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롯데)] [include(틀:대한민국의 3대 면세점)] ||<-2>
{{{+1 {{{#ffffff '''롯데면세점'''}}}}}}[br]{{{#ffffff LOTTE Hotel Duty Free}}} || ||<-2> [br][[파일:롯데면세점 로고.svg|width=50%]][br][br] || || '''{{{#fff 소관조직}}}''' ||[[호텔롯데]] 면세사업부[br][[부산롯데호텔]] 면세사업부[br](주)롯데면세점제주[br]롯데면세점JAPAN || || '''{{{#fff 개업일}}}''' ||[[1980년]] [[2월 1일]] || || '''{{{#fff 대표이사}}}''' ||김주남(서울), 이승국(부산), 김주남(제주) || || '''{{{#fff 본사}}}'''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을지로]] 30 (소공동) || ||<|2> '''{{{#fff 링크}}}''' ||[[http://kr.lottedfs.com/main|[[파일:롯데 아이콘.svg|width=20]] {{{#E60012 공식 홈페이지}}}]] || ||[[http://www.lottedfs.com/|[[파일:롯데 아이콘.svg|width=20]] {{{#E60012 인터넷 면세점}}}]] || [목차] [clearfix] == 개요 == 롯데면세점은 [[호텔롯데]] 산하 [[면세점]]사업부의 통칭으로, 정식명칭은 ㈜호텔롯데 롯데면세점이며 ㈜부산롯데호텔 롯데부산면세점, 롯데면세점제주㈜, ㈜롯데면세점JAPAN에서도 일부 지점을 담당하고 있다. 그룹 내 유통업체인 [[롯데쇼핑]]에서 운영할 것 같은 느낌과는 달리 예전부터 [[호텔롯데]]에서 운영해왔다. [[신라면세점]]처럼 호텔 운영회사가 면세점 사업도 맡고있는 형태이다. 2018년 2월, 호텔롯데가 공항면세점을 운영하던 롯데디에프글로벌과 합병하고 코엑스면세점을 운영하는 롯데디에프리테일을 인수했다. == 설명 == 1980년 외국인 및 [[외교관]]들을 위해[* 이후 출국하는 내국인에 한해 면세점 입장을 허가했으나(여권확인 후 출입), 2000년대 중반 이후 지금은 아무나 다 들락거릴 수 있다.] 시내면세점 허가가 나면서 롯데호텔 서울 일부층에 롯데면세점 1호점을 오픈했고, 이어서 [[롯데백화점]] 부산점에 부산롯데면세점을, 잠실 롯데백화점에 잠실점을 잇따라 개장했다. [[인천국제공항]]이 개항함에 따라 공항면세점을 입점시켰고, 김포공항에도 점포가 있다. 담당부서는 1980년 개관 이래 호텔롯데 호텔사업부문 부대사업2부에서 맡다가 1986년 '면세점부'로 변경되어 이듬해 롯데월드사업본부로 이관되었으나, 1990년 호텔롯데 직속으로 바뀐 후 1992년에 면세점영업본부로 승격했다. 2007년에 대표이사제가 도입됐다. [[롯데]]의 전통답게 물량으로 민다. 특히 소공동 본점은 매출액 및 품목수 기준 부동의 1위라 대한민국 대표급 면세점으로 유명하다. 상품이 다양하고, 입점 브랜드도 많고, 적립금도 열심히 뿌려댄다. 신상품도 신라보다 훨씬 빨리 들어오는 편이다. 한국에서 백화점보다 신상품이 더 빨리 들어오는 경우도 많다. 오프라인 면세점의 경우 호텔 신라보다 규모가 압도적으로 크다. 면세점 가려고 하면 일단 가야 하는 곳 중 하나. 신라면세점은 자체 결제수단인 신라페이와 삼성카드 위주의 혜택만 있는 것과 다르게, 롯데면세점은 카카오페이, 토스 등 다양한 간편결제와 각종 카드사의 결제혜택이 더 다양하게 있는 편이다. 단점은 일단 고객 대응이 느린 편. 인터넷면세점은 본점, 부산, 코엑스로 각각 운영하였으나 2017년 7월부로 전부 통합 운영하기로 하였다. 명동본점과 월드타워점, 부산점, 제주점에 시내점을 운영 중이다. 국내 면세업계 중 가장 많은 해외점을 운영 중인데, 동경긴자점, 간사이공항점, 괌공항점, 다낭공항점, 나트랑공항점, 하노이공항점, 브리즈번공항점, 다윈공항점, 웰링턴공항점, 멜버른시내점, 시드니시내점, 창이공항점이 있다. 이 중 [[싱가포르 창이 공항]]에 위치한 창이공항점은 롯데면세점 해외점 중 최대 규모이다. 