지만 항상 같은건, 내가 뱉는 모든 절들이 미쳤다는거야''' > > (중략) > > See I’m ya past, I’m ya future and ya present > 야, 난 너의 과거야, 난 너의 미래고 너의 현재야 > '''So watch ya fucking mouth when you speak about a legend''' > '''그러니까 씨발 입 조심 좀 해, 니가 전설을 논할 때는 말야''' > > Ludacris - Bada Boom 中[* [[빅 션]], [[드레이크]]가 신경을 건드리자 내놓은 디스곡. 압도적인 실력으로 찍어누르는 루다의 자신감이 일품이다.] [[https://youtu.be/-5lSvfTtXIM|#]] > Yeah, I can only imagine what you goin through ladies. >너희들이 겪은 일을 난 상상밖에 할 수 없을 거야. >Sometimes I feel like runnin away myself >가끔은 나도 나 자신으로 부터 도망가고 싶은 기분이 들곤해. >So do me a favor right now and '''close your eyes''' >그러니 지금 부탁 하나 할 테니 '''눈을 감아봐'''. >And picture us runnin away together. >그리고 우리가 함께 도망치는 모습을 상상해. >When we come back everything gonna be okay. >다시 돌아왔을 땐 모든 게 괜찮아질 거야. >'''Open your eyes.''' >'''이제 눈을 떠'''. > > Ludacris - Runaway Love (Feat.Mary J.Blige) 中[* 루다크리스의 5집 수록곡. 각기 다른 3명의 여자가 저마다 아픈 스토리를 갖고 집을 떠나 멀리 도망치는 내용의 노래. 루다의 지금까지의 평균적인 음악 스타일을 고려했을 때 꽤 드문 감성 랩송이다.] >'''Move B**** Get Out Da Way''' 본명은 크리스토퍼 브리지스(Christopher Bridges). [[1977년]] [[9월 11일]] 생. 미국의 래퍼 겸 배우. [[일리노이 주]] 샴페인 출신이다. 팬들에겐 래퍼로서의 인지도가 더 높다. 주로 경쾌한 랩을 하는 게 특징. [[애틀랜타]]를 기반으로 라디오 DJ를 하다가 래퍼로 변신하였다. 그의 랩스킬과 플로우는 데뷔 때부터 정상급이었고 유머러스한 캐릭터로서 크게 히트했다. 배우로도 활발히 활동 중. == 상세 == 지역 라디오 DJ로 활동하다가 1998년 [[Timbaland]]의 솔로 1집 "Tim's Bio: From The Motion Picture - Life From Da Bassment"의 11번 트랙 "Phat Rabbit"을 통해 래퍼로 정식 데뷔했다.[* 이 곡은 2년 후 루다크리스의 데뷔 앨범에도 16번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이듬해 첫 음반 "Incognegro"가 발매되었고 이게 어느 정도 인기를 끌자 메이저 레이블 [[데프 잼]]과 계약했다. 2000년 10월에 데프 잼을 통해 데뷔 앨범 "[[Back for the First Time]]"이 발매되었다. 첫 주에 133,000장이, 총 310만 장이 팔렸다. 싱글 What's Your Fantasy와 [[Southern Hospitality]]가 크게 히트했고 Stick 'Em Up과 같은 앨범 수록곡들도 많은 인기를 얻었다. 이때부터 프리스타일 랩이 앨범마다 1개씩 들어가게 되었다. 2001년 11월엔 2집 "[[Word of Mouf]]"가 발매되었다. 앨범 커버가 전작에 비해 매우 재미있어졌고, 더 큰 성공을 거뒀다. 첫 주 판매량 281,000장에 총 367만 장이 팔렸다. 발매된 싱글 Area Codes, [[Rollout (My Business)]], Saturday (Oooh! Ooooh!), [[Move Bitch]]가 모두 큰 인기를 얻었으며 평단들도 전작보다 더 높은 평가를 내렸다. 2003년 10월에 발매된 3집 "[[Chicken-n-Beer]]" 역시 유쾌한 앨범 커버로 유명하며, 첫 주에 429,000장이 팔려 빌보드 200에서 1위 데뷔했다. 