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OBJ8-xOnig)]}}}|| || 예시 중 하나인 [[네이버 웨일]]에서 만든 Playlist 영상[* 이 영상은 본래 [[https://youtu.be/SHxquO74wFQ|네이버 웨일의 홍보 영상]]의 오프닝으로 만들어졌다가 영상이 인기를 끌자 아예 [[Lofi Girl]]류 컨셉의 Playlist 영상으로 만든 것이다. 영상의 일러스트 작가는 [[https://www.instagram.com/__tree_13/|나무13]]으로 역시 복고풍을 컨셉으로 활동하는 [[박문치]]의 앨범 자켓 제작에도 참여한 적이 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1 Lo-fi hiphop}}} 보통 힙합의 하위 장르 음악으로 불린다. Chill hop으로도 불린다. 특유의 [[Lo-Fi]] 오디오 질감과 결합한 차분한 분위기의 힙합 음악. == 타 장르와의 구분 == 힙합 음악의 하위 장르 음악이다. 로우파이 자체는 뚜렷하게 힙합 씬에서 출발했다고 보기는 힘들지만 [[제이 딜라]]나 [[누자베스]]같은 아티스트들이 로우파이 힙합의 초석을 마련하였고 그로 인해 로우파이도 힙합 문화 안에서 융성하고 있기 때문에 힙합 음악의 하위 장르로 볼 수 있다. 음질이 바뀌었다는 점 때문에 간혹 [[트랩(음악)#s-3.4|Distorted]]와 헷갈리기도 하는데 '''전혀 다르다'''. 아예 무관한 장르이고, 애초에 디스토티드는 로우파이와 사운드가 정 반대다. 예를 들어 [[텐타시온]]의 look at me 역시 절대 로우파이가 아니다. 힙합 음악과 마찬가지로 샘플링을 통해 만들어지며 이름대로 lo-fi(저음질)의 필터를 거치거나 아예 저음질의 샘플을 쓰는 경우가 많다. 드럼도 힙합 특유의 강한 스네어나 킥을 만드는 게 아닌 차분한 드럼 세트를 이룬다. == 역사 == 원래 메인스트림 힙합에서 시도된 것이 아닌 언더그라운드, 그 중에도 [[유튜브]]나 [[사운드 클라우드]] 같은 인터넷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2016년 경부터 서구권에서 유행하기 시작했다. 또한 특이하게도 각각의 아티스트들이 음악을 제공하는 게 아닌 유튜브 생방송 라디오로 수많은 아티스트들의 비트가 취합되어 재생되는 게 기본 형태. 차분한 음악 스타일에 걸맞게 제공되는 방식도 공부, 업무, 독서, 수면등 집중하거나 휴식을 취할 때에 배경음악으로 소비되도록 맞춰진 특이한 형태의 힙합 음악이다. ~~힙스터들의 노동요~~ 이후 복고 문화와 결합돼서 8,90년대 일본 애니메이션을 차용하여 뮤직비디오를 만든다거나 오디오를 샘플로 사용하기도 하는 등 서브 컬쳐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대표적으로 [[카우보이 비밥]]과 주인공 [[스파이크 스피겔]]이 있다. 재즈라는 음악 장르와 연이 깊은 애니인 만큼 이쪽 분야에선 상당히 자주 엮이는편. 그 외에도 일본 특유의 서정적인 재즈 힙합을 정립하였고 로우파이 힙합의 대부로 언급되는 [[누자베스]]가 OST 제작을 맡은 애니 [[사무라이 참프루]] 또한 자주 엮이는 편이다. 이 외에도 각종 다양한 90~00년대 일본 애니메이션들이 자주 엮인다.][* 특히 아래 Chilledcow의 방송 영상에 나오는 소녀는 'Lo-fi Girl'이라는 애칭까지 붙으며 로파이의 대명사격 캐릭터가 되었고, 아예 채널명을 Lofi Girl로 바꿔버렸다.] 유튜브에서 --Chilledcow--Lofi Girl[* 2021년 3월 채널명 변경]나 STEEZYASFUCK 등의 채널이 가장 대표적인 라디오 채널이며 한국에도 Lo Finder라는 로파이 음악을 하는 크루가 있다. == 음원의 특성 == 편안한 느낌을 추구하기에 대체로 래핑이 없이 비트만 존재하거나, 래핑이 비트를 방해하지 않는 정도로만 살짝 가미되는 경우가 많다. 