여담으로 3분 50초 대의 뮤직비디오형 풀버전 광고도 가지고 있다. 2015년 1차 면세점 선정시에는 사실상 수성을 목표로 빠지고 잘 나가나 싶었는데 [[롯데그룹]]의 지배구조 문제가 불거지면서 사상 최악의 위기가 닥쳐오고 있다. 거기에 면세점을 운영하고 있는 회사가 다름아닌 '호텔롯데'인데 여기가 일본 기업이라는 소문이 퍼지면서 국민적 반감이 상당히 늘었고, '특허권 회수'라는 강수까지 논의[* 이는 면세점 특허가 자동갱신이 아니라 재입찰을 통한 획득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되고 있어 사면초가에 빠진 상태다. 특히, 롯데면세점 명동본점은 [[신세계그룹]] 회현동 명품관과 상권이 겹친다는 것이 문제다. '''그렇게 되면 롯데면세점의 추락은 겉잡을 수 없는 상황까지 치닫을 수 있는데, 인천국제공항 면세점 입찰 때 자체 매출도 얼마 되지 않아 적자가 나는 곳을 경쟁사보다 2~3배 높게 부르는 바람에 매년 발생하는 적자 2천억 원을 면세점 사업부 전체 매출과 수익의 50% 이상 처지하는 두 지점 실적으로 땜빵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결론을 말하자면 '''2015년 하반기가 되면 면세점 업계 구도가 재편될 지도 모른다'''고 주변에서 보았고, 결과부터 말하자면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 그리고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의 여파로 인하여 면세점이 대량으로 운영을 종료하면서, 2021년 2월 말 인천국제공항 1 터미널에서 철수하기로 결정했다. 22년 8월 인천국제공항 2 터미널에서 주류/담배/식품 매장을 운영 중이었으나 2023년 6월 30일 부로 운영을 종료하였다. == 역대 총괄담당자 == === 호텔롯데 면세사업부 === * 총괄사장 * 신영자 (2008~2012) * 대표이사 * 신동립 (2007~2008) * 최영수 (2008~2012) * 이원준 (2012~2014) * 이홍균 (2014~2015) * 장선욱 (2016~2018) * 이갑 (2019~2022) * 김주남 (2022~ ) * 부사장 * 신동립 (2006~2007) * 본부장 * 조병무 (1992~2002) * 신동립 (2002~2006) === 부산롯데호텔 면세사업부 대표이사 === * 심우진 (2009~2012) * 서갑주 (2012~2013) * 이홍균 (2013~2014) * 박창영 (2014~2015/2015~2016) * 이강훈 (2015) * 김보준 (2016~2017) * 최병록 (2017~2018) * 김태호 (2018~2019) * 김준수 (2019~2022) * 이승국 (2022~) === 롯데면세점제주 대표이사 === * 심우진 (2015~2016) * 김주남 (2016~ ) == 점포 목록 == === 국내 지점 === * 본점 ,,(호텔롯데),, : 소공점이라고도 하며, 롯데백화점 본점 9~11층(본관 구역)을 점유했으나, 11층 신관 구역까지 넓히더니 2016년 8월 31일 부로 12층 확장공사도 완료되어 운영하고 있다. 아마 2015년 말에 실시했던 면세점 입찰에서 신세계그룹이 회현동 본점에 면세점 유치를 성공시키면서 이에 대한 선제조치를 취하는 것으로 보인다. 매장 면적이 제일 크고 웬만한건 다 있다. 전 지점 통틀어 많다. 물량도 엄청나기 때문에, 다른 지점에서 구하지 못한 물건도 여기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롯데호텔 서울 신관 14층에 면세 업계 최초 VIP 고객 라운지인 스타라운지를 개장했다. * 월드타워점 ,,(호텔롯데),, : [[롯데월드몰]]에 있으며, 예전 롯데백화점 잠실점에 있던 것을 옮겨서 확장했다. 매장이 어마무시하게 [[크고 아름답다]]지만 2015년 면세점 전쟁에서 결국 면허를 갱신하지 못해서 2016년 6월 30일 임시 폐점하였다. 당시 부지는 다른 용도로 전용하지 않았고 그대로 재도전하겠다고 정했고 2016년 12월 실시한 추가입찰에서 현대, 신세계와 더불어 사업권을 취득하는데 성공하여 2017년 1월 5일 다시 재오픈했다. 