싱글 [[Stand Up(루다크리스)|Stand Up]], [[Splash Waterfalls]], Diamonds in the Back이[* 윌리엄 드본의 [[Be Thankful for What You Got]]을 샘플링한 곡이다.] 대히트했고 P-Poppin, Blow It Out도 인기 있었다. 앨범 구성이 아주 잘 되어있는데 루다크리스 최고의 명반으로 볼 수 있으며, 메타크리틱 75점을 받았다. 4집 "[[The Red Light District]]"가 2004년 12월에 발매되었고, 첫 주 판매량 322,000장을 기록하며 빌보드 200에서 1위로 데뷔했다. 첫 싱글 [[Get Back(루다크리스)|Get Back]], 두번째 싱글 [[Number One Spot]], 네번째 싱글 [[Pimpin' All Over the World]]는 전국적으로 히트했고 The Potion과 Blueberry Yum Yum도 적당한 인기를 끌었다. 메타크리틱에선 70점을 받는 등 음악성도 인정받았다. 16번 트랙 "Virgo"는 [[Nas|나스]]의 7집 [[Street's Disciple]]의 2번째 디스크의 4번 트랙으로 수록되어 있기도 하다. 2006년 9월엔 5집 "[[Release Therapy]]"를 발매했으며 음악적으로도 크게 변화했다. 루다 특유의 유머를 쫙 빼고 만든 앨범이며 하드코어 남부 랩, 더리 랩, 컨셔스 랩, R&B 피쳐링을 쓴 발라드 랩, 가스펠 랩 등 다양한 스타일을 시도했다. 10번 트랙 "War with God"은 [[T.I.]]에 대한 디스곡. 앨범은 첫 주에 309,000장이 팔렸고 빌보드 200에서 1위에 데뷔했다. 첫 싱글 [[Money Maker]]는 핫 100에서 1위를 기록하기도 했으며 메타크리틱에선 60점을 받았다. 6집 "[[Theater of the Mind]]는 2008년 11월에 발매됐다. 첫 주에 214,000장이 팔린 앨범이며 피쳐링진이 특히 화려하다. [[플로이드 메이웨더]], [[T.I.]], [[T-Pain]], [[더 게임(래퍼)|더 게임]], [[릭 로스]], [[크리스 락]], [[크리스 브라운]], 플라이스, [[제이미 폭스]], [[릴 웨인]], [[Nas|나스]], [[JAY-Z|Jay-Z]], [[커먼]], [[스파이크 리]] 등등 거물급 래퍼/유명인들이 앨범에 참여했다. 티페인의 [[오토튠]] 보컬이 인상적인 "One More Drink", 크리스 브라운과 션 개럿이 피쳐링한 클럽 힙합 "What Them Girls Like"가 크게 히트했다. 6집 작업을 통해 T-Pain과도 친분을 쌓아 그의 곡 "Chopped N Skrewed"에 피쳐링하는 등 활발히 활동했다. 2009년 12월에 발매한 선공개 싱글 "How Low"가 빌보드 핫 100 10위권에 들었고, 2010년 3월에 7집 앨범 "[[Battle Of The Sexes]]"가 발매되었다. 첫 주에 137,300장이 팔리며 [[빌보드 200]]에 1위 데뷔했다. 두 번째 싱글인 'My Chick Bad'는 [[니키 미나즈]]의 참여로 눈길을 끌었고 R&B/Hip-Hop 차트 1위에 오르기도 했다.[* 핫 100 11위] 세 번째 싱글 "Sex Room"은 [[트레이 송즈]]가 피쳐링한 R&B 힙합인데 역시 큰 인기를 얻었다. 앨범은 메타크리틱 68점을 기록했다. 2015년 3월에 8집 "Ludaversal"이 발매됐고, 첫 주 판매량 73,000장을 기록하며 빌보드 200에서 3위로 데뷔했다. 메타크리틱 63점이라는 평가를 받았고, [[Big K.R.I.T.]], [[미겔(가수)|Miguel]] 등의 신세대 래퍼/가수를 피쳐링으로 쓰기도 했다. 의외로 디스전에도 능하다. 웬만한 래퍼들도 쉽게 못 건드리는 남부 힙합의 제왕 [[T.I.]]