아예 래핑이 첨가된 곡도 드물게 있지만 일반적인 힙합 노래처럼 래핑이 과도하지 않다.[* 다만 j a r j a r j r 혹은 Cookin' Soul과 같은 로우파이 비트를 통한 랩 리믹스를 주력으로 삼는 아티스트들도 있다.] 가끔 익숙하고 자주 들리는 목소리를 들을 수가 있는데 이는 Shiloh dynasty의 샘플이다. 본인 SNS에 기타 반주를 하며 노래를 부르는 짤막한 영상들을 여러개 올리다가 갑자기 잠적했다. 워낙 로파이 힙합에 잘 어울리는 분위기여서 이를 사람들이 가져다가 샘플링 한 것이다. 이 쯤에 [[텐타시온]]이 자신의 앨범에 Shiloh dynasty의 샘플을 사용하면서 Shiloh의 인기와 궁금증은 더욱 커져갔다. 이 분야의 대표적인 채널로 전문 스트리밍 채널인 [[Lofi Girl]]이 있다. 2010년대 중반기 사운드클라우드에서 크게 융성한 장르이니만큼 비슷한 시기에 사운드클라우드에서 유행을 타기 시작하던 마이너한 트랩의 하위 장르인 [[퐁크]][* 드리프트 퐁크, 퐁크 하우스와는 전혀 다른 느낌의 음악인 OG Phonk 계열 장르들을 이야기하는 것이니 혼동하지 않는 것이 좋다.]도 겸하게 되는 아티스트들이 상당히 많다. 대표적인 사운드클라우드 아티스트로는 '''Bsd.u'''[* Beside you라고 발음한다], '''SwuM''', '''Emune''' 등이 있다. == 국내 아티스트 == [[https://www.instagram.com/lo_g_lofiman|lo-g]][* 엄밀히 말하자면 로파이 힙합 중에서도 ras g, dibiase,j dilla, knxwledge, mndsgn 등의 LA Beatscene스러운 음악에 가깝다. ][* 지금은 lofi hiphop이 chill hop 이나 Ambient Music 에 가깝게 변해가고 있으나 엄밀히 말하면 lo-fidelity 적인 요소의 음악을 충실히 하고 있으니 lofi hiphop이 맞다. ][* 공식적으로 로우지라고 명시되어있으나 발음그대로 로지라고 불리기도 한다. 서울비트씬 유튜브 채널에 sp-404mk2 튜토리얼 영상을 업로드하며 알려졌다.] [[https://www.instagram.com/from_the_ovn|ovn]][* 국내 chill hop 1세대][* 로파이 머신으로 유명한 샘플러 sp-404sx를 이용한 퍼포먼스 영상으로 알려졌다.][* 공식 롤랜드 프로 중 1명으로 sp-404mk2를 가장 먼저 사용했다.(나머지 한명은 lionclad)] [[https://www.instagram.com/music.notg|notg]] [[https://www.instagram.com/jomo.als|jomo]] [[https://www.instagram.com/lightleafbeats/?hl=ko|lightleaf]] [[https://www.instagram.com/kiik_lofi|kiik]][* 피터팬 컴플렉스의 드러머이다.] [[https://www.instagram.com/sevenoneseven_music|sevenoneseven]] [[https://www.instagram.com/lofi.seoul.beats|Lofi Seoul]] [[https://www.youtube.com/channel/UC_OpjZbyEnJCrMluFQM9KSg|seoul beat scene]][* 국내 유일의 로파이, 언더그라운드 재즈힙합 비트메이커 그룹. 롤랜드 샘플러인 sp-404를 주축으로 멤버들이 직접 자신의 비트를 djing 한다.][* 국내 1호 로파이비트 그룹은 lofinders이나 현재는 해체했다. ][* 멤버인 lo-g가 sp-404와 관련된 컨텐츠를 올리면서 알려졌다.] == 관련 문서 == * [[Lo-Fi]] * [[Chillhop]] * [[Lofi Girl]] * [[KozyPop]] [[분류:힙합]][[분류:음악 장르]]