하지만 상술한 대로 사업권 취득 당시의 문제가 불거져 앞날은 상당히 불투명한 상태이긴 하지만 정상영업중이다. * 부산점 ,,([[부산롯데호텔]]),, : 롯데백화점 부산본점 8층[* [[부산 롯데월드 스카이프라자]]가 폐장하기 전에는 식당가가 있었다.]에 있다. 매장크기는 본점이나 월드타워점에 비해 작지만 구성이 매우 알차다. 김해공항면세점이나 부산항면세점이 매우 부실하기 때문에[* 특히 부산국제여객터미날 면세점은 구 터미널시절 초라하기 짝이 없었으나 신 터미널로 옮긴 후 사정이 좀 나아진 듯. 그래도 명품브랜드는 아예 없고, 롯데보다 후달리기 때문에 부산점이나 인터넷점을 이용하는 것이 정신건강에 이롭다.] 미리 이곳에서 쇼핑하는것을 추천한다. 신세계면세점이 해운대 파라다이스호텔에서 신세계 센텀시티몰로 이전하면서 매장규모를 넓히는 등 약진하는 듯 했으나..롯데와 달리 명품 3총사[* 에르메스, 샤넬, 루이비통]를 끝내 입점시키지 못했고, 기타 브랜드들도 아직 부실한 부분이 있어, 아직까지 부산지역에선 롯데면세점을 1등으로 쳐준다. 역사가 오래됐기 때문에 다소 옛스러운?! 루이비통 매장의 인테리어를 볼 수 있다. 규모가 협소하기 때문에 브랜드 별 매장 사이즈가 작아 없는 상품도 많으니 알아보고 방문할 것. 외국인들이 많이 방문하는 서면에 위치하고 있어 매출은 항상 상위권이다. * 제주점 (롯데면세점제주) : 중문단지에 있는 서귀포 롯데호텔에 있었으나, 제주도심의 [[롯데시티호텔]] 제주 내로 이사했다. 아무래도 중문보다는 공항 근처인 지금 위치가 여러모로 나았던 모양. 육지에 사는 사람들이 이용할 일은 극히 드문 관계로 대부분 외국인 관광객들이며, 해외로 나가는 제주도민들도 이용하는 듯. 현지법인인 롯데면세점제주가 운영하고 있다. * [[김포국제공항|김포공항]]점 ,,(호텔롯데),, : 신라면세점과 롯데면세점 두 곳이 나란히 해먹고 있었는데..인천공항점의 화려함을 생각하고 갔다면 실망할지도 모르겠다. 생각보다 매장이 크지 않기 때문에 시내면세점이나 인터넷점 이용을 권장하는 바 이다. 이곳에도 면세품인도장이 있다. * [[김해국제공항|김해공항]]점 ,,(부산롯데호텔),, : 부산 강서구 대저동에 있는 김해공항에 있던 지점. 입찰전쟁에서 패한 후 문을 닫았지만 신세계면세점이 매장을 반납함에 따라 최근에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5/18/2016051801129.html|다시 열었다.]] * [[제주공항]]점 2004년 2월 11일 개점. [[제주국제공항]] 국제선 3층에 위치해 있으며 2014년 4월 19일 폐점하였다가, 2023년 3월 1일 재개점하였다. * 롯데인터넷면세점 ,,(호텔롯데),, : 인터넷면세점이 3곳이었으나 코엑스인터넷점과 부산은 없어졌다. 이게 가능했던 이유는 코엑스인터넷점과 부산인터넷점이 독립법인이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 === 해외 지점 === * [[도쿄]][[긴자]]점 ,,(롯데면세점JAPAN),, 2016년 3월 31일 개점. [[도쿄도]] [[주오구]]의 도큐플라자 긴자에 위치해있다.[* 개점 당시 신동빈 부부, 신동빈의 아들 신유열 부부, 신동빈의 모친 시게미쓰 하츠코 여사, 신동빈의 누나 신영자, 신영자의 딸 장선윤 등 롯데그룹 일가가 모두 참석했으며 연예인으로는 롯데면세점 모델인 최지우와 첸, 디오(이상 EXO)가 참석했다.] * [[간사이공항]]점 2014년 9월 4일 개점. 간사이 국제공항 제1터미널 3층에 위치해있다. * 괌공항점 2013년 7월 23일 개점. [[안토니오 B. 원 팻 국제공항]]에 위치해있다. * 다낭시내점 * 다낭공항점 [[다낭 국제공항]]에 위치해있다. * 나트랑공항점 2018년 6월 30일 개점. 나트랑 깜란국제공항에 위치해있다. * [[하노이]]공항점 [[노이바이 국제공항]]에 위치해있다. * 브리즈번공항점 * 다윈공항점 * 멜버른시내점 * 멜버른공항점 * [[시드니]]시내점 * 웰링턴공항점 * 창이공항점 [[싱가포르 창이 공항]]에 위치해있다. === 폐점 점포 === * 로비점 소공동 롯데호텔 로비에 소규모로 있었으나 폐점. 