와 겨룬 적도 있고, 멋 모르고 건드린 [[빅 션]]을 Bada Boom으로 한방에 조져버렸다. [[분노의 질주]] 시리즈에선 [[테즈 파커]] 역으로 꾸준히 출연 중이다. 연기도 잘하는데다 특유의 입담 때문에 평이 좋다.[* 원래 2편에서 게스트 역할로 출연했는데, 어쩌다보니까 계속 불려서 출연 중이다.] [[닥터 드레]]의 [[Beats|헤드폰]]에 영감을 받았는지 본인도 '소울 바이 루다크리스(Soul By Ludacris)'라는 헤드폰 시리즈를 내놓았다. 가격과 디자인, 저음 성향도 Beats와 비슷하다. 2012년에 [[BIGBANG|빅뱅]] 5집에 맞춰서 빅뱅 스페셜 에디션을 출시했다.[* 현재 소울바이루다크리스 코리아는 철수 상태다.] 2014년 [[50 센트]]한테 지목당해 LA 공연에서 아이스 버킷 챌린지를 했다. == 평가 == 래퍼로서의 역량은 최고 수준으로, [[JAY-Z]]나 [[에미넴]]처럼 그보다 랩을 잘한다고 평가 받는 래퍼들도 꽤나 구린 벌스를 내놓는 등 기복이 있었는데 [[버스타 라임즈]]와 더불어 실망스럽다고 까인 벌스가 없는 래퍼로 꼽힌다. 실력 자체도 그렇지만 색깔이 아주 진하고 세련되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남부에서 가장 세련된 랩을 구사하며 그 특유의 박자감과 완벽에 가까운 남부식 억양처리가 훅에까지 색이 고스란히 배여서 훅만 들어도 '아 이건 루다구나'하고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성향 탓에 단체곡에서 엄청나게 강하다. 루다랑 같은 곡에 나와서 존재감을 유지하는 것만으로 잘하는 래퍼라는 증명이 될 정도. DJ 드라마의 We In This Bitch, [[DJ Khaled]]의 Welcome To My Hood 리믹스와 I'm So Hood 등에서는 유수의 랩퍼들을 제끼고 압도적인 존재감을 드러낸 바 있다. [[에미넴]], [[버스타 라임즈]] 등 그보다 랩을 잘해도 루다보다 기억에 잘 남기는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 대표적인 곡들. 무엇보다도 발성이 너무나도 압도적이다. MMG의 건 플레이, [[에미넴]]과 더불어 발성 깡패로 유명하다. 때문에 라이브도 압도적이며, 특유의 속사포와 스킬 때문에 [[리드머]]에서는 '힙합 역사상 최고의, 전무후무한 랩 퍼포머'라고까지 평했을 정도. 앞서 말한 색깔과 어떤 분위기, 어떤 장르든 딱 거기에 맞게 랩을 하는 재주가 있다는 점도 이 평가에 일조했다. 일례로, [[Nas|나스]]의 made you look 라이브에서 여유있게 등장해서 엄청난 무대를 보여줬다. [youtube(EYixH7gC4zI)] 하지만 앨범을 잘 못 뽑는다는 평. 그런데 사실 이 말도 어느 정도 재고되어야 한다. 아래는 힙합 엘이 아티스트 열전 루다크리스 편의 일부다. >"루다크리스(Ludacris)를 두고 혹자는 '16마디 랩퍼, 피쳐링 랩퍼다', ‘앨범 단위로는 아쉽다’는 이야기를 종종 한다. 하지만 그가 정말 '앨범 단위'라는 조금은 애매한 기준으로 평가했을 때 아쉬운 랩퍼가 맞는지 나는 의문이다. 그의 첫 앨범과 두 번째 앨범은 트리플 플래티넘을, 세 번째, 네 번째 앨범은 더블 플래티넘을, 그리고 그 다음 앨범은 플래티넘과 두 번의 골드를 기록해냈다. 그는 정말 16마디 랩퍼일까? 그런 그가 그래미를 거머쥘 수 있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루다크리스는 그렇게 만만한 랩퍼가 아니다. 티아이(T.I.)가 개겼어도, 다른 애틀란타의 랩퍼들이 서로 자신이 최고(king)라고 외치더라도, 루다크리스는 그런 모습들을 보며 그냥 너털웃음을 지을 수 있을 정도의 아티스트다." 하지만 비트 초이스가 망이라는 점은 예나 지금이나 놀림당하는 요소다. 흔히들 랩을 엄청 잘하면 "와, 이 사람은 아무 비트에나 랩해도 쩔겠다"고 하는데 진짜 아무 비트에다 랩을 하는 사람이 바로 루다다. 