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롤링 스톤스]] [include(틀:롤링 스톤스)] [목차] == 개요 == 영국의 록 밴드 [[롤링 스톤스]]의 대표곡들을 소개하는 항목. == 곡 == === [[(I Can't Get No) Satisfaction]] === [[(I Can't Get No) Satisfaction|항목 참조]]. 락 역사상 가장 위대한 곡이자 롤링 스톤스가 세계적인 인지도를 얻게 하는데 가장 큰 공헌을 한 전설적인 노래이다. === Sympathy for the Devil === [[Sympathy for the Devil|항목 참조]]. 롤링 스톤스의 곡들 중 최고의 명곡으로 불리는 노래들 중 하나이다. 특히 키스 리처즈의 기타 솔로가 유명하다. ===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항목 참조]]. === Gimme Shelter === [[Gimme Shelter|항목 참조]]. 뛰어난 구성으로 롤링 스톤스의 최고 명곡, 나아가 1960년대를 상징하는 곡으로 불린다. === Paint It Black === [[Paint It Black|항목 참조]]. 베트남전 반전 운동을 상징하는 노래로 알려져 있다. === Brown Sugar === [[Brown Sugar|항목 참조.]] === Honky Tonk Women === [[Honky Tonk Women|항목 참조]]. 1969년 초메가히트를 쳤으며, 현재까지도 Satisfaction과 함께 롤링 스톤스 노래들 중 가장 히트친 노래이다. === Angie === [[Angie|항목 참조]]. 로큰롤 불모지인 한국에서는 paint it black, as tears go by와 더불어 가장 많이 알려진 롤링스톤즈의 곡이다. === Can't You Hear Me Knocking === [youtube(3fa4HUiFJ6c)] 1971년 [[Sticky Fingers]]의 수록곡. 거칠고 파워풀한 사운드가 특징인 하드 록 트랙으로 특히 키스 리처즈와 믹 테일러의 듀얼 기타가 돋보인다. === Start Me Up === [youtube(SGyOaCXr8Lw)] 1981년 [[Tattoo You]]의 수록곡으로 롤링 스톤스의 80년대 스타일을 대표하는 곡. 롤링 스톤스 본연의 블루스 록을 더 세련되게 다듬은 스타일의 곡으로 빌보드 2위를 차지하는 등 크게 히트하여 롤링 스톤스가 60-70년대 [[아재]]들이 아님을 확실히 증명해 준 곡이다. [[Microsoft]]의 [[Windows 95]]광고 음악으로도 쓰였다. 제목에 '''시작(Start)'''이 들어가기 때문인데 Windows 95부터 '''시작메뉴'''가 도입되어서 그런것. === Jumpin' Jack Flash === [[Jumpin' Jack Flash|항목 참조]]. === Miss You === [[Miss You(롤링 스톤스)|항목 참조]] === Ruby Tuesday === [[Ruby Tuesday|항목 참조]]. 빌보드 1위를 달성했으며 사이키델릭 록 느낌이 강하다. 브라이언 존스와 키스 리처즈의 합작으로 만든 노래. === As Tears Go By === [[As Tears Go By|항목 참조]]. === She's a Rainbow === [[She's a Rainbow|항목 참조]]. === 2000 Light Years From Home === 1967년 [[Their Satanic Majesties Request]]의 수록곡. 롤링 스톤스의 대표적인 [[사이키델릭 록]] 넘버이며 어둡고 음침하며 우주적인 분위기의 스페이스 록적인 사운드가 특징이다. ~~[[Echoes]]처럼 밤에 혼자 들으면 무섭다.~~ 일부 팬들은 다섯 손가락 안에 꼽기도 하는 숨겨진 명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