인근의 본점 면허를 이용해서 영업했는데, 1면허로 2점포를 편법 영업하는 거라며 비판의 소리가 있었다. * [[자카르타]]공항점 2012년 1월 31일 [[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에 개점하였으나 2017년 7월 31일 폐점하였다. * [[자카르타]]시내점[*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롯데쇼핑에비뉴 내 위치]. 2013년 6월 22일 개점. 현재는 폐점하였다. * [[방콕]]시내점 2017년 6월 16일 방콕의 SHOW DC라는 쇼핑몰에 개점하였으나 2020년 9월 10일 롯데면세점이 태국 시장에서 철수함에 따라 폐점했다. * [[캔버라]]공항점 2021년 9월에 폐점하였다. * [[코엑스]]점 ,,(호텔롯데),, : 2000년 카세트업체 SKM이 개점한 'SKM면세점'이 모태이며, 2007년 오디오사업부를 떼내고 면세점에 주력하다 2008년 애경그룹에 팔려 'AK리테일'이 되어 'AK면세점 코엑스점'이 됐으나 2010년 호텔롯데가 인수 후 현 명칭이 됐고, 2018년 롯데디에프리테일로부터 영업권을 가져갔다. 예전에는 AK면세점과 롯데잠실점을 비교해 가며 쇼핑하는것이 가능했지만..인수 후 옆동네 잠실점에 비해 화장품을 싸게 팔아서 [[http://h21.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27961.html|'같은 롯데면세점인데 왜 가격이 다르나요?']]라는 기사가 떴었다. 아무래도 AK시절 물건이 남아있었고, 잠실점보다 장사가 안 되기 때문인듯. 코엑스 매장은 다른 매장보다 사은권 증정이 후했었다. AK시절엔 루이비통 등 명품 라인업이 괜찮았으나, 옆동네 잠실 월드타워점 확장계획과 더불어 코엑스점 매출이 생각보다 안나온다며 주요 명품브랜드들이 점점 매장을 철수하더니, 요샌 시원찮다. 매장 규모도 작은 편이고.. 2017년 12월 호텔롯데로 단독 입찰하여 선정되었다. 기간은 5년이다. 코엑스인터컨티넨탈 B2~3층에 있다. 2022년 9월 24일에 폐점하였다. * [[인천국제공항|인천공항]]점 ,,(호텔롯데),, : 인천공항 1단계 개항에 맞춰 여객터미널 몫좋은 곳에 신라면세점과 함께 나란히 입점 해 있었으나 면세점 전쟁을 치루고 일부 자리를 다른업체에게 많이 뺏긴 모양. 예전엔 AK면세점 인천공항점 매장을 추가로 그대로 이어받았기 때문에[* 기존 롯데매장 + AK매장이었고, 지금처럼 경쟁자도 많이 없었으니 매장의 대부분이 롯데였던 셈.] 매장면적이 으리으리했었다. 그래도 탑승동에선 굳건히 자리를 지키고 있는 중. 여객터미널과 탑승동에 면세점인도장을 운영중이다. 시내점이나 인터넷점에서 물건을 구입한 후 이곳에서 물건을 수령하면 된다. 한가지 흥미로운건 2016년에 인천공항 면세사업자 구역 재선정에 따라, 이부진 신라호텔 사장이 LVMH회장에게 굽신거리며 어렵게 신라면세점 구역으로 모셔왔던 루이비통 매장을 롯데가 먹게 됐다. 하지만 임대료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1터미널에서는 담배와 주류매장을 제외하고는 철수한 상태이다. 2 터미널에서 주류/담배/식품 매장을 운영 중이었으나 2023년 7월 1일 완전 철수하였다. == 노동조합 == * 롯데면세점 노동조합(1노조): [[민주노총]] 전국민간서비스연합노동조합연맹 소속. * 우리가치(2노조): [[한국노총]] 전국관광서비스노동조합연맹 소속. == 광고 == [[파일:/content/image/2015/04/23/20150423155516292397.jpg]] 마케팅 쪽에선 [[대홍기획]]의 정수가 들어간 한 작품이기도 하다. 업계 특성상 [[텔레비전]] 광고 대신 지면광고나 인터넷 광고로만 내보내고 있으며, 최근에는 [[롯데시네마]] 전 지점에 송출하기도 한다. 면세점을 이용하는 국내 소비자는 일부 출국자로 한정되어 있지만 주로 이용하는 사람들은 거의 다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이기 때문. 그래서인지 외국인, 특히 아시아권 사람들에게 인기가 높은 [[배용준]], [[최지우]], [[비(연예인)|비]], [[장근석]], [[동방신기]], [[BIGBANG]], [[류시원]] 등 [[한류]] 스타들이 매년 대거 출연해왔는데 대략 [[2004년]]부터 [[배용준]]과 [[비(연예인)|비]]를 사상 최고 출연료를 줘가며 캐스팅 하는 등 한류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저 광고에 출연하는 연예인들 대부분이 단독으로 광고 출연이 가능한 톱스타들로 구성되어 있다. 