이건 8집 루다버설에서 많이 극복을 했는데 여기서는 설교조의 가사가 진부해졌다는 평. == 디스코그래피 == === 앨범 === * Incognegro (1999) * Back for the First Time (2000)[* [[빌보드 200]] 4위] * Word of Mouf (2001)[* 빌보드 200 3위] * Chicken-n-Beer (2003)[* 빌보드 200 1위] * The Red Light District (2004)[* 빌보드 200 1위] * Release Therapy (2006)[* 빌보드 200 1위] * Theater of the Mind (2008)[* 빌보드 200 5위] * Battle of the Sexes (2010)[* 빌보드 200 1위] * Ludaversal (2015)[* 빌보드 200 3위][* 싱글컷으로 나온 타이틀곡인 Rest Of My Life는 [[분노의 질주: 더 맥시멈]]의 엔딩 타이틀로 사용되었다.] === 싱글 === ==== [[빌보드 핫 100]] 1위 ==== * [[Stand Up]] (2003) * [[Yeah!]] (2004)[* [[어셔]]의 곡을 [[Lil Jon]]과 함께 피처링, 12주 연속 1위, 2004년 연말 차트 1위, 2000년대 총결산 2위를 기록한 초대형 히트곡이며 [[Crunk]] 음악 전성 시대의 시작을 알린 곡이다.] * [[Money Maker]] (2006)[* [[퍼렐 윌리엄스]]가 피처링을 했다.] * [[Glamorous]] (2007)[* [[퍼기]]의 곡을 피처링.] * [[Break Your Heart]] (2009)[* [[Taio Cruz]]의 곡을 피처링.] ==== 빌보드 핫 100 2위 ==== * [[Oh]] (2005)[* [[시에라(가수)|Ciara]]의 곡에 피처링] * [[Runaway Love]] (2006)[* [[메리 제이 블라이즈]]가 피처링을 했다.] ==== 빌보드 핫 100 3위 ~ 10위 ==== * [[Move Bitch]] (2002) - 10위 * [[Gossip Folks]] (2002) - 8위[* [[Missy Elliott]]의 곡에 피처링] * [[Holidae In]] (2003) - 3위[* [[Chingy]]의 곡을 [[Snoop Dogg]]과 함께 피처링] * [[Splash Waterfalls]] (2004) - 6위 * [[Lovers and Friends]] (2004) - 3위[* [[Lil Jon]] & the East Side Boyz의 곡을 [[Usher]]와 함께 피처링] * [[Pimpin' All Over the World]] (2005) - 9위 * Unpredictable (2005) - 8위[* [[Jamie Foxx]]의 곡을 피처링] * [[Baby(저스틴 비버)|Baby]] (2009) - 5위[* [[저스틴 비버]]의 곡을 피처링.] * [[How Low]] (2010) - 6위 * Tonight (I'm Lovin' You) (2010) - 4위[* [[Enrique Iglesias]]의 곡을 DJ Frank E와 함께 피처링] * Dirt Road Anthem (2011) - 7위[* [[Jason Aldean]]의 곡에 피처링] ==== 빌보드 핫 100 11위 ~ 20위 ==== * [[One Minute Man]] (2001) - 15위[* [[Missy Elliott|Missy "Misdemeanor" Elliott]]의 곡을 Trina와 함께 피처링] * [[Rollout (My Business)]] (2001) - 17위 * [[Get Back(루다크리스)|Get Back]] (2004) - 13위 * [[Sugar (Gimme Some)]] (2005) - 20위[* Trick Daddy의 곡을 [[Lil' Kim]], CeeLo Green과 함께 피처링] * [[Number One Spot]] (2005) - 19위 * [[My Chick Bad]] (2010) - 11위 ==== 빌보드 핫 100 21위 ~ 40위 ==== * [[What's Your Fantasy]] (2000) - 21위 * [[Southern Hospitality]] (2000) - 23위 * [[Area Codes]] (2001) - 24위 * [[Saturday (Oooh Ooooh!)]] (2002) - 22위 * Welcome to Atlanta (2002) - 35위 * Act a Fool (2003) - 32위 * Georgia (2005) - 39위 * What Them Girls Like (2008) - 33위 * Chopped 'n' Skrewed (2008) - 27위[* [[T-Pain]]의 곡에 피처링] * [[One More Drink]] (2008) - 24위 * How Do You Sleep? (2009) - 26위[* Jesse McCartney의 곡에 피처링] * All I Do Is Win (2010) - 24위[* [[DJ Khaled]]의 곡을 [[T-Pain]], [[Snoop Dogg]], [[Rick Ross]]과 함께 피처링] * All Around the World (2013) - 22위[* [[Justin Bieber]]의 곡에 피처링] ==== 빌보드 핫 100 41위 ~ 100위 ==== * Bia' Bia' (2001) - 94위[* [[Lil Jon]] & the East Side Boyz의 곡을 [[Too $hort]], Big Kap, Chyna Whyte과 함께 피처링] * Fatty Girl (2001) - 87위 * B R Right (2002) - 83위[* Trina의 곡에 피처링] * Hot & Wet (2003) - 70위[* [[112(R&B 그룹)|112]]의 곡에 피처링] * Diamond in the Back (2004) - 94위 * Shake Dat Shit (2004) - 63위[* Shawnna의 곡에 피처링] * Need a Boss (2006) - 62위[* Shareefa의 곡에 피처링] * Get Buck in Here (2007) - 41위[* DJ Felli Fel의 곡을 [[Diddy]], [[Akon]], [[Lil Jon]]과 함께 피처링] * Last of a Dying Breed (2008) - 65위 * Regret (2009) - 78위[* [[Destiny's Child#s-3.1|LeToya]]의 곡에 피처링] * Ride (2010) - 42위[* [[시에라(가수)|Ciara]]의 곡에 피처링] * Sex Room (2010) - 69위 * Porn Star Dancing (2010) - 90위[* My Darkest Days의 곡을 Chad Kroeger, Zakk Wylde와 함께 피처링] * Little Bad Girl (2011) - 70위[* [[David Guetta]]의 곡을 Taio Cruz와 함께 피처링] * Wet the Bed (2011) - 77위[* [[Chris Brown]]의 곡에 피처링] * Tonight (Best You Ever Had) (2012) - 79위[* [[John Legend]]의 곡에 피처링] * Representin (2012) - 97위 * Rest of My Life (2012) - 72위 * Helluva Night (2013) - 96위 * Good Lovin (2014) - 91위 * The Champion (2018) - 47위[* [[Carrie Underwood]]의 곡에 피처링] == 필모그래피 == * '''[[분노의 질주 시리즈]]''' - '''[[테즈 파커]]''' *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 [[테즈 파커]] * [[락큰롤라]] - 미키 * [[게이머]] - 휴먼즈 브라더 * [[친구와 연인사이]] - 월레스 * [[맥스 페인(영화)|맥스 페인]] - [[짐 브라보라 경감]] * [[크래쉬(영화)|크래쉬]] - 앤서니 [[분류:루다크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