광고영상 길이도 무려 3분 52초에 달한 것도 있다. [youtube(gjdrFt_6ebc, width=100%)] 롯데면세점 CF 초기버전. 무려 2009년에 만들어졌다. So I'm loving you이라는 후크송이 탄생했다. 이 시기엔 주로 일본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연예인들이 어마무시하게 출연했다. [[파일:external/ceopartners.co.kr/4ea96ab3d32b0.jpg]] 소공본점 (을지로 롯데백화점 건물) 면세점 직통 엘리베이터로 이어지는 통로에 '스타에비뉴'라는 롯데면세점 전속모델 연예인 사진으로 꾸며진 거리가 있다. 가보면 알겠지만 사진찍고 난리도 아니다. 이 곳을 찾아가려면 기존 백화점 정문으로 들어가지 말고, 코너를 돌아 롯데호텔 방향으로 걷다보면 바로 있다. 이곳 끝에 있는 엘리베이터로는 백화점 매장으로 바로 갈 수 없으니 주의해야 한다. 이곳 끝에 있는 엘리베이터는 면세점 전용 엘리베이터로, 백화점을 거치지 않고 바로 면세점으로 진입할 수 있다. 2015년에 EXO를 광고모델로 썼고, 2016년에는 롯데면세점 직원으로 분한 이초희가 출연하는 <[[https://youtu.be/9vMwB0fzQcg|첫키스만 일곱번째]]>라는 홍보 웹드라마를 제작했다. 이 드라마에는 [[최지우]], [[이민호(1987)|이민호]], [[이준기]], [[박해진]], [[지창욱]], [[이종석(배우)|이종석]], [[택연]], [[카이(EXO)|카이]] 등의 남성 스타들이 같이 출연했다. 2018년 '냠'[* 롯데면세점의 영문 약자 'LDF'를 한글처럼 조합했다.] 마케팅을 선보여 [[TWICE]]를 모델로 기용했다. [youtube(DhRBmZc_RtE)] 2021년에는 <떠나야 하는 친구들> 이란 시트콤 컨셉의 광고를 제작하며 무려 [[방탄소년단]]을 모델로 기용했다. 2022년에는 [[aespa]], [[준호]], [[Stray Kids]], [[SUPER JUNIOR]]를 모델로 기용하며 코로나 이후 K-마케팅을 재개함을 밝혔다. 2023년에는 [[NCT DREAM]]을 모델로 기용했다.[* 2023년 9월 15일 모델 발탁 소식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 참고로 NCT DREAM은 앞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NCT]] 단체 명의로 롯데면세점 광고를 한 이력이 있다.] == 롯데면세점 패밀리콘서트 == 2006년부터 거의 매년 '롯데면세점 패밀리콘서트'를 개최하고 있다. * 2016년 라인업 -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 [[EXO]], [[EXID]], [[마마무]] * 2020년 라인업 - [[방탄소년단]],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 [[투모로우바이투게더]], [[황치열]], [[이현(가수)|이현]] * 2023년 라인업 * 6월 16일 - [[NCT DREAM]], [[aespa]], [[Stray Kids]], [[STAYC]], [[KINGDOM(아이돌)|KINGDOM]], [[이채연]] * 6월 17일 - [[성시경]], [[거미(가수)|거미]], [[Crush(가수)|Crush]], [[적재]], [[ITZY]], [[ENHYPEN]] * 6월 18일 - [[영탁]], [[이찬원]], [[장민호]], [[장윤정]], [[진시몬]], [[송가인]]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면세점)]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호텔롯데, version=71)] [[분류:호텔롯데]